안의·손홍록 선생 영정 봉안식 및 흉상 제막식 거행[온라인 라운지]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임진왜란 중 목숨을 바쳐 조선왕조실록을 지켜낸 안의·손홍록 선생의 영정을 봉안하고 흉상을 헌정하는 제막식이 26일 오전 두 분의 고향인 전북 정읍에서 열렸다. 유생 안의와 손홍록은 임진왜란으로 전주사고가 소실될 위험에 처하자 전주로 달려와 조선왕조실록, 고려사, 이태조의 어진(御眞) 등 역사적 기록물을 내장산 용굴암으로 옮겼다. 그리고 370여 일간 용굴암에서 불침번을 서며 실록을 지켜냈다. 조선은 실록을 한양의 춘추관과 충주, 전주, 성주 세 곳의 지방 사고에 보관했지만 임진왜란 당시 전주 사고본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불타버리고 말았다. 이때의 일을 기록한 일지가 전북유형문화재 제245호인 수직상체일기(守直相遞日記)다. 이날 행사는 2023년 발족한 ‘안의·손홍록 선생 선양모임’의 주도적 노력과 정읍시의 후원으로 추진됐다. 영정 제작에는 소미정 화백, 흉상 제작에는 김소영 조각가가 참여했다. 정세균 전 국무총리, 윤준병 국회의원, 이학수 정읍시장, 곽영길 전북도민회 중앙회장 ...
기사 본문
정읍시, AI 기술 활용 복원·제작 “역사적 사실 예술로 되살린 사례” 전북 정읍시립박물관에서 26일 열린 선비 안의·손홍록 선생 흉상 제막식에서 정세균 전 국무총리(왼쪽 다섯번째) 등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정읍시 제공 임진왜란의 혼란 속에서도 조선왕조실록을 지켜낸 선비 안의와 손홍록 선생의 숭고한 정신이 430년 만에 전북 정읍에서 되살아났다. 정읍시에 따르면 26일 선비 안의·손홍록 선생의 영정 봉안식과 흉상 제막식이 정읍시 칠보행복이음센터와 시립박물관에서 열렸다. 이날 행사에는 정세균 전 국무총리, 윤준병 국회의원, 이학수 정읍시장 등 200여명이 참석해 두 선현의 충절과 희생정신을 기렸다. 행사는 ‘안의·손홍록 선생 영정 봉안·흉상 헌정 추진위원회’와 ‘선양 모임’이 공동으로 주관했다. 두 선생의 영정과 흉상은 문중 후손 40명의 얼굴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복원·제작됐다. 정읍시는 “역사적 사실을 예술로 되살린 사례로 의미가 크다”고 ...
기사 본문
영정·흉상, 문중 후손 각 40명 사진 AI로 생성·도출…표본 사진 바탕으로 제작 26일 전북 정읍시 칠보 행복이음센터에서 '안의·손홍록 선생 영정 봉안식이 개최된 가운데 정세균 전 국무총리와 윤준병 국회의원, 이학수 정읍시장, 곽영길 전북도민회 중앙회장 등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정읍시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뉴스1 (정읍=뉴스1) 유승훈 기자 = 임진왜란 화마 속에서 조선왕조실록을 지켜낸 전북 정읍 선비 안의·손홍록 선생의 숭고한 업적을 기리는 영정 봉안식·흉상 제막식이 성황리에 개최됐다. 26일 정읍시 칠보 행복이음센터와 시립박물관에서 열린 행사에는 정세균 전 국무총리, 윤준병 국회의원, 이학수 정읍시장, 곽영길 전북도민회 중앙회장, 주민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날 행사는 안의·손홍록 선생 영정 봉안·흉상 헌정 추진위원회(공동추진위원장 정세균 전 국무총리·이홍식 연세대 명예교수)가 주최하고 안의·손홍록 선생 선양 모임(대표 박영일)이 주관했다. 선양 모...
기사 본문
"역사를 지켜낸 두 분의 위대한 정신을 선양하고 기억할 수 있도록 노력" 조선왕조실록을 지켜낸 정읍의 선비 안의·손홍록 선생의 숭고한 업적을 기리는 영정 봉안식·흉상 제막식이 26일 정읍시 칠보행복이음센터와 시립박물관에서 열리고 있다. /정읍시 조선왕조실록을 지켜낸 정읍의 선비 안의·손홍록 선생의 숭고한 업적을 기리는 영정 봉안식·흉상 제막식이 26일 전북 정읍시 칠보행복이음센터와 시립박물관에서 열렸다. 이날 행사에는 정세균 전 국무총리·윤준병 국회의원·이학수 정읍시장·곽영길 전북도민회 중앙회장 등 내외빈 200여 명이 참석해 두 선현의 위업을 기렸다. 이번 행사는 안의·손홍록 선생 영정 봉안·흉상 헌정 추진위원회가 주최하고, 안의·손홍록 선생 선양 모임이 주관했다. 선양 모임은 두 선생의 위업을 널리 알리고자 지난 2023년 12월 추진위원회를 발족하고 영정·흉상 제작을 추진해 왔다. 특히 두 선생의 영정·흉상은 문중 후손 각 40명의 사진을 인공지능(AI)으로 생성·도출한 표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