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망 장애' 복구율 74.8%…교육부 홈페이지 등 530개 정상화(종합)

2025년 10월 26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6개
수집 시간: 2025-10-26 22:13:47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뉴시스 2025-10-26 21:02:38 oid: 003, aid: 0013558909
기사 본문

행안부, 오후 9시 기준 복구율 집계 하루에만 16개 정부 시스템 정상화 [세종=뉴시스] 박영주 기자 =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로 장애가 발생한 정부 전산망 시스템 709개 중 530개가 복구됐다. 이날만 총 16개 정부 시스템이 정상화됐다. 26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9시 기준 정상화된 시스템은 종전보다 5개 늘어난 530개로 복구율은 74.8%다. 이날 오후 6시 기준으로 교육부 대표 홈페이지, 영문 홈페이지, 어린이 홈페이지, 사교육카르텔부조리, 학교급식정보마당과 행안부 재난관리업무포털·통합GIS·소하천, 위기관리 매뉴얼 관리시스템 등이다. 보건복지부 디지털돌봄시스템과 원자력안전위원회 내부 포털도 복구됐다. 이어 오후 9시 기준으로는 국가보훈부 AI보훈, 법제처 법제지원시스템, 교육부 교원소청과 행복한교육, 해양수산부 스마트수산정보시스템도 정상화됐다. 등급별 시스템 복구율은 ▲1등급 40개 중 34개(85.0%) ▲2등급 68개 중 54개(79....

전체 기사 읽기

이데일리 2025-10-26 21:30:17 oid: 018, aid: 0006147758
기사 본문

[이데일리 김정유 기자] 행정안전부는 26일 오후 6시 기준으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장애 복구율이 74%를 기록 중이라고 26일 밝혔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국가전산망이 마비된 지난 1일 오후 서울 송파구 잠실2동 주민센터 민원실에 일부 민원 서비스 처리 불가 안내가 이뤄지고 있다. (사진=뉴스1) 앞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본원 화재로 행정정보시스템 709개가 장애를 보여왔다. 장애 발생 한 달여만에 시스템 525개가 정상화 됐다. 시스템 장애 복구로 정상화된 서비스는 교육부 대표·영문 홈페이지, 사교육카르텔부조리, 보건복지부 디지털돌봄시스템, 행안부 재난관리업무포털, 원자력안전위원회 내부 포털 등이다. 시스템 등급별 정상화 현황을 보면 1등급의 경우 40개 중 85%(34개)가 되돌아왔다. 2등급은 79.4%, 3등급은 74.4%를 기록했다.


헤럴드경제 2025-10-26 20:19:08 oid: 016, aid: 0002547504
기사 본문

교육부 홈페이지, 사교육카르텔부조리 등 정상화 지난달 30일 오전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현장에서 감식 관계자들이 불이 붙었던 무정전·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배터리의 상태를 살피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김은희 기자] 행정안전부는 26일 오후 6시를 기준으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본원 화재로 장애를 보여온 행정정보시스템 709개 중 525개가 정상화됐다고 밝혔다. 화재 발생 한 달 만인 이날 기준 전체 시스템 복구율은 74% 수준이다. 시스템 복구로 정상화된 서비스는 교육부 대표 홈페이지와 영문 홈페이지, 사교육카르텔부조리, 보건복지부 디지털돌봄시스템, 행안부 재난관리업무포털, 원자력안전위원회 내부포털 등이다. 등급별 시스템 복구현황을 보면 1등급은 40개 중 34개 복구돼 85%가 정상화됐다. 이 밖에 ▷2등급 79.4% ▷3등급 74.4% ▷4등급 68.5%의 복구율을 보이고 있다.


KBS 2025-10-26 20:38:47 oid: 056, aid: 0012053999
기사 본문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피해를 본 정부 행정 시스템 가운데 지금까지 525개 시스템이 복구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오늘(26일) 오후 6시 기준 전체 709개 시스템의 74.0%인 525개가 복구됐다고 밝혔습니다. 오늘은 산업통상부의 사이버도서관과 행정안전부의 재난관리업무포털, 원자력안전위원회 내부 포털 등이 추가로 복구됐습니다. 이용자가 많아 중요도가 높은 1등급 시스템의 복구율은 85%(전체 40개 중 34개), 2등급 시스템의 복구율은 79.4%(전체 68개 중 54개)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