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앵커> 나흘 뒤면 10.29 이태원 참사가 3주기를 맞습니다. 지금 서울시청 광장에서는 처음으로 유가족과 정부가 공동으로 주최한 추모 행사가 열리고 있는데요. 현장으로 가보겠습니다. 김민준 기자, 행사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습니까? <기자> 네, 이태원 참사 희생자를 기리는 시민추모대회가 엄숙한 분위기 속에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행사는 참사 당시 첫 신고 시간이었던 오후 6시 34분에 시작됐고, 희생자 전체 명단을 부르는 호명식을 시작으로 묵념과 추도사 등이 이어졌습니다. 오늘(25일) 추모행사는 유가족과 정부가 처음으로 공동 주최했습니다. 김민석 국무총리를 비롯한 정부 주요 인사와 정당, 종교 단체 대표 등이 참석해 희생자를 추모했습니다. 특히 그동안 참석이 어려웠던 12개국 외국인 희생자 유가족 40여 명이 정부 초청으로 참석했습니다. <앵커> 행사에 앞서서 유가족들의 추모 행진도 이어졌죠? <기자> 네, 오늘 낮 2시쯤부터는 유가족들의 추모 행진이 있었습니다. 참사 현장인 이태...
기사 본문
[현장] 이태원 참사 3주기 시민추모대회... "159명 생명 꺼져가던 때 국가는 무얼했나" ▲ 10.29 이태원참사 외국인 희생자 스티네 에벤센(노르웨이)의 유가족이 25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광장에서 열린 10.29 이태원참사 3주기 시민추모대회에 참석해 정부를 향해 진상규명을 요구하고 있다. ⓒ 유성호 "스테네 에반슨의 엄마 수잔나입니다. 제 딸 아이는 한국을 살기에 아주 안전하고 멋진 나라라고 믿고 있었습니다. 부모가 상상할 수 있는 가장 최악의 내용을 담은 전화와 이메일을 받은 지 3년이 되었습니다. 아직도 전 제 딸이 세상을 떠났다는 것을 믿을 수도 없고 이해할 수도 없습니다." - 고 스테네 에반슨 어머니 수잔나 에반슨씨(노르웨이) "크리스티나는 한국에서 공부하기 위해서 왔습니다. 한국을 몹시 사랑했고 한국에서 살고 싶어했습니다. 크리스티나에게는 꿈과 목표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제 마음은 아직도 아픕니다. 이 참사의 원인을 끝까지 조사해 책임자들이 밝혀지기를 간절히 희망...
기사 본문
이태원 참사 외국인 희생자 유가족들이 참사 현장을 직접 찾았습니다. 오늘은 서울 종로구에 있는 추모공간 '별들의 집'을 방문해서 희생자들의 사진을 보기도 했습니다. 이태원 참사 3주기를 맞아서 사흘 뒤, 29일 오전 10시 29분부터 1분 동안 서울 전역에 희생자를 추모하는 사이렌이 울립니다. 어제(25일)저녁 6시 34분엔 이태원 참사 유가족과 정부가 공동으로 시민 추모대회를 열었습니다. 저녁 6시 34분은 3년 전 10월 29일 경찰에 첫 구조 요청이 들어왔던 시각입니다.
기사 본문
[현장] 이태원 참사 3주기, 첫 참사 현장을 찾은 외국인 유족들... "가늠할 수 없는 슬픔" ▲ 10.29 이태원참사 3주기를 앞둔 25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이태원참사 현장에 외국인 희생자 유가족이 찾아 현장을 살펴보며 눈물을 흘리고 있다. ⓒ 유성호 말이 통하지 않아도 서로를 부둥켜 안았다. 자식 잃은 슬픔은 이날 이태원역의 공용어였다. 이태원 참사 3주기를 나흘 앞둔 25일, 이태원 참사 외국인 희생자 유족들이 처음으로 참사 현장을 찾았다. 곁엔 같은 보라색 조끼를 입은 한국인 희생자 유족들이 함께 했다. 화창한 햇살이 내리쬐는 해밀톤 골목은, 유족들이 서로를 위로하고 슬픔을 토해내는 울음소리로 가득찼다. 위로와 슬픔, 울음바다 된 이태원 해밀톤 호텔 골목의 외국인 유족들 ▲ 이태원참사 3주기, 유가족·외국인 유가족 부둥켜안고 눈물 10.29 이태원참사 3주기를 앞둔 25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이태원참사 현장을 찾은 희생자 유가족과 외국인 희생자 유가족이 서로를 위로하며 고통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