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의 날’이 유럽시장 확대에 도움되길”

2025년 10월 26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9개
수집 시간: 2025-10-26 18:20:44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농민신문 2025-10-25 19:00:10 oid: 662, aid: 0000080596
기사 본문

[유통가 사람들] 정찬기 대상 글로벌김치마케팅팀장 국내 원물 소비촉진 ‘청신호’ 폴란드 생산공장 건립 추진 정찬기 대상 글로벌김치마케팅팀장이 서울 종로구 대상 본사에서 유럽 현지에 판매 중인 대상 ‘종가’ 김치제품을 소개하고 있다. 대상 “한국의 진정한 ‘솔푸드(soul food)’ 김치의 다음 행선지는 유럽입니다.” 정찬기 대상 글로벌김치마케팅팀장은 “문화적 자긍심이 강해 새로운 식문화를 받아들이는 데 긴 시간이 걸렸던 유럽에서 김치가 음식을 넘어 하나의 문화로 인정받게 돼 기쁘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대상은 최근 프랑스 파리 15구에서 유럽연합(EU) 공공기관에서는 최초 사례로 ‘김치의 날’이 제정되는 데 핵심적 역할을 했다. 프랑스 한국식품 홍보 비영리단체(AMA협회)와 국내 광고기업 SF글로벌라이즈와 함께 제정안을 발의하도록 했고, 파리 15구 의회는 만장일치로 결의안을 승인했다(본지 10월13일자 6면 보도). 정 팀장은 “미국의 관세 압박으로 수출국 다각화가 중요해지는 가...

전체 기사 읽기

매일경제 2025-10-26 09:37:11 oid: 009, aid: 0005579014
기사 본문

31일~11월 2일 광주 김치축제 11월 6일~9일 괴산 김장 축제 15일~16일 진안 김치보쌈 축제 광주 김치축제/사진=광주 김치축제 공식 홈페이지 한국인의 연례행사, 김장철이 돌아왔다. 11월을 맞아 전국 곳곳에서는 가족, 이웃이 함께 김치를 담그며 즐기는 다채로운 김치 축제가 열린다. 올가을 김장 문화를 체험하고 지역별 개성 넘치는 김치 맛을 즐길 수 있는 축제 일정을 정리했다. 우리나라 근본 김치축제, ‘광주 김치축제’ 광주를 대표하는 미식 축제인 ‘ 제32회 광주김치축제 ’가 이달 31일부터 11월 2일까지 광주시청 광장 일원에서 열린다. 이번 축제는 ‘우주최광(光) 김치파티’를 주제로 △광주김치식탁 ‘천인의 밥상’ △김치경연대회 △스타셰프 푸드쇼 △김치담그기 체험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광주김치축제/사진=광주김치축제 공식 홈페이지 광주 김치축제에서는 김치로 만든 특별한 음식을 맛볼 수 있다. △묵은지광어회말이 △전복 품은 김치 볼카츠 △무등산수박김치 수육 △김치...

전체 기사 읽기

헤럴드경제 2025-10-25 08:50:09 oid: 016, aid: 0002547125
기사 본문

이하연 명인의 ‘베스트 조합 12’ 라면+파김치·볶음밥+총각김치 등 라면 [123RF] [헤럴드경제=육성연 기자] 김장할 때 꼭 등장하는 음식은 수육이다. 김장 김치만의 풍성한 맛과 담백한 수육이 어울려서다. 김치의 높아진 위상과 미식 트렌드로 ‘김치 페어링(음식 조합)’이 관심받고 있다. 종류별 김치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에 어울리는 음식을 함께 먹으면 더욱 맛있게 먹을 수 있다. 김치 전문가에 따르면 우리나라에는 200여 가지의 김치가 있다. 일반적인 배추김치외에도, 음식에 따라 곁들이기 좋은 김치 종류는 다양하다. 김치 명인이 소개하는 ‘꿀조합’ 목록을 참고해도 좋다. 이하연 명인은 저서 ‘별별김치’에서 “김치는 발효식품의 감칠맛과 매콤한 맛을 가져 다양한 음식과 잘 어울린다”며 ‘베스트 음식 조합 12’를 꼽았다. ‘김치 장인’인 그는 농림축산식품부가 지정한 대한민국 식품명인 제58호다. 목록에는 우리가 잘 아는 조합도 포함돼 있다. ‘수육+김장 김치’을 비롯해 반찬이나 안주...

전체 기사 읽기

강원도민일보 2025-10-26 14:23:11 oid: 654, aid: 0000147937
기사 본문

올해 1~9월 수입김치 24만9103t 지난해보다 12.2% 증가 김치 수출량보다 7배 많은 수치 김치협회, 외식업체 김치바우처 시행 국산 전환시 한도내 ㎏당 1280원 지원 ▲ 해양심층수산업 고성진흥원은 2024년도 '해양심층수 농식품 산업화 미생물 개발사업'을 통해 고성군 해양심층수 유래 김치 유산균을 활용한 김치를 본격 생산하고 있다. 해양심층수 유래 발효 미생물 활용 김치 모습. 고성군청 제공 배추가격이 안정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김치 수입이 급증하고 있다. 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1∼9월 국내로 들어온 외국산 김치는 24만9103t으로, 전년 동기(22만2057t)보다 12.2% 증가했다. 같은 기간 김치 수출량(3만6505t)의 7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올해 3분기 김치 수입 증가율은 12.2%로 상반기(10.1%)보다 높아, 이 추세가 이어질 경우 연간 수입량이 지난해 기록한 31만1570t을 넘어 사상 최고치를 새로 쓸 가능성이 크다. 김치 수입량은 2019년 처음으로 3...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