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9 이태원 참사 외국인 희생자 유가족 3년만에 첫 공식 방한[뉴스1 PICK]

2025년 10월 26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68개
수집 시간: 2025-10-26 18:13:53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뉴스1 2025-10-26 08:00:00 oid: 421, aid: 0008562342
기사 본문

이태원 참사 3주기 추모행사 참여한 외국인 유가족들 이태원 참사 3주기를 앞둔 25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1번 출구 앞 ‘10.29 기억과 안전의 길'을 찾은 외국인 희생자 유가족들이 슬픔에 잠겨 있다. 2025.10.25/뉴스1 ⓒ News1 이호윤 기자 이태원 참사 3주기를 앞둔 25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1번 출구 앞 ‘10.29 기억과 안전의 길'을 찾은 외국인 희생자 유가족들이 슬픔에 잠겨 있다. 2025.10.25/뉴스1 ⓒ News1 이호윤 기자 이태원 참사 3주기를 앞둔 25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1번 출구 앞 ‘10.29 기억과 안전의 길'을 찾은 외국인 희생자 유가족들이 슬픔에 잠겨 있다. 2025.10.25/뉴스1 ⓒ News1 이호윤 기자 이태원 참사 3주기를 앞둔 25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1번 출구 앞 ‘10.29 기억과 안전의 길'을 찾은 외국인 희생자 유가족들이 슬픔에 잠겨 있다. 2025.10.25/뉴스1 ⓒ News1 이호윤 기자 이태원 참사 ...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0-26 17:44:18 oid: 003, aid: 0013558802
기사 본문

[서울=뉴시스] 김근수 기자 = 10·29 이태원참사 외국인 유가족이 26일 오후 서울 종로구 별들의 집에 방문해 희생자의 사진에 얼굴을 대고 있다. (공동취재) 2025.10.26.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김근수 기자 = 26일 이태원 참사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공간인 '별들의 집'에서 7명의 외국인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행사가 열렸다. 이들은 10.29 이태원 참사 3주기를 나흘 앞둔 지난 25일, 12개 나라에서 정부 초청을 받고 온 유가족 46명이 ‘10.29 기억과 안전의 길’을 방문했다. 이태원 참사 희생자 159명 가운데 외국 국적 희생자는 26명(14개 나라)이다. 그 가족은, 참사에 대한 정보를 얻고, 진상 조사와 애도 과정에 참여하고, 지원받는 모든 과정이 한층 더 어려웠던 소외된 참사 피해자였다. 액자 거는 행사를 마친 뒤 서울 종로구에 있는 추모공간 ‘별들의 집’에 방문해 국내 유가족들을 만난다. 희생자 7명의 유가족들은 이곳에 직접 희생자 사...

전체 기사 읽기

경향신문 2025-10-26 17:51:00 oid: 032, aid: 0003404457
기사 본문

10·29 이태원참사 외국인 유가족이 26일 오후 서울 종로구 별들의 집에 방문한 가운데, 희생자의 아들이 모형 꽃을 가지고 놀고 있다. 문재원 기자 26일 오후 서울 종로구 10·29 이태원 참사 기억-소통 공간 ‘별들의 집’. 스리랑카에서 온 루드피(2)는 천진난만한 표정으로 조화를 가지고 놀았다. 자신을 바라보는 어른들의 마음이 어떤지는 알지 못하는 듯했다. 루드피를 잠시 바라보던 주변 어른들의 눈은 곧 루드피 등 뒤에 있는 벽으로 향했다. 벽에는 스리랑카 출신 모하마드 지나트의 사진이 걸려있었다. 루드피가 단 한번도 만나보지 못한 아빠, 모하마드는 2022년 10월29일 서울 이태원에서 세상을 떠났다. 당시 루드피는 엄마 배 속에 있었다. 3년 전 이태원 참사로 머나먼 타국에서 가족을 떠나보낸 가족들이 한국 정부의 초청으로 한국을 찾았다. 이란, 러시아, 미국, 호주, 중국, 일본 등 14개국에서 한국을 찾은 유가족 46명은 지난 25일 참사 현장인 용산구 이태원 ‘기억과 안...

전체 기사 읽기

오마이뉴스 2025-10-25 22:34:09 oid: 047, aid: 0002492615
기사 본문

[현장] 이태원 참사 3주기 시민추모대회... "159명 생명 꺼져가던 때 국가는 무얼했나" ▲ 10.29 이태원참사 외국인 희생자 스티네 에벤센(노르웨이)의 유가족이 25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광장에서 열린 10.29 이태원참사 3주기 시민추모대회에 참석해 정부를 향해 진상규명을 요구하고 있다. ⓒ 유성호 "스테네 에반슨의 엄마 수잔나입니다. 제 딸 아이는 한국을 살기에 아주 안전하고 멋진 나라라고 믿고 있었습니다. 부모가 상상할 수 있는 가장 최악의 내용을 담은 전화와 이메일을 받은 지 3년이 되었습니다. 아직도 전 제 딸이 세상을 떠났다는 것을 믿을 수도 없고 이해할 수도 없습니다." - 고 스테네 에반슨 어머니 수잔나 에반슨씨(노르웨이) "크리스티나는 한국에서 공부하기 위해서 왔습니다. 한국을 몹시 사랑했고 한국에서 살고 싶어했습니다. 크리스티나에게는 꿈과 목표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제 마음은 아직도 아픕니다. 이 참사의 원인을 끝까지 조사해 책임자들이 밝혀지기를 간절히 희망...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