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시, '조선왕조실록 수호' 안의·손홍록 선생 영정·흉상 제막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역사를 지켜낸 두 분의 위대한 정신을 선양하고 기억할 수 있도록 노력" 조선왕조실록을 지켜낸 정읍의 선비 안의·손홍록 선생의 숭고한 업적을 기리는 영정 봉안식·흉상 제막식이 26일 정읍시 칠보행복이음센터와 시립박물관에서 열리고 있다. /정읍시 조선왕조실록을 지켜낸 정읍의 선비 안의·손홍록 선생의 숭고한 업적을 기리는 영정 봉안식·흉상 제막식이 26일 전북 정읍시 칠보행복이음센터와 시립박물관에서 열렸다. 이날 행사에는 정세균 전 국무총리·윤준병 국회의원·이학수 정읍시장·곽영길 전북도민회 중앙회장 등 내외빈 200여 명이 참석해 두 선현의 위업을 기렸다. 이번 행사는 안의·손홍록 선생 영정 봉안·흉상 헌정 추진위원회가 주최하고, 안의·손홍록 선생 선양 모임이 주관했다. 선양 모임은 두 선생의 위업을 널리 알리고자 지난 2023년 12월 추진위원회를 발족하고 영정·흉상 제작을 추진해 왔다. 특히 두 선생의 영정·흉상은 문중 후손 각 40명의 사진을 인공지능(AI)으로 생성·도출한 표본 ...
기사 본문
후손 40명 사진 바탕으로 제작…"국난 위기 극복한 정신 기억" 안의·손홍록 선생 영정 봉안식 [정읍시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정읍=연합뉴스) 임채두 기자 = 임진왜란 당시 목숨을 걸고 조선왕조실록을 지켜낸 선비 안의와 손홍록 선생의 영정 봉안식과 흉상 제막식이 26일 정읍 칠보행복이음센터와 시립박물관에서 열렸다. 행사에는 정세균 전 총리, 더불어민주당 윤준병(정읍·고창) 의원, 이학수 정읍시장 등 200여명이 참석해 두 선현의 업적을 기렸다. 행사는 안의·손홍록 선생 영정 봉안·흉상 헌정 추진위원회와 안의·손홍록 선생 선양 모임이 함께 치렀다. 안의·손홍록 선생의 영정과 흉상은 인공지능으로 생성한 문중 후손 40명의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돼 의미를 더했다고 정읍시는 설명했다. 영정은 소미정 작가가, 흉상은 김소영 조각가가 맡아 완성했다. 이학수 정읍시장은 "국난의 위기에서 우리의 역사를 지켜낸 두 분의 위대한 정신을, 정읍을 넘어 대한민국 전체가 선양하고 기억할 수 있도록 노...
기사 본문
임진왜란 때 조선왕조실록을 지켜낸 안의·손홍록 선생의 업적을 기리는 행사가 오늘(26일) 전북 정읍에서 열렸습니다. 정읍 지역 유생인 두 선생은 전쟁으로 한양과 충주, 성주의 조선왕조실록이 모두 불타고, 전주 경기전에 보관된 전주 사고본마저 훼손될 위기에 처하자, 개인재산을 털어 이를 내장산 용굴암으로 옮겼습니다. 국보 제151호인 조선왕조실록은 태조부터 철종까지 472년의 역사를 담은 기록물로, 지난 1997년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됐습니다. 두 선생이 약 370일간 불침번을 서며 실록을 지킨 기록은 전북유형문화재인 '수직상체일기'에 남아 있습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기사 본문
전북 정읍시가 전란으로부터 조선왕조실록(국보 제151호)을 지켜낸 안의·손홍록 선생의 업적을 기리는 행사를 연다. 정읍시는 26일 오전 11시 칠보면 행복이음센터와 시립박물관에서 각각 안의·손홍록 선생의 영정 봉안식과 흉상 제막식을 개최한다고 25일 밝혔다. 조선왕조실록은 임진왜란 때 한양과 충주·성주 사고본이 모두 소실되는 위기에서 전주사고본만이 안의·손홍록 선생의 헌신으로 보존될 수 있었다. 두 선생은 1592년 전주사고가 위협받자 실록과 고려사, 태조 어진 등을 내장산 용굴암으로 옮겨 370여 일간 지켜냈다. 이번 행사는 지난해 발족한 '안의·손홍록 선생 선양모임'이 주최하고 정읍시가 후원한다. 영정은 소미정 화백이, 흉상은 김소영 조각가가 제작했다. 정세균 전 국무총리, 윤준병 국회의원, 이학수 정읍시장 등이 참석해 이들의 업적을 기릴 예정이다. 정읍시 관계자는 “두 분의 희생적 정신을 기리며 지역의 역사적 가치를 재조명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