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위생교육 온라인으로…서울시, 소상공인 규제개선 건의

2025년 10월 26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9개
수집 시간: 2025-10-26 16:04:14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연합뉴스 2025-10-26 11:15:04 oid: 001, aid: 0015700951
기사 본문

반찬가게도 일반음식점과 동일한 영업기준 적용 등 6건 발굴·요청 서울시청 [촬영 안 철 수] 2024.5.14 (서울=연합뉴스) 정수연 기자 = 서울시는 식품위생교육을 온라인으로 받을 수 있게 하는 등 규제 6가지를 개선해달라고 지난 24일 국무조정실에 건의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과제는 시가 지난 7월 규제개선 발굴을 위해 구축한 핫라인을 통해 접수된 것으로, 한국휴게음식업중앙회·한국식품산업협회 등이 제안한 내용을 관련 부서와 전문가 검토를 통해 선정했다. 우선 식당 창업 시 영업 신고를 하기 위해 교육기관을 방문해 들어야만 하는 식품위생교육을 온라인으로도 할 수 있게 해달라고 건의했다. 음식점에서 위생관리책임자로 일하며 교육받았더라도 자신 명의로 창업하려면 똑같은 내용을 다시 들어야 했던 식품위생교육을 중복 수강하지 않아도 되게끔 개선해 달라고 법 개정을 요청했다. 반찬 등을 만들어 판매하는 행위는 동일함에도 식당(일반음식점) 대비 반찬가게에 더 엄격한 기준이 적용되는 불합리...

전체 기사 읽기

한국일보 2025-10-26 15:39:06 oid: 469, aid: 0000893878
기사 본문

위생교육 중복 수강 면제 등 여섯 가지 규제 개선 요청 서울시청 전경. 한국일보 자료사진 서울시가 소상공인 지원을 위해 '창업·운영·폐업' 과정의 불합리한 규제를 개선해 달라고 정부에 요청했다. 시는 소상공인 단체와의 간담회 등을 통해 현장에서 느끼는 불합리한 규제 6개를 선정, 국무조정실에 개선을 건의했다고 26일 밝혔다. 우선 식당 창업 시 영업 신고를 위해 교육기관을 찾아가 들어야만 하는 식품위생교육을 온라인으로 할 수 있게 해달라고 건의했다. 음식점 위생관리책임자로 교육을 받았더라도 자신의 명의로 창업하려면 똑같은 내용을 다시 들어야 하는 식품위생교육 중복 수강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법 개정도 요청했다. 반찬가게의 업종 분류를 식당(일반음식점)과 마찬가지로 '식품접객업'으로 통일해 달라고도 했다. 반찬가게는 '즉석판매·제조가공업'으로 분류돼 900개가 넘는 품목을 원산지 표기하고 정기적으로 품질검사를 받아야 하지만 식당은 반찬 등을 따로 팔더라도 29개 품목만 원산지 표시하...

전체 기사 읽기

파이낸셜뉴스 2025-10-26 12:52:11 oid: 014, aid: 0005424524
기사 본문

온라인 식품위생교육 허용...반찬가게 원산지 규제 완화 수족관 원산지표시 범위 축소..."눈에 보이는 곳만" 전국 폐업신고 허용해 창·폐업 절차 간소화 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서울시가 소상공인이 창업부터 폐업까지 겪게 되는 규제를 걷어낸다. 경영 환경의 실질적인 개선을 위해 서울시는 정부에 불합리한 제도를 개선해 줄 것을 요청했다. 서울시는 소상공인 단체와의 간담회, 설문조사 등 현장에서 느끼는 창.폐업 과정상 불합리한 규제 6가지를 선정하고 지난 24일 국무조정실에 건의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건의를 시작으로 직능단체.시민으로부터 분야 및 대상별 규제를 발굴, 정부에 지속 건의할 방침이다. 이번 과제는 지난 7월, 규제개선 발굴을 위해 구축한 ‘핫라인’을 통해 접수했다. 한국휴게음식업중앙회·한국식품산업협회 등이 현장 의견을 제안하고, 관련 부서 및 전문가 검토 등을 통해 선정했다. 서울시소상공인연합회.한국휴게음식업중앙회 등과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 74%가 ...

전체 기사 읽기

아시아경제 2025-10-26 11:15:00 oid: 277, aid: 0005669540
기사 본문

창업~폐업 불합리 규제 6건 발굴 '손님이 볼 수 있는 수족관'만 표기 등 市 "숨통 틔워드리기 위해 건의 추진" 서울시가 식당 창업 시 교육기관을 방문해 들어야 하는 식품위생교육을 '온라인'으로도 할 수 있도록 정부에 개선안을 건의했다. 소상공인의 행정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것으로, 반찬가게에만 적용하는 과도한 품질검사 의무도 개선을 요청했다. 서울시는 소상공인 단체와의 간담회, 설문조사 등을 통해 창·폐업 과정상 불합리한 규제 6가지를 선정해 지난 24일 국무조정실에 건의했다고 26일 밝혔다. 시는 이번 건의를 시작으로 직능단체·시민으로부터 분야 및 대상별 규제를 추가 발굴, 정부에 지속 건의할 방침이다. 서울 신촌의 한 상가밀집지역. 조용준 기자 이번 과제는 서울시가 지난 7월, 규제개선 발굴을 위해 구축한 '핫라인'을 통해 접수된 것으로 한국휴게음식업중앙회, 한국식품산업협회 등이 불합리하다고 느낀 규제를 제안하면서 선정됐다. 시가 이들과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