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침수 위험 지하차도에 스마트 진입차단 시설 설치 완료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침수 위험 큰 94개 지하 차도 대상 [서울=뉴시스] 지하차도 진입차단시설 가동 사진. 2025.10.24. (사진=서울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박대로 기자 = 집중 호우 시 침수 우려가 있는 서울 시내 94개 지하 차도에 '스마트 차단 시설' 설치가 완료됐다. 서울시는 지하 차도 침수 위험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응하기 위해 전국 최초로 관제와 자동 제어, 사물인터넷(IoT) 기능 등을 융합한 지하 차도 진입 차단 시설을 구축해 가동 중이라고 26일 밝혔다. 진입 차단 시설은 지하 차도 내 설치된 폐쇄회로(CC)TV와 감지기를 통해 침수 위험이 감지되면 진입 차단막을 내리고 전광판, 경보기 등을 울려 운전자들에게 위험을 공지하고 진입 자체를 통제하는 도로 시설물이다. 지하 차도 바닥에 있는 2개 이상 감지기가 3초 이상 침수를 연속 감지해야 상황실로 신호가 전송된다. 오작동으로 인한 시민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간 침수 경보가 울리면 상황실 관리자...
기사 본문
집중호우 시 침수 우려가 있는 서울 시내 94개 지하차도에 스마트 차단 시설이 설치됐습니다. 서울시는 지하차도 침수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 2023년부터 모두 34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관제, 자동제어, 사물인터넷(IoT) 기능을 융합한 지하차도 진입 차단 시설을 구축했다고 오늘(26일) 밝혔습니다. 이번 스마트 차단 시설은 시내 지하차도 중점 관리 대상 95곳 중 수위에 따라 통제되는 가람교지하차도를 제외한 94곳에 설치가 완료됐습니다. 스마트 차단 시설은 지하차도에 설치된 CCTV와 감지 센서를 통해 침수 위험이 감지되면 차단막을 내리고 전광판, 경보기 등을 작동해 진입을 통제하도록 설계됐습니다. 한편, 서울시는 이번 지하차도 진입 차단 시설 자동 차단 시스템에 대해 특허 출원 중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서울시 제공]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기사 본문
감지센서 정확도 높여…오작동 최소화 8년 앞당겨 설치…국비 등 340억 투입 이중 안전 체계 구축…원격제어 가능 [이데일리 김형환 기자] 침수 위험이 큰 서울 지역의 지하차도에 스마트 진입 차단시설이 설치돼 자동으로 차단된다. 서울 지하차도에 설치된 ‘스마트 차단 시설’ 모습. (사진=서울시 제공) 서울시는 서울 시내 94개 지하차도에 ‘스마트 차단 시설’ 설치가 완료됐다고 26일 밝혔다. 진입차단시설은 지하차도 내 설치도니 폐쇄회로(CC)TV와 감지센서를 통해 침수위험이 감지되면 진입차단막을 내리고 전광판, 경보기 등을 울려 운전자들에게 위험을 신속하게 공지, 진입 자체를 통제하는 도로 시설물이다. 서울시는 지하차도 침수위험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응하기 위해 전국 최초로 ‘관제’, ‘자동제어’, ‘IoT’ 기능 등을 융합한 지하차도 진입 차단 시설을 구축해 본격 가동하고 있다. 차단 시설에 설치된 ‘침수 감지 센서’ 정확도를 높여 오작동을 막고 수위 변화에 따라 단계적 알림을...
기사 본문
관제·자동제어·IoT 기능 융합…센서 연속 감지로 정확도 향상 지하차도 진입차단시설 가동 사진 [서울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정수연 기자 = 집중호우 시 침수 우려가 있는 서울 시내 94개 지하차도에 스마트 차단시설이 생겼다. 서울시는 지하차도 침수위험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응하기 위해 전국 최초로 관제, 자동제어, 사물인터넷(IoT) 기능을 융합한 지하차도 진입 차단 시설을 구축했다고 26일 밝혔다. 지하차도에 설치된 폐쇄회로(CC)TV와 감지 센서를 통해 침수위험이 감지되면 차단막을 내리고 전광판, 경보기 등을 작동해 진입을 통제하는 시설물이다. 당초 시는 공사로 인한 차량 통제로 발생할 수 있는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2033년까지 진입 차단시설을 순차적으로 설치할 예정이었으나 8년 앞당긴 올해 설치를 완료했다. 설치를 위해 2023년부터 2년간 투입된 예산은 340억원(국비 113억원)이다. 시내 지하차도 중점 관리 대상 95곳 중 94곳에 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