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뇌사 외 심장사에도 장기 기증 도입

2025년 10월 17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55개
수집 시간: 2025-10-17 09:42:00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연합뉴스TV 2025-10-16 11:21:13 oid: 422, aid: 0000791426
기사 본문

장기 기증·이식 신청 방법 [보건복지부 제공] 앞으로 뇌사 외에 연명의료 중단 후 혈액 순환이 완전히 멈춰 심장사(순환정지)한 경우에도 장기 기증을 할 수 있게 됩니다. 장기 기증 희망 등록을 늘리기 위해 등록 기관은 현재의 2배 가까이 확충합니다. 보건복지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장기 등 기증 및 이식에 관한 종합계획(2026∼2030)을 오늘(16일) 발표했습니다. 장기·조직 기증 및 이식에 관한 국가 차원의 첫 번째 종합계획입니다. 정부는 이번 계획을 통해 장기 기증 희망 등록률을 작년 3.6%에서 2030년 6.0%로 올리고, 같은 기간 100만명당 뇌사 장기 기증자는 7.8명에서 11.0명, 조직 기증자는 2.8명에서 3.8명으로 늘린다는 방침입니다. 복지부에 따르면 국내 장기 기증은 뇌사에만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데, 뇌사 장기 기증자는 2020년 478명에서 지난해 397명으로 줄었습니다. 반면 고령화, 만성질환 증가 등으로 장기 이식 대기자는 같은 기간 4만3,182명에...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0-16 12:22:55 oid: 003, aid: 0013538528
기사 본문

장기이식 대기자 늘었지만 뇌사자 기증은 감소 복지부, 수급불균형 해결 위한 첫 종합계획 마련 'DCD 도입' 장기이식법·연명의료결정법 개정 추진 기증자 예우 강화…기증희망 등록 접수처 2배 확대 의료기관 지원 확대…뇌사기증 관리 수가 현실화 장기기증희망등록률 2030년 6.0% 달성 목표로 추진 [서울=뉴시스] 연도별 장기이식 대기자 및 뇌사기증자 현황 (자료=복지부 제공) 2025. 10. 16.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정유선 김상윤 수습 기자 = 정부가 뇌사자뿐 아니라 연명의료 중단 후 심장사한 사람도 장기기증이 가능하도록 법제화에 나선다. 장기기증 희망등록 접수처 수를 2배 이상 늘리고, 기증자와 가족에 대한 사회적 예우를 강화한다. 보건복지부는 16일 이러한 내용이 담긴 '제1차 장기 등 기증 및 이식에 관한 종합계획(2026~2030)'을 확정해 발표했다. 고령화와 의료기술 발달에 따라 장기이식을 기다리는 대기자는 해마다 늘고 있다. 전체 장기이식 대기자는 ...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0-16 14:09:41 oid: 003, aid: 0013538732
기사 본문

복지부, '장기 기증·기증 종합계획안' 발표 "법 개정 통과 위해서는 국민 공감대 중요" "암·감염병 질환자 제외…최대 200명 추가" [서울=뉴시스] 추상철 기자 = 이형훈 보건복지부 제2차관이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차 장기 등 기증 및 이식 종합계획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5.10.16. scchoo@newsis.com [세종=뉴시스] 박영주 김상윤 수습 기자 = 이삼열 한국장기조직기증원 원장은 16일 "DCD(순환 정지 후 장기기증 제도) 법이 통과되면 많은 이식 대기자와 실제 기증의 갭(격차)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원장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된 '제1차 장기 등 기증 및 이식에 관한 종합계획안' 브리핑에서 "연명의료법과 장기이식법 개정이 빨리 통과되기 위해서는 국민 공감대가 중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복지부에 따르면 장기 이식 대기자는 지난해 12월 기준 5만4789명으로 2020년 4만3182명보다 1만1607명(26.9...

전체 기사 읽기

머니투데이 2025-10-16 14:34:03 oid: 008, aid: 0005263832
기사 본문

(상보) 보건복지부 '장기등 기증 및 이식에 관한 종합계획' 장기 기증·이식의 간극을 좁히기 위해 포괄적 대책 마련 [서울=뉴시스] 추상철 기자 = 이형훈 보건복지부 제2차관이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차 장기 등 기증 및 이식 종합계획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5.10.16. scchoo@newsis.com /사진=추상철 정부가 뇌사자뿐 아니라 연명의료 중단 후 심장사한 사람도 장기기증이 가능하도록 법제화에 나선다. 장기기증 희망등록기관을 두 배 이상 늘리고 기증자와 가족에 대한 사회적 예우를 강화한다. 보건복지부는 16일 서울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제1차 장기등 기증 및 이식에 관한 종합계획'(2026~2030년)을 발표했다. 2023년 '장기등 이식에 관한 법률' 개정으로 근거를 마련한 후 장기 기증·이식의 간극을 좁히기 위해 정부가 내놓은 첫 번째 대책이다. 고령화와 의료기술의 발달로 장기 이식을 기다리는 대기자는 늘고 있다. ...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