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 차없는 길' 처럼 안전한 통학로 만들자"..부산시·경찰청·교육청 협의체 구성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지난 24일 부산시청에서 열린 ‘15분 도시 안전한 통학로 조성을 위한 킥오프 회의’ 현장. 부산시 제공 [파이낸셜뉴스] 학생들이 안심하고 등·하교할 수 있는 통학로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 부산지역 일선 기관들이 이를 전문적으로 맡을 협의체 구성에 나설 전망이다. 부산시와 부산경찰청, 부산교육청 등은 지난 24일 시청에서 ‘15분 도시 안전한 통학로 조성을 위한 킥오프 회의’를 개최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회의에서 각 기관은 학생 중심의 안전한 통학로를 조성하기 위해 이전의 사업 추진 방식에서 벗어나 보행자와 차량의 동선 분리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이전까지 부산시의 통학로 안전 사업들은 차량의 차도 이용시간 제한 등의 방식이 주가 됐다. 이를 위해 민·관이 협력해 사업 추진 방향을 함께 논의하고 여러 문제점을 해결할 협의체를 꾸리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에 뜻을 모았다. 이에 시는 경찰청, 교육청과 학부모·시민단체, 교통·교육 전문가 등과 함께 조만간 협의체를 구성한다는 계획이다...
기사 본문
경찰·교육청 협력해 보행자 중심 도로로 전환 도막포장·차 없는 길 등 생활형 안전모델 도입 학생·학부모 참여하는 민관 협의체 구성 추진 프랑스 파리 시내 학교 인근 ‘차 없는 길(Rue aux enfants)’ 전경. 차량 통행을 제한하고 벤치와 녹지, 놀이공간을 조성해 보행자 중심의 안전한 거리로 탈바꿈한 모습이다. /부산시 제공 부산시가 ‘15분도시’ 정책을 아이들의 등굣길로 확장한다. 부산시는 학생들이 안심하고 등·하교할 수 있는 ‘15분도시 안전한 학교 가는 길’ 조성에 나선다고 26일 밝혔다. 단순한 교통 통제에서 벗어나 보행자 중심의 도로체계를 재설계해 아이들이 더 안전하게 걸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사업이다. 도로 왼쪽의 유휴공간을 활용해 조성된 보행자 전용 보도. 차량 통행이 불가능한 구간에 보행공간을 확보해 안전성과 접근성을 높였다./부산시 제공 시는 지난 24일 시청에서 성희엽 미래혁신부시장 주재로 관계 기관 국장급 첫 기획 회의를 열고 사업 추진 방안을 논의했다...
기사 본문
기존 도로 표면에 시인성을 높이는 얇은 막을 도포해 시각적으로 보행자와 자동차의 동선을 분리한 보행자 안심 도로 예시. 부산시 제공 26일 부산시에 따르면 지난 24일 시와 부산경찰청, 부산시교육청 등 기관 국장급이 관계자가 ‘15분 도시 안전한 학교 가는 길’ 조성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 참석자들은 학생 중심의 완전한 안전 통학로를 조성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자동차의 학교 주변 차도 이용 시간을 제한하는 등 기존 방식으로는 안전한 통학로를 만드는 데 한계가 있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이에 따라 앞으로는 보행자와 자동차의 동선을 분리하는 통학로를 조성하기로 하고, 민간과 협의체를 구성하고 주요 문제점을 해결할 방안을 찾기로 했다. 협의체는 통학로 사고 실태를 조사하고 개선 계획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차 없는 길, 보행자 전용 보도, 도로에 색깔을 입혀 시각적으로 동선을 분리하는 보행자 안심도로 등 3가지 유형의 통학로를 조성해 나간다. 경사지와 이면도로 등 ...
기사 본문
부산시(시장 박형준)가 학생들이 안심하고 등·하교할 수 있는 '15분도시 안전한 학교 가는 길' 조성을 위해 부산경찰청, 부산교육청 등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시는 지난 10월 24일 시청에서 성희엽 미래혁신부시장 주재로 국장급 첫 회의를 열고 관련 실·국과 부산경찰청 교통과, 부산교육청 안전총괄과 등 관계 기관이 참석한 가운데 사업 추진 방향을 협의했다. 이날 회의에서 학생 중심의 안전한 통학로를 만들기 위해 기존의 '차도 이용 시간제한' 중심의 사업 방식에서 벗어나 보행자와 차량의 동선 분리가 중요하다는 데 공감대가 형성됐다. 참석자들은 이를 위해 민관이 함께 협력해 주요 사업 방향을 논의하고 문제를 해결할 협의체 구성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모았다. 부산시는 경찰청, 교육청을 비롯해 학부모, 시민단체, 교통·교육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15분도시 안전한 학교 가는 길 협의체'를 구성해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협의체는 학교 통학로 사고 실태를 조사하고 개선방안을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