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족·정부 '10·29 이태원참사' 첫 공동 추모행사 연다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오늘 '별들과 함께, 진실과 정의로' 주제로 서울시청 광장서 추모대회 외국인 희생자 유가족 40여명 첫 초청…참사 현장서 4대 종단 기도회·추모행진 정부 공식 추모식 29일 광화문광장…1분간 서울전역 추모 사이렌 ▲ 10.29 이태원 참사 3주기를 엿새 앞둔 지난 23일 이태원 참사가 일어났던 이태원역 1번 출구 인근에 전시된 추모 사진 전시 앞에서 유가족들이 서로를 껴안고 있다. 연합뉴스 '10·29 이태원참사' 3주기를 맞아 유가족과 정부가 처음으로 함께 희생자를 추모한다. 행정안전부는 25일 오후 6시34분 서울시청 광장에서 '10·29 이태원참사 유가족협의회', '10·29 이태원참사 시민대책회의', 서울시와 공동으로 시민추모대회를 연다고 밝혔다. 이번 추모대회 주제는 '별들과 함께, 진실과 정의로'다. 이날 행사에는 김민석 국무총리를 비롯한 정부 주요 인사, 정당·종교단체 대표, 시민단체, 일반 시민 등 약 4000명이 참석해 159명의 희생자를 추모하고 유가족을 위로한다....
기사 본문
[현장] 이태원 참사 3주기 시민추모대회... "159명 생명 꺼져가던 때 국가는 무얼했나" ▲ 10.29 이태원참사 외국인 희생자 스티네 에벤센(노르웨이)의 유가족이 25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광장에서 열린 10.29 이태원참사 3주기 시민추모대회에 참석해 정부를 향해 진상규명을 요구하고 있다. ⓒ 유성호 "스테네 에반슨의 엄마 수잔나입니다. 제 딸 아이는 한국을 살기에 아주 안전하고 멋진 나라라고 믿고 있었습니다. 부모가 상상할 수 있는 가장 최악의 내용을 담은 전화와 이메일을 받은 지 3년이 되었습니다. 아직도 전 제 딸이 세상을 떠났다는 것을 믿을 수도 없고 이해할 수도 없습니다." - 고 스테네 에반슨 어머니 수잔나 에반슨씨(노르웨이) "크리스티나는 한국에서 공부하기 위해서 왔습니다. 한국을 몹시 사랑했고 한국에서 살고 싶어했습니다. 크리스티나에게는 꿈과 목표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제 마음은 아직도 아픕니다. 이 참사의 원인을 끝까지 조사해 책임자들이 밝혀지기를 간절히 희망...
기사 본문
[ 앵커 ] 이태원 참사로 희생된 159명을 기리는 3주기 추모대회가 서울광장에서 열렸습니다. 정부와 서울시도 유가족협의회와 함께 추모대회를 공식 주관했는데요. 정부 고위급 인사가 참석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최지원 기자가 현장에 다녀왔습니다. [ 기자 ] 3년 전 159명이 스러져 간 골목에 국화꽃이 놓였습니다. 4대 종교인들은 종교를 뛰어넘어 한마음으로 희생자들의 안식을 빌었습니다. 서울광장에는 그들을 기리는 메시지판과 추모부스가 들어섰습니다. 10·29 이태원 참사 희생자들을 기리는 3주기 추모대회입니다. 지난 2022년 10월 29일, 첫 인파 밀집 우려 신고가 있었던 18시 34분, 희생자 159명의 이름을 부르는 호명식으로 본 행사가 시작됐습니다. 한사람 한사람 이름과 함께 화면에 그려지는 그리운 얼굴에 유가족과 시민들은 눈물을 훔쳤습니다. 정부 고위급 인사로는 처음으로 추모대회에 참석한 김민석 국무총리는 진상 규명은 미흡했고 징계는 부실했다며 상응하는 조치를 계속 취하...
기사 본문
[현장] 이태원 참사 3주기, 첫 참사 현장을 찾은 외국인 유족들... "가늠할 수 없는 슬픔" ▲ 10.29 이태원참사 3주기를 앞둔 25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이태원참사 현장에 외국인 희생자 유가족이 찾아 현장을 살펴보며 눈물을 흘리고 있다. ⓒ 유성호 말이 통하지 않아도 서로를 부둥켜 안았다. 자식 잃은 슬픔은 이날 이태원역의 공용어였다. 이태원 참사 3주기를 나흘 앞둔 25일, 이태원 참사 외국인 희생자 유족들이 처음으로 참사 현장을 찾았다. 곁엔 같은 보라색 조끼를 입은 한국인 희생자 유족들이 함께 했다. 화창한 햇살이 내리쬐는 해밀톤 골목은, 유족들이 서로를 위로하고 슬픔을 토해내는 울음소리로 가득찼다. 위로와 슬픔, 울음바다 된 이태원 해밀톤 호텔 골목의 외국인 유족들 ▲ 이태원참사 3주기, 유가족·외국인 유가족 부둥켜안고 눈물 10.29 이태원참사 3주기를 앞둔 25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이태원참사 현장을 찾은 희생자 유가족과 외국인 희생자 유가족이 서로를 위로하며 고통과...
기사 본문
이태원 참사 3주기 서울광장 4천명 모여 희생자 추모 외국인 희생자 21명 유족도 참여 “진실 규명이 가장 큰 추모” 25일 서울시청 광장에서 열린 이태원 참사 3주기 시민추모대회에서 외국인 희생자 유가족들이 슬픔에 잠겨있다. ⓒ연합뉴스 "참사의 진실을 밝히고 책임을 묻는 것, 그것은 살아있는 우리의 사명이다. 다시는 이런 비극이 반복되지 않도록 하는 것, 그것이 우리가 할 수 있는 가장 큰 추모다." 3년 전 이태원 참사로 아들 이재현씨를 잃은 송해진 이태원참사 유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은 지난 25일 서울광장에서 열린 10.29 이태원 참사 3주기 시민추모대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날 추모 행사에는 추모의 의미를 담아 보라색 재킷을 입은 시민 4천명과 정부 공식 초정으로 외국인 희생자 21명의 유가족 45명이 함께 했다. 송 위원장은 "유가족과 피해자들은 지금 이 순간에도 트라우마와 싸우고 있다. 그런데 누군가는 여전히 온라인에서 이들을 조롱하고 있다. 외국인 유가족들은 더욱 참담했...
기사 본문
10·29 이태원참사 3주기를 앞두고 지난 23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1번출구 앞 기억과 안전의 길에 새롭게 마련된 빌보드 작품 앞에서 참사 유가족들과 시민대책위 관계자들이 포옹하고 있다. 김창길 기자 오는 29일 오전 10·29 이태원참사 3주기를 추모하는 사이렌이 서울 전역에 울린다. 행정안전부는 29일 광화문광장에서 열리는 정부 공식 추모식인 10·29 이태원참사 3주기 기억식 시작에 맞춰 오전 10시 29분부터 1분간 추모사이렌이 울린다고 26일 밝혔다. 행안부는 “참사 희생자를 기리고 묵념에 참여할 수 있도록 서울 전역에서 동시에 울릴 예정”이라며 “참사를 개인이 아닌 공동체 책임으로 인식하고 참사 재발 방지를 위한 다짐을 되새기기 위한 의미를 담았다”고 설명했다. 행안부는 범국민적 추모와 애도 분위기 조성을 위해 전국 지자체와 함께 청사 게시판 등 주요 장소에 3주기 추모 현수막을 10월 말까지 게시한다. 심영재 10.29 이태원참사 피해구제추모지원단장은 “이날 사이렌은...
기사 본문
광화문광장 ‘3주기 기억식’ 시작에 맞춰 1분간 묵념 이태원 참사 3주기를 앞둔 25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골목 참사 현장을 찾은 외국인 희생자 유가족이 오열하고 있다.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오는 29일 오전 10시29분, 서울 전역에 1분간 사이렌이 울린다. 10·29 이태원참사 3주기를 맞아 유가족과 정부가 처음으로 함께 희생자를 추모하는 ‘3주기 기억식’ 시작에 맞춰, 공동체 구성원들이 함께 묵념하기 위함이다. 행정안전부는 26일 정부 공식 추모식인 이태원참사 ‘3주기 기억식’이 29일 오전 10시29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다고 밝혔다. 추모식은 정부 대표와 유가족 등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 전역에 1분간 추모 사이렌이 울리며 시작된다. 행안부는 희생자 추모를 위해 전국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청사 게시판 등 주요 장소에 추모 현수막을 10월말까지 게시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25일 저녁 6시34분엔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시민대책회의, 행안부·서울...
기사 본문
25일 서울광장서 3주기 시민추모대회 "159명 희생자 유가족의 멈춘 3년" 정부·외국인 유가족 3주기 행사로 처음 모여 김민석 국무총리 "책임에 상응하는 조치 약속" 25일 서울시청 앞 서울광장에서 열린 10·29 이태원참사 3주기 시민추모대회에서 외국인 희생자 유가족이 울음을 참고 있다. 김수진 기자 "참사의 진실을 밝히기 위한 진상 조사가 시작되었습니다. 특별법이 제정되었고, 특별조사위원회가 지난 6월부터 조사를 시작했습니다. 생존 피해자 분들, 목격자 분들, 특조위의 조사 신청을 해 주십시오. 여러분들이 그날 보신 것 겪으신 것을 말씀해 주십시오. 여러분들의 목소리가 곧 진실의 목소리입니다. 지난 3년간 그것이 저희의 유일한 희망이었습니다." 10·29 이태원참사 유가족협의회 송해진 운영위원장(고 이재현군 어머니)은 25일 저녁 서울 중구 서울광장에서 개최된 '10·29 이태원 참사 3주기 시민추모대회' 인사말을 통해 슬픔을 딛고 연대의 힘으로 진실을 규명하기 위한 시민들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