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 한 달…완전복구 시점 '20개 시스템'에 달려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25일 기준 전산망 복구율 70% 넘어서 윤호중 장관 "시스템 이중화 시범사업 조속히 완료" 연합뉴스 배터리 이전 작업 중 발생한 화재로 국가 행정 전산망 가동이 모두 중단되는 초유의 사태가 빚어진지 한 달이 넘도록 복구 작업이 이어지고 있다. 25일을 기준으로 복구율이 70%를 넘어섰지만 모든 전산망이 완전히 정상화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5일 밤 9기 기준 전체 709개 시스템 가운데 72.5%인 514개가 정상화됐다. 이날 복구된 서비스는 문화체육관광부의 e브리핑과 e브리핑 업무지원 등 4개로 정부는 전체 시스템의 97%를 11월 20일까지 복구한다는 계획이다. 다만 화재에 직접 영향을 받아 재설치해야 하는 20개 시스템의 복구 시점은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이다. 단순 화재에 전체 행정전산망 '셨다운' …'시스템 이중화' 속도 내나? 류영주 기자 이번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한 가장 큰 교훈은 전산망 시스템이 이중화되지 않아 화재 등 사...
기사 본문
국정자원 화재 전산망 장애 한달…총체적 문제 드러나 전원 차단 않고 배터리 잔량 초과…무경험 작업자 투입 쌍둥이 시스템 '이중화' 구축한다더니…예산 '셀프' 삭감 내년 이중화 예산도 반영 안돼…재발 방지책 마련 '속도' [세종=뉴시스] 강종민 기자 =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과 이용석 행안부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이 지난달 30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관련 중대본 회의 브리핑에서 허리숙여 인사하고 있다. 025.09.30. ppkjm@newsis.com [서울=뉴시스] 강지은 기자 =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에 따른 정부 전산망 장애가 오는 26일로 한 달을 맞는 가운데, 이번 사태가 전형적인 '인재'(人災)였다는 정황이 곳곳에서 드러나고 있다. 불법 하도급을 통해 경험이 전혀 없는 업체가 배터리 이전 작업을 진행하고, 정보 시스템 관리에 필수적인 '이중화' 조치도 미비했던 것으로 파악되면서 총체적 관리 부실이 도마에 올랐다. 정부는 전산망...
기사 본문
[국정자원 한 달]① 피해 시스템 늘고 복구 목표 수정 주요 행정서비스 먹통…11월 20일까지 정상화 불확실 9월26일 오후 8시20분께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불이 나 소방당국이 진화 작업을 하고 있다. 2025.9.27/뉴스1 ⓒ News1 김종서 기자 (서울=뉴스1) 한지명 기자 =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센터 화재로 정부 행정정보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한 지 한 달이 된 25일 여전히 행정 전산망 30%가 마비 상태에 있다. 당초 정부가 제시한 '4주 복구' 목표는 이미 지나 완전 정상화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더 걸릴 전망이다. 화재 피해가 전산실 전 층으로 확산돼 장비 교체와 데이터 이관이 지연되고 있고, 일부 시스템은 대구센터 이전 계획이 조정되면서 복구 일정에 변동이 생겼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다만 이번 사태로, 배터리 교체 과정에서 발생한 화재로 국가 전산망이 동시에 마비되면서 행정망 관리의 구조적 취약성이 드러났다. 피해 '647→709개'로 늘고 ...
기사 본문
[앵커] 정부 전산망 마비 사태를 일으킨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가 발생한 지 한 달이 지났습니다. 경찰 수사를 통해 인재 정황이 속속 드러났는데요. 정부의 복구 작업이 예정보다 더디게 진행되면서 완전 복구까지는 시간이 더 걸릴 전망입니다. 오승훈 기자입니다. [기자] 배터리 쪽에서 불꽃이 터지고 작업자들이 황급히 대피합니다. 국정자원 전산실 화재는 무정전 전원장치 배터리를 지하로 옮기던 과정에서 발생했습니다. 이번 화재로 정부 전산망이 마비된 지 한 달째. 경찰 수사를 통해 불법 하도급 등 인재 정황이 속속 확인됐습니다. 경찰 조사 결과 국정자원으로부터 배터리 이전 작업을 낙찰받은 업체가 아닌 제3의 다른 업체가 공사를 진행한 정황이 확인됐습니다. 당시 현장에 있던 작업자들은 배터리 이전 설치 경험이 없는 재하도급 업체 직원이었던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조대현 / 대전경찰청 형사기동대장 (지난 22일) : 해체하고 이전을 해야 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훨씬 더 위험성이 큰데 이 부분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