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가공업체 정화조서 작업자들 질식…2명 사망·2명 중태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외주 근로자들 배관 작업 중 사고 소방당국, 유해가스 노출 조사 중 [이데일리 채나연 기자] 경북 경주시 한 아연가공업체의 정화조 내부에서 작업하던 근로자들이 질식으로 쓰러져 2명이 숨지고 2명이 중태에 빠졌다. 구급차. (사진=연합뉴스) 소방당국에 따르면 25일 오전 11시 31분께 경북 경주시 안강읍 두류공업지역 아연가공업체 지하에 설치된 정화조 내에서 작업하던 4명이 질식으로 쓰러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병원으로 이송된 40대~50대 작업자 2명은 숨졌으며 나머지 2명도 의식이 없는 상태로 중태에 빠졌다. 당시 외부에 있던 동료 작업자가 정화조 내부 약 2m 지점에 쓰러져 있는 이들을 발견하고 신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은 경기도 소재의 실린더 교체·정비 외부 업체 소속 직원으로 해당 업체의 의뢰를 받아 현장 작업 중이던 것으로 파악했다. 작업자들은 지난 17일에도 같은 정화조 내부에서 페인트 작업을 진행했으며 이날은 배관 교체 작업 도중 사고가 난 것으로 조사됐다. 소방당국은...
기사 본문
사고가 발생한 지하 수조. 경북소방본부 제공 경북 경주의 한 아연가공업체에서 수조 내 배관 공사를 하던 작업자 4명이 유해가스에 중독돼 2명이 숨지고 2명은 의식을 잃었다. 노동부는 중앙산업재해수습본부를 꾸리고 대응에 나섰다. 경북소방본부에 따르면 25일 오전 11시 31분쯤 경주시 안강읍 두류공단의 아연가공업체에서 수조 내 배관 공사를 하던 작업자 4명이 질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119 구급대가 이들을 구조해 인근 병원으로 이송했지만 50대 A씨와 60대 B씨는 숨졌다. 또 다른 작업자 2명 중 한 명은 의식을 회복했지만, 나머지 한 명은 아직 중태에 빠져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과 소방관들이 사고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독자 제공 작업자들은 경기도에 있는 배관 업체 소속 직원들로 지난 17일 2m 깊이의 수조에서 페인트 작업을 했었고, 이날은 배관 작업을 하던 중이었다. B씨 등 3명은 작업 뒤 수조 밖에서 휴식을 취하던 중 A씨가 보이지 않자 A씨를 찾...
기사 본문
사고가 발생한 업체 모습. 독자 제공 경북 경주의 한 폐기물 가공업체에서 수조 내 배관 공사를 하던 작업자 4명이 유해가스에 중독돼 2명이 숨지고 2명이 크게 다쳤다. 25일 오전 11시 38분쯤 경주시 안강읍 두류공단의 한 폐기물 가공업체에서 수조 내 배관 공사를 하던 작업자 4명이 질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119 구급대가 이들을 구조해 인근 병원으로 이송했지만 50대 A씨와 60대 B씨는 숨졌고, 또 다른 50대 C씨와 40대 D씨는 치료를 받고 있다. 사고 당시 이들은 약 2m 깊이의 수조 내부에서 도장(페인트) 작업을 하고 있던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과 소방관들이 사고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독자 제공 작업 후 수조 밖에서 휴식을 취하던 중 A씨가 보이지 않자 B씨와 C씨, D씨가 A씨를 찾기 위해 수조 안으로 함께 내려갔고, 10여분 뒤 관리자가 이들이 수조 아래에 쓰러져 있는 것으로 확인하고 119에 신고했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수조 내부의 환기가 제...
기사 본문
[앵커] 정화조에서 질식사고가 발생해 작업자 2명이 숨지고 2명이 중태에 빠졌습니다. 부산에서는 주택 화재로 1명이 숨지는 등 화재도 잇따랐습니다. 주말 사건 사고 소식, 이상곤 기자입니다. [기자] 바닥에 배관들이 놓여 있고, 주변에 출입금지를 알리는 통제선이 설치됐습니다. 경북 경주시 안강읍에 있는 아연 가공 업체 정화조에서 작업자들이 의식을 잃고 쓰러진 채 발견됐습니다. 이 사고로 40대 작업자가 숨지는 등 사상자 4명이 발생했습니다. 이들은 경기도에 있는 배관 업체 소속 직원들로 정화조 내부에서 배관 연결 작업 중이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경찰과 소방은 유해가스 측정기로 정화조 내부를 점검하고, 업체 관계자 등을 상대로 정확한 사고 원인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부산 용호동에서는 공동주택 3층에서 불이 났습니다. 집에 있던 40대 남성이 숨졌고, 60대 여성이 얼굴에 화상을 입어 병원으로 옮겨졌습니다. 소방은 방 안에서 불이 시작된 것으로 보고 합동 감식을 통해 정확한 화재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