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근 부영 회장 "유엔데이 공휴일 재지정해 연합군에 감사해야"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부산 UN기념공원서 유엔 창설 80주년 기념식 열려 이중근 회장, 유엔군 희생 기리며 헌화 24일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이 부산UN기념공원에서 열린 ‘제80주년 UN의날’ 기념식에 참석해 상징묘역을 향해 헌화하고 있다. 사진 제공=부영그룹 [서울경제]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이 국제연합(UN) 창설 80주년을 맞아 열린 ‘UN의 날’ 기념식에 참석해 UN데이 공휴일 재지정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24일 부영그룹은 이중근 회장이 부산 UN기념공원에서 열린 ‘제80주년 UN의 날 ’기념식에 참석해 UN군을 기리며 상징묘역을 향해 직접 헌화했다고 밝혔다. 이날은 UN설립일이기도 하다. 기념식에는 박형준 부산시장, 김진아 외교부 제2차관, 무랏 타메르 재한유엔기념공원 국제관리위원회 의장 및 외교사절, 보훈단체, 재부기관장, 군장병 등 300여 명이 참석했다. 이 회장은 “6·25전쟁은 UN군 60개국(전투 16개국, 의료 6개국, 물자 38개국)이 UN 창설 이후 최초이자 현재까지 유일하게 참...
기사 본문
“부산발 평화와 연대의 메시지를 전 세계에 전파한다!”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24일부터 11월 11일까지 '2025 부산유엔위크(UN Weeks in Busan)'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부산유엔위크’는 세계 유일의 유엔기념공원 소재지인 부산이 국제평화도시로서의 위상을 드높이고자 2019년부터 시작한 행사로 매년 개최되는 부산의 대표적인 글로벌 행사 중 하나다. 부산광역시가 주최하고 부산글로벌도시재단이 주관하는 부산유엔위크는 세계 공통의 국제기념일인 유엔의 날(10.24.)을 시작으로 유엔참전용사 국제추모의 날(11.11. 턴투워드 부산)까지 약 3주 동안 세계 평화를 기원하고 참전용사를 추모하는 행사를 개최함으로써 세계평화 중심도시 부산을 이미지 브랜딩하는 행사다. 올해 '2025 부산유엔위크'는 ▲전야제 ▲유엔의 날 기념식 ▲세계평화포럼 등으로 구성된다. [전야제: 기념 만찬 및 평화음악회] 유엔의 날 전야(前夜)인 10월 23일 오후 5시 부산 그랜드 조선호텔에서 유엔창설 8...
기사 본문
유엔 창설 80주년 기념식서 제안 [서울=뉴시스] 이중근 대한노인회 회장(부영그룹 회장)이 24일 부산 UN기념공원에서 '제80주년 유엔의 날 기념식'에서 헌화하고 있다. (사진=부영그룹 제공) 2025.10.24.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정진형 기자 = 이중근 대한노인회 회장(부영그룹 회장)은 24일 유엔 창설 80주년을 맞아 열린 '유엔의 날' 기념식에서 한국전쟁 유엔군 참전용사들을 기리기 위한 유엔데이 공휴일 재지정 필요성을 강조했다. 부산시는 유엔 설립일에 맞춰 이날 부산 UN기념공원에서 '제80주년 유엔의 날 기념식'을 열었다. 기념식에는 박형준 부산시장, 김진아 외교부 제2차관, 무랏 타메르 재한유엔기념공원 국제관리위원회 의장 및 외교사절, 보훈단체, 재부기관장, 군장병 등 300여 명이 참석했다. 이중근 회장은 유엔군을 기리며 UN기념공원 상징묘역을 향해 직접 헌화한 뒤 "6·25전쟁은 유엔군 60개국이 유엔 창설 이후 최초이...
기사 본문
1945년 10월24일 제2차 세계대전과 같은 전쟁의 참화를 막기 위해 국제연합이 출범했다. 사진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달 2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 본부에서 열린 제80차 유엔 총회에서 기조연설하는 모습. /사진=로이터 1945년 10월24일 제2차 세계대전의 폐허 속에서 국제연합(UN)이 공식 출범했다. 유엔은 분쟁의 평화적 해결, 인권 보호, 사회·경제 발전을 목표로 내세우며 국제 질서의 새 틀을 마련했다. 이날은 '유엔의 날'로 지정돼 전 세계가 평화와 협력의 가치를 되새기는 기념일로 이어지고 있다. ━ 전쟁을 막는 울타리, 협력의 무대가 되다 ━ 유엔은 1945년 6월 미국 샌프란시스코 회의에서 50여 개국이 서명한 '유엔 헌장'이 같은 해 10월24일 발효되면서 공식 창설됐다. 전쟁을 막고 평화를 유지하기 위한 집단안전보장 체제를 세우고 인권과 복지를 증진하는 것이 핵심 목적이었다. 출범 당시 유엔에는 51개국이 창립회원으로 참여했다. 이후 식민지 해방과 신생국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