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 국가 만든 캄보디아 '프린스 그룹', 서울 강남에도 사무실
관련 기사 목록 12개
기사 본문
(서울=뉴스1) 박정호 기자 = 17일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의 한 빌딩에 캄보디아에서 온라인 금융 사기와 인신매매, 불법감금 및 고문 등을 주도한 혐의로 미국과 영국의 제재를 받은 '프린스 그룹'(Prince Group)의 부동산 계열사 '프린스 리얼이스테이트 그룹 코리아'가 '킹스맨 부동산 그룹'(KINGMEN REAL ESTATE GROUP)이란 이름으로 운영 중인 사무실 앞에서 취재진이 촬영을 하고 있다. 프린스 그룹은 카지노와 '스캠 센터'로 위장한 시설을 운영하며, 가짜 구인 광고 등으로 외국인들을 유인한 뒤 감금·고문해 위협하며 온라인 사기 범죄를 강요한 혐의를 받고 있다. 특히 신뢰를 쌓은 뒤 거액의 투자를 유도해 가로채는, 이른바 '돼지 도살'(Pig Butchering) 스캠의 배후로 지목됐다. 2025.10.17/뉴스1
기사 본문
프린스은행 모기업 범죄조직 지정 후폭풍 국제 제재에 신뢰도 급락하며 인출사태 캄보디아 프린스은행의 모습. 사진=AFP 캄보디아 주요 은행 중 하나인 프린스은행에서 17일 대규모 예금 인출 사태(뱅크런)가 발생했다. 이는 모기업인 프린스홀딩그룹(이하 프린스그룹)이 미국과 영국 정부로부터 ‘초국가적 범죄 조직’으로 지정되고 총수가 전격 기소된 데 따른 직접적인 후폭풍으로 분석된다. 현지 금융 시스템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되면서 캄보디아 금융 당국에도 비상이 걸렸다. 현지 소식통과 외신에 따르면 이날 수도 프놈펜에 위치한 프린스은행 주요 지점에는 아침부터 예금을 인출하려는 고객들이 한꺼번에 몰리면서 긴 줄이 형성되는 등 극심한 혼란이 빚어졌다. 일부 지점에서는 유동성 부족을 이유로 예금 지급을 일시 중단하는 사태까지 벌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뱅크런 사태는 지난 14일(현지시간) 미국 법무부와 재무부, 영국 정부가 프린스그룹과 그 회장인 천즈(Chen Zhi)를 상대로 단행한 초강력 제...
기사 본문
<앵커> 이런 캄보디아 범죄의 배후로 지목된 국제 범죄 조직, 프린스 그룹이 한국에서도 사무실을 운영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한국에 사무실을 차려놓고 뭘 하려고 했던 것인지 수사가 필요해 보입니다. 윤나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캄보디아 프린스 홀딩스 그룹이 자사 SNS에 올린 글입니다. 지난 5월 프린스 리얼이스테이트 그룹, 즉 부동산 계열사가 한국사무소를 열었다며 투자자들이 캄보디아 부동산 시장과 글로벌 자산 다각화에 대해 논의했다고 적혀 있습니다. 홈페이지에 등록된 한국사무소 연락처는 캄보디아 현지 번호. [프린스 리얼이스테이트 그룹 한국사무소 : 지금은 통화량이 많아 연결이 되지 않습니다. 다시 걸어 주십시오.] 주소지로 적혀 있는 한국사무소를 찾아가 봤습니다. 서울시청 근처에 있는 공유오피스에 있는 사무실인데, 프린스그룹의 간판은 없고 현재 다른 회사가 사용하고 있습니다. [공유오피스 관계자 : (프린스 리얼이스테이트 그룹은) 예전에 퇴실한 사업장이에요. 좀 시간이...
기사 본문
<앵커> 캄보디아 범죄단지의 배후로 지목된 프린스그룹의 사무실이 서울에도 있다는 사실 어제(16일) 단독 보도로 전해드렸습니다. 저희 보도 이후에 회사 홈페이지는 모두 삭제됐고, 직원들은 종적을 감춘 걸로 확인됐습니다. 윤나라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기자> 킹스맨 부동산 그룹이라는 이름의 캄보디아 부동산 개발회사 페이스북입니다. 기존엔 프린스그룹의 계열사인 리얼에스테이트 그룹으로 활동했다는 내용 등의 소개 글이 어제까지 올려져 있었던 페이스북과 공식 홈페이지, 블로그가 오늘 오전 갑자기 폐쇄됐습니다. 프린스그룹이 서울시청 인근에서 사무실을 운영했다는 사실이 어제 SBS 보도로 처음 알려진 뒤 홈페이지 등이 모두 사라진 겁니다. 범죄 연루 의혹이 있는 흔적을 지운 게 아니냐는 의심이 드는 가운데, 프린스그룹이 서울 강남 테헤란로에 있는 빌딩에서 또 다른 사무실을 운영했던 사실도 확인됐습니다. 킹스맨 부동산 그룹이라는 이름의 사무실 문은 잠겨 있고, 인기척도 없습니다. [건물 관계자...
기사 본문
<앵커> 이렇게 캄보디아를 근거지로 인신매매와 온라인 사기 범죄를 저질러 미국과 영국이 대규모 제재를 한 프린스 그룹, 이곳의 계열사 사무실이 한국에 있다는 사실 저희가 보도로 전해 드렸는데요. 보도가 나간 이후 회사 홈페이지가 모두 삭제됐고 직원들이 종적을 감췄습니다. 윤나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킹스맨 부동산 그룹이라는 이름의 캄보디아 부동산 개발회사 페이스북입니다. 기존엔 프린스그룹의 계열사인 리얼에스테이트 그룹으로 활동했다는 내용 등의 소개 글이 그제(16일)까지 올려져 있었던 페이스북과 공식 홈페이지, 블로그가 하루 뒤 갑자기 폐쇄됐습니다. 프린스그룹이 서울시청 인근에서 사무실을 운영했다는 사실이 SBS 보도로 처음 알려진 뒤 홈페이지 등이 모두 사라진 겁니다. 범죄 연루 의혹이 있는 흔적을 지운 게 아니냐는 의심이 드는 가운데, 프린스그룹이 서울 강남 테헤란로에 있는 빌딩에서 또 다른 사무실을 운영했던 사실도 확인됐습니다. 킹스맨 부동산 그룹이라는 이름의 사무실 ...
기사 본문
캄보디아를 근거지로 사기 범죄단지를 운영하며 인신매매와 온라인 사기, 자금세탁을 벌인 혐의로 미국과 영국에서 제재를 받은 캄보디아 프린스 그룹. 이 회사의 부동산 계열사가 한국에서도 사무실을 운영한 것으로 확인된 가운데, 회사 소개와 활동 내역 등이 담긴 홈페이지가 삭제되고 직원들은 종적을 감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자사가 기존에 프린스 부동산 그룹으로 활동했다는 킹스맨 부동산그룹이라는 캄보디아 부동산 개발회사의 페이스북입니다. 공식 홈페이지와 네이버 블로그에도 같은 취지의 소개 글이 올라왔었는데, 어제까지 접속되던 이 회사의 페이스북과 공식홈페이지, 블로그가 오늘(17일) 오전 모두 폐쇄됐습니다. 프린스 그룹이 한국에서도 사무실을 운영했다는 SBS 보도 이후 공식 홈페이지 등이 속속 폐쇄된 겁니다. 범죄 연루 의혹이 있는 흔적을 지우는 게 아니냐는 의심이 드는 상황, 이 회사의 또 다른 한국 사무실에 찾아가 봤습니다. 강남 한복판에 위치한 빌딩, 사무실 앞에 킹스맨 부동산 그룹의 ...
기사 본문
캄보디아 범죄조직 배후로 알려진 프린스그룹 (연합뉴스) 캄보디아의 주요 민영은행인 프린스은행에서 대규모 예금 인출 사태가 발생했다. 모기업 프린스홀딩그룹이 미국과 영국 정부로부터 ‘초국가적 범죄조직’으로 지정된 직후 터진 일이다. 현지 금융시장 전반으로 불안이 번지며, 캄보디아 중앙은행과 당국이 긴급 대응에 나섰다. 17일(현지시간) 외신과 현지 금융 관계자들에 따르면 수도 프놈펜의 프린스은행 주요 지점에는 이른 아침부터 현금을 찾으려는 고객들이 몰리며 긴 줄이 형성됐다. 일부 점포에서는 현금 부족으로 출금이 지연되거나 일시 중단되는 등 혼란이 빚어졌다. 이번 사태의 배경에는 지난 14일 미국과 영국 정부가 동시에 발표한 프린스그룹 제재 조치가 있다. 미 법무부는 그룹 회장 '천즈'를 투자사기, 강제노동, 자금세탁 혐의로 기소하며 약 150억 달러(약 20조 5000억 원) 상당의 비트코인을 압수했다고 밝혔다. 이는 미 법무부 역사상 최대 규모의 암호화폐 몰수 사례로 기록됐다. 미 ...
기사 본문
캄보디아 점령한 '프린스그룹', 범죄단지 운영 최근 모두 도피하고 군·경이 텅 빈 단지 지켜 프린스그룹 천즈 회장, 권력자 천즈와 유착 의혹 10년 전쯤 설립돼 부동산·은행 등 폭발적 확장 도시 곳곳에 '은행·쇼핑몰' 등 영향력 실감 최근 범행 배후로 지목되면서 '뱅크런' 시작 미·영, 인신매매·불법감금 주체로 '프린스' 제재 17일 오후(현지시각) 캄보디아 서쪽 도시 시한우크빌 시내에서 마주친 프린스그룹 운영 '프린스뱅크'. 남성경 크리에이터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에서 1시간 거리, 한산한 시골길을 달리다 크게 이질감이 느껴졌다. 4~5미터 돼 보이는 높은 담벼락, 그 위에 빈틈없이 놓인 철조망, 담벼락 중간 중간 놓인 CCTV는 사방을 주시했다. 마치 교도소를 연상케 했다. 4층짜리 건물들엔 촘촘히 문들이 자리했다. 대부분 굳게 닫혔고, 종종 열려 있는 곳도 있었으나 인기척은 전혀 없었다. 살짝 열린 통철문 사이로 단지의 내부도 엿볼 수 있었지만 썰렁했다. 한때 중국인을 비롯한 범...
기사 본문
국민의힘 서범수 "자금 세탁 등 범죄 커넥션 가능성···수사 필요" 2022년 프린스그룹과 캄보디아 한국상공회의소의 교류 사진 프린스그룹 홈페이지 캡처. 연합뉴스 [서울경제] 캄보디아 등에서 사기와 인신매매 등을 벌인 주범으로 지목된 캄보디아 '프린스그룹'이 한국에서도 계열사 사무실을 운영한 정황이 포착됐다. 올해 5월 한국에서 전시장을 열고 최근까지도 서울에서 갤러리 행사를 한 것으로 확인된 것이다. 이와 관련, 정치권에서는 “국내 범죄 커넥션을 찾아내는 일도 소홀히 해선 안 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6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서범수 의원실에 따르면 프린스그룹의 부동산 계열사인 '프린스 리얼 이스테이트 그룹'은 홈페이지에 서울 중구 순화동에 한국사무소가 있다고 안내 중이다. 전화번호는 캄보디아 국가 번호를 사용 중이다. 캄보디아 프린스그룹은 부동산·금융·관광 등 다양한 사업을 하는 대형 그룹이다. 식음료와 엔터테인먼트 등 다방면에 발을 뻗치고 있다. 캄보디아 정치권...
기사 본문
프린스그룹, 한국서 사무실 운영 정황 2022년에는 캄보디아 한국상공회의소와 교류를 가진 프린스 그룹. 프린스 그룹 홈페이지 캡처 조직적 사기와 인신매매 혐의로 미국과 영국의 제재를 받은 ‘프린스 그룹’이 서울 한복판에서 사무실을 운영한 정황이 포착됐다. 16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서범수 국민의힘 의원실에 따르면 프린스 그룹의 부동산 계열사인 ‘프린스 리얼 이스테이트 그룹’은 홈페이지를 통해 서울 중구 순화동에 한국사무소가 있다고 안내 중이다. 전화번호는 캄보디아 국가 번호를 사용 중이다. 다만 서 의원실이 해당 사무실을 찾아간 결과 17층에 있는 사무실은 공유 오피스로, 프린스 그룹의 영업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 전화번호도 통화가 되지 않았다. 린스 리얼 이스테이트 그룹의 서울사무소 안내. 프린스 리얼 이스테이트 그룹 홈페이지 캡처 그러나 프린스 리얼 이스테이트 그룹은 지난 5월 한국에서 전시장을 열었다고 홍보했으며, 지난 8월 서울에서 갤러리 행사를 한 것으로 전해졌다. ...
기사 본문
경찰청 국정감사…서범수 "순화동 사무실 폐쇄 후 강남 활동중" '범죄단지 배후 의심' 프린스그룹, 한국서 사무실 운영 정황 (서울=연합뉴스) 캄보디아 등에서 사기와 인신매매 등을 벌이다 미국·영국의 제재를 받은 캄보디아 '프린스그룹'이 한국에서도 사무실을 운영한 정황이 포착됐다. 16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서범수 의원실에 따르면 프린스그룹의 부동산 계열사인 '프린스 리얼 이스테이트 그룹'은 홈페이지에 서울 중구 순화동에 한국사무소가 있다고 안내 중이다. 전화번호는 캄보디아 국가 번호를 사용 중이다. 2025.10.16 [프린스 리얼 이스테이트 그룹 홈페이지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동환 정윤주 조현영 기자 = 경찰이 캄보디아 등지에서 사기와 인신매매 등을 벌이다 미국·영국의 제재를 받은 캄보디아 '프린스그룹'이 한국에서도 사무실을 운영한 의혹에 대해 수사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은 17일 국회...
기사 본문
경찰청 국감, 서범수 “순화동 사무실 폐쇄 후 강남 활동중” [이데일리 박지애 기자] 경찰이 캄보디아 등지에서 사기와 인신매매 등을 벌이다 미국·영국의 제재를 받은 캄보디아 ‘프린스그룹’이 한국에서도 사무실을 운영한 의혹에 대해 수사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캄보디아에 구금된 한국인 2명이 국적기를 통해 송환된 17일(현지시간) 캄보디아 프놈펜에 위치한 이민청의 모습.(사진=연합뉴스)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은 17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경찰청 국정감사에서 해당 의혹을 제기한 국민의힘 서범수 의원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서범수 의원실에 따르면 프린스그룹의 부동산 계열사인 ‘프린스 리얼 이스테이트 그룹’은 홈페이지에 서울 중구 순화동에 한국사무소가 있다고 안내 중이다. 서 의원은 “순화동 사무실을 임시 폐쇄하고 지금 강남에 사무실을 차리고 있다고 한다”며 “개명을 해서 ‘킹스맨 부동산 그룹’으로 활동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캄보디아 내에서의 자국민 보호나 수사 협조 요청도 좋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