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 하수처리 가스로 수소 생산…하루 7대 충전 분량

2025년 10월 24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31개
수집 시간: 2025-10-24 14:53:31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노컷뉴스 2025-10-24 10:35:08 oid: 079, aid: 0004078602
기사 본문

美 수소 생산 기술 기업과 업무협약 체결 성남수질복원센터에 수소 생산 시설 운영 하루 35㎏ 생산…수소 차량 7대 충전 분량 수소 생산 실증사업 도식도. 성남시 제공 경기 성남시는 미국 수소 생산 기업과 함께 하수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로 수소를 만드는 사업을 추진한다고 24일 밝혔다. 시는 이날 오전 10시 30분 시청 4층 제2회의실에서 미국 휴스턴 소재 수소 생산 기술 기업인 유틸리티 글로벌과 '하수처리시설 바이오가스를 활용한 수소 생산 실증사업에 관한 업무협약'을 했다. 협약식엔 임종철 성남시 부시장과 파커 믹스 미국 유틸리티 글로벌 대표이사, 필립 손 부사장, 권오준 한국지사장 등이 참석했다. 협약에 따라 오는 2027년 1월 복정동 성남수질복원센터 내에 고순도 수소 생산 실증시설이 설치돼 6개월간 운영한다. 해당 시설은 성남수질복원센터에서 하수를 미생물로 분해할 때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메탄+이산화탄소 혼합물) 중에서 활용되지 못하고 소각되는 504N㎥(노멀 세제곱...

전체 기사 읽기

YTN 2025-10-24 14:04:20 oid: 052, aid: 0002263928
기사 본문

성남시는 하수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로 수소를 만드는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미국 수소 생산기술 기업 '유틸리티 글로벌'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시는 성남수질복원센터에 관련 시설을 설치해 오는 2027년 1월부터 여섯 달 동안 운영하고, 생산되는 하루 35㎏ 분량 수소를 수소충전소로 공급할 계획입니다. 수소 35㎏는 수소 승용차 7대를 충전할 수 있는 분량입니다. 시는 운영 기간 예상 수소 판매 수익금인 5천만 원은 저소득층 냉·난방비 지원 등 지역사회에 환원할 방침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서울경제 2025-10-24 12:54:13 oid: 011, aid: 0004547315
기사 본문

美 유틸리티 글로벌과 수소 생산 실증사업 업무협약 임종철 성남시 부시장(왼쪽)이 24일 오전 시청 제2회의실에서 파커 믹스 미국 유틸리티 글로벌 대표이사와 ‘하수처리시설 바이오가스를 활용한 수소 생산 실증사업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 = 성남시 [서울경제] 성남시가 하수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로 수소를 만드는 사업을 추진한다. 성남시는 24일 오전 시청 4층 제2회의실에서 미국 휴스턴 소재 수소 생산 기술 기업인 유틸리티 글로벌과 ‘하수처리시설 바이오가스를 활용한 수소 생산 실증사업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엔 임종철 성남시 부시장과 파커 믹스 미국 유틸리티 글로벌 대표이사, 필립 손 부사장, 권오준 한국지사장 등이 참석했다. 협약에 따라 오는 2027년 1월 복정동 성남수질복원센터 내에 고순도 수소 생산 실증시설이 설치돼 6개월간 운영된다. 해당 시설은 성남수질복원센터에서 하수를 미생물로 분해할 때 발생하는 바이오가스(...

전체 기사 읽기

매일경제 2025-10-23 19:17:07 oid: 009, aid: 0005578120
기사 본문

수소 생산부터 저장·활용까지 전국 첫 완결형 생태계 조성해 수도권 수소 전략 핵심축 육성 하루 22t 규모 공급 능력 확보 RE100 에너지 대응체계 구축 경기도가 국내 광역시도 가운데 처음으로 완결형 청정 수소 생태계를 조성하겠다는 목표를 내세웠다. 23일 경기도는 "평택을 중심으로 한 경기 수소특화단지가 완성 단계에 접어들었다"며 "수도권 전체를 아우르는 수소 생산·저장·유통·활용·실증 생태계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경기도는 수도권이라는 지리적 이점에 더해 반도체, 자동차, 디스플레이 등 대규모 산업 수요가 밀집해 있다. 수소 인프라스트럭처 확장의 경제적 파급 효과가 큰 지역이라는 뜻이다. 실제 경기도는 평택, 안산, 남양주, 양주 등 주요 지역에 수소도시를 조성하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경기도는 국토교통부의 '수소도시 조성사업'을 기반으로 한 대규모 거점 구축과 더불어 자체 예산으로 미니 수소도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미니 수소도시 사업은 도비와 시군비를 1대1로 분담해 소규...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