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돌봄에 인공지능 혁신, 복지부·기업 머리 맞댄다

2025년 10월 24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8개
수집 시간: 2025-10-24 14:50:23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뉴시스 2025-10-24 14:00:00 oid: 003, aid: 0013555898
기사 본문

복지부, AI 복지·돌봄 기업과 간담회 [세종=뉴시스] 정부세종청사 보건복지부 전경. 2022.09.01.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구무서 기자 = 보건복지부는 24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지던트 호텔에서 AI(인공지능) 복지·돌봄 혁신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관련 기업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에는 복지·돌봄 분야에서 AI·데이터·로봇 기술 접목을 선도하고 있는 기업 관계자 13명이 참석해 기술 발전 동향, 규제개선 필요사항, 민관 협력 방안 등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공유했다. 간담회에서는 현재 정부가 추진 중인 AI 복지·돌봄 혁신 방향과 투자 계획에 대한 설명을 시작으로 민간 기업이 AI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를 개발하고 상용화하기 위해 필요한 정책 지원사항, 규제·제도 개선사항 등 현실적 건의사항을 청취했다. 아울러 AI 기술이 복지 사각지대를 줄이고, 돌봄 위기 극복에 기여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 민간과 정부의 역할, 미래 청사진 등에 대해...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0-24 14:00:00 oid: 003, aid: 0013555895
기사 본문

서울시교육청, 초등돌봄 운영 위한 과제 토론회 개최 [서울=뉴시스] 서울시 종로구 서울시교육청 청사.(사진=뉴시스DB). 2020.09.22.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구무서 기자 = 지역사회와 연계한 초등돌봄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선 부처별로 분절된 돌봄 정책을 통합할 필요가 있다는 제언이 나왔다. 서울교육청은 24일 오후 서울 중구 코리아나 호텔에서 '지역연계 초등돌봄 운영을 위한 과제' 토론회를 열었다. 이 토론회는 이재명 정부 국정과제인 온동네 초등돌봄 도입을 수행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했다. 이날 기조강연을 한 강대중 서울대 교육학과 교수에 따르면 서울교육청은 2025년 606개 초등학교 중 94.7%인 573개교에서 늘봄학교를 운영 중이다. 늘봄학교 돌봄체계에는 109명의 늘봄지원실장, 152명의 기간제 교사, 566명의 늘봄실무사에 더해 외부 강사, 학부모, 자원봉사자가 참여하고 있다. 단 다른 부처에서도 돌봄 체계가 운영 중인데 보건복지부...

전체 기사 읽기

뉴스1 2025-10-24 14:00:00 oid: 421, aid: 0008560350
기사 본문

AI 기술 활용 서비스 개발·상용화 위한 규제·제도 개선 사항 청취 지속적 소통 통해 내년 상반기 중 'AI 복지·돌봄 혁신 로드맵' 마련 보건복지부 전경 (보건복지부 제공) (세종=뉴스1) 심서현 기자 = 보건복지부는 24일 서울 중구 프레지던트 호텔에서 인공지능(AI) 복지·돌봄 혁신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관련 기업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스란 보건복지부 1차관 주재로 열린 이날 간담회에는 AI 기반 식생활·운동 등 맞춤형 건강관리 설루션 제공, 반려 로봇을 통한 돌봄·대화 서비스 제공, 와상환자 대상 배설 돌봄 로봇 개발 등 복지·돌봄 분야에서 AI·데이터·로봇 기술 접목을 선도하고 있는 기업 관계자 13명이 참석해 기술 발전 동향, 규제개선 필요 사항, 민관 협력 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이번 간담회를 통해 정부는 현재 추진 중인 AI 복지·돌봄 혁신 방향과 투자 계획에 관해 설명하고 민간 기업이 AI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를 개발·상용화하기 위해 필요한 ...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0-24 14:00:03 oid: 001, aid: 0015699139
기사 본문

24일 간담회 열고 복지·돌봄 분야 AI 혁신 선도 기업 의견 청취 고령자 돕는 AI로봇 시스템 개발(CG)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성서호 기자 = 보건복지부는 24일 서울 중구 프레지던트 호텔에서 기업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열고 AI(인공지능) 복지·돌봄 혁신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AI 기반 맞춤형 건강관리, 반려 로봇을 통한 돌봄·대화 서비스, 와상환자 대상 배설 돌봄 로봇 등 복지·돌봄 분야에서 AI·데이터·로봇 기술 접목을 선도하는 기업 관계자 13명이 참석했다. 정부는 이날 AI 복지·돌봄 혁신 방향과 투자 계획을 설명했고, 기업들은 AI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를 개발하고 상용화할 때 필요한 정책 지원, 규제·제도 개선 사항 등 현실적 건의 사항을 제시했다. 복지부는 기업·현장·전문가와의 소통을 바탕으로 내년 상반기 중 'AI 복지·돌봄 혁신 로드맵'을 마련할 계획이다. 회의를 주재한 이스란 복지부 제1차관은 "AI를 활용해 따뜻한 미래를 ...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