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기사 목록 10개
기사 본문
현지 6개사와 업무협약… 고부가 외래객 유치 본격화 몽골및 홍보설명회. 경기관광공사 제공. 경기도가 몽골 의료관광시장 개척에 나섰다. 경기도와 경기관광공사, (사)경기국제의료협회는 23일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현지 의료관광 에이전시 6개사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경기 의료관광 홍보 설명회를 진행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는 만도라, 비가투어, 아짐뭉흐, GWM 몽골리아, 미머 바얄람 미래, J&G 메디칼 투어 등 몽골 유력 의료관광사가 참여했다. 이들은 △경기도 의료관광 인지도 제고 △의료·관광 융복합 상품 개발 △양국 관광 교류 확대 △지속가능한 의료관광 산업 육성 등을 공동 추진한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지난해 방한 몽골 환자는 2만5000여 명으로 전년 대비 16.5% 늘었다. 전체 인구(345만명) 중 약 8만명이 매년 해외 의료관광을 떠나는 것으로 집계됐다. 경기도는 2024년 외국인 환자 5만여 명을 유치해 서울에 이어 전국 2위를 기록했다. 이 중 몽골 환자는...
기사 본문
[노진섭 의학전문기자 no@sisajournal.com] 피부·성형 중심 의원급 진료가 80% 차지…진료 넘어 쇼핑·숙박으로 지역경제 견인 지난해 외국인 환자와 그 동반자가 우리나라를 방문해 진료뿐 아니라 쇼핑·숙박·여행 등 의료관광 과정에서 지출한 금액이 7조5039억 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한 진료 목적을 넘어 관광·소비·체류가 결합된 의료관광이 국내 경제에 뚜렷한 파급효과를 내고 있다는 분석이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서미화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24년 외국인 의료관광 지출액은 ▲중국 2조4442억 원 ▲일본 1조4179억 원 ▲미국 7964억 원 ▲대만 5790억 원 ▲몽골 3055억 원 순으로 집계됐다. 외국인 환자 수와 지출액을 함께 분석한 결과, 중국인 환자는 1인당 평균 937만 원, 미국인 환자는 781만 원, 일본인 환자는 321만 원을 지출한 것으로 추정됐다. 이는 중국과 미국 환자들이 진료 외에도 숙박·쇼핑·...
기사 본문
"의료관광 산업 육성해 지역경제 활성화해야" 외국인 환자 진료하는 조선대학교병원 의료진. 조선대병원 제공 [파이낸셜뉴스] 지난해 한국을 찾은 외국인 환자와 동반객이 진료뿐 아니라 쇼핑·숙박·여행 등 의료관광을 통해 국내에서 소비한 금액이 7조 5000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관광 산업이 단순한 진료 중심을 넘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성장하고 있는 것이다.2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미화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외국인 의료관광 지출액은 총 7조5039억원으로 집계됐다. 국가별로는 △중국이 2조4442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일본 1조4179억원, △미국 7964억원, △대만 5790억원, △몽골 3055억원 순이었다. 외국인 환자 1인당 평균 지출액을 분석한 결과, 중국인은 약 937만원, 미국인은 약 781만원, 일본인은 약 321만원을 지출한 것으로 추정됐다. 외국인 환자 유치 사업은 2009년부터 본...
기사 본문
의료관광 10년 새 4배 성장 피부과·성형외과 진료 중심 1인당 평균 640만원 지출 중국, 인당 937만원 압도적 1위 미국 781만원·일본 321만원 외국인관광, K메디컬, 환자 등을 키워드로 AI가 생성한 이미지. [챗GPT] 지난해 외국인 환자와 동반자가 한국을 방문해 진료뿐 아니라 쇼핑·숙박·여행 등 의료관광을 통해 지출한 금액이 총 7조 5039억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미화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외국인 의료관광 지출액은 중국 2조4442억원, 일본 1조4179억원, 미국 7964억원, 대만 5790억원, 몽골 3055억원 순이었다. 외국인 환자 수와 의료관광 지출액을 토대로 국가별 평균 지출액을 분석한 결과, 중국인은 약 937만원, 미국인은 781만원, 일본인은 321만원 정도를 사용한 것으로 추정됐다. 고소득층 의료·미용 수요와 함께 숙박, 쇼핑, 관광 등...
기사 본문
현지 유력 의료관광 대행업체 6곳과 업무협약 관광자원과 K-의료 융복합 콘텐츠로 고부가 외래객 유치 촉진 경기관광공사와 사단법인 경기국제의료협회 관계자들이 23일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현지 의료관광 대행업체 6곳과 '경기도 의료관광 활성화 업무협약'을 맺은 뒤 기념사진을 찍는 모습. 경기관광공사 제공 경기도와 경기관광공사가 몽골 의료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한 시장 개척에 나섰다. 경기관광공사는 경기도, 사단법인 경기국제의료협회와 함께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현지 유력 의료관광 대행업체들과 '경기도 의료관광 활성화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24일 밝혔다. 이 협약에 따라 각 기관과 업체들은 경기도 의료관광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홍보마케팅과 경기도 콘텐츠를 활용한 고부가 의료관광상품 개발 및 유치, 경기도-몽골 간 관광교류, 지속가능 관광산업 발전과 세계 유행 선도 등에 대해 힘을 합치기로 했다. 이번에 협약을 맺은 현지 대행업체는 만도라, 비가투어, 아짐뭉흐, GWM, 미머 바얄람 미래, J&G...
기사 본문
23일 경기도와 경기관광공사(사장 조원용 가운데), (사)경기국제의료협회가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현지 유력 의료관광 에이전시(6개 사)와 경기의료관광 활성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하고 경기의료관광 홍보 설명회를 개최했다. (경기관광공사 제공) 경기도와 경기관광공사, (사)경기국제의료협회가 23일,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현지 유력 의료관광 에이전시(6개 사)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경기의료관광 홍보 설명회를 개최했다. 협약 체결에 따라 경기관광공사와 몽골 의료관광 에이전시 6개 사(만도라, 비가투어, 아짐뭉흐, GWM 몽골리아, 미머 바얄람 미래, J&G 메디칼 투어)는 ▲몽골 시장 경기도 의료관광 인지도 제고를 위한 홍보마케팅 ▲경기도의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한 고부가 의료관광상품 개발 및 유치 ▲경기도–몽골 간 관광교류협력 활성화 ▲지속 가능 관광산업 발전과 관광 글로벌 트렌드 선도 등에 대한 긴밀한 협업을 추진한다. 지난해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자료에 따르면 방한 몽골 환자는 2024년 2...
기사 본문
몽골 의료관광 에이전시와 업무협약 [서울경제] 경기관광공사는 지난 23일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현지 유력 의료관광 에이전시(6개사)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경기의료관광 홍보 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시장 개척에 나섰다고 24일 밝혔다. 경기국제의료협회가 참여하는 이번 협약 체결에 따라 경기관광공사와 몽골 의료관광 에이전시 6개사(만도라, 비가투어, 아짐뭉흐, GWM 몽골리아, 미머 바얄람 미래, J&G 메디칼 투어)는 △몽골 시장 경기도 의료관광 인지도 제고를 위한 홍보마케팅 △경기도의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한 고부가 의료관광상품 개발 및 유치 △경기도–몽골간 관광교류협력 활성화 △지속가능 관광산업 발전과 관광 글로벌 트렌드 선도 등에 대한 협업을 추진한다. 지난해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자료에 따르면 방한 몽골 환자는 2024년 2만 5000여명으로 2023년보다 16.5% 증가하는 등 지속적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인구 345만명 중 매년 약 8만여명이 해외 의료관광을 떠나고 있다. 경기도...
기사 본문
홍보마케팅, 상품 개발·유치 등에 협력 몽골 의료관광 에이전시와 업무협약(사진=경기관광공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수원=뉴시스] 이병희 기자 = 경기도가 몽골 현지 유력 의료관광 에이전시들과 손잡고 몽골 의료관광 시장 개척에 나섰다. 24일 경기관광공사에 따르면 경기도와 경기관광공사, 경기국제의료협회는 전날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현지 주요 의료관광 에이전시 6곳(만도라, 비가투어, 아짐뭉흐, GWM 몽골리아, 미머 바얄람 미래, J&G 메디컬 투어)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양측은 ▲경기도 의료관광 인지도 제고를 위한 홍보 마케팅 ▲경기도 관광자원을 활용한 고부가 의료관광상품 개발·유치 ▲경기도-몽골 간 관광교류 활성화 ▲지속가능한 관광산업 발전과 글로벌 트렌드 선도 등에 협력하기로 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지난해 방한 몽골 환자는 2만5000여 명으로, 전년보다 16.5% 늘었다. 몽골 인구 345만 명(2023년 기준) 중 매년 8만여 명이 해외 의료관...
기사 본문
중국인 2조4442억 원으로 1위… 일본인 1조4179억원 병원은 117만467명 찾아… 피부과에 가장 많이 몰려 서미화 의원, “새로운 산업 유형 되게 적극 육성해야” 지난해 우리나라를 찾은 외국인이 관광을 하는 한편 피부 관리와 성형 등에 7조5039억 원을 쓴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관광’이 새로운 산업 유형으로 자리 잡을 수 있다는 점에서 더 적극적인 육성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진다. 국내 병원에서 진료를 기다리는 외국인들. 2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서미화 의원이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보면 2024년 외국인 의료관광 지출액의 국적별 순위는 중국 2조4442억 원, 일본 1조4179억 원, 미국 7964억 원, 대만 5790억 원, 몽골 3055억 원 등의 순이었다. 외국인 환자 수와 의료관광 지출액을 바탕으로 산출한 국가별 평균 지출액은 중국인 937만 원, 미국인 781만 원, 일본인 321만 원으로 파악됐다. 외국인 ...
기사 본문
국가별 지출액 중국·일본·미국 순 많아 서미화 의원 “의료관광 산업 적극 육성” “지역경제 활성화·일자리 창출해야” 부산진구는 24~25일 이틀간 부산 서면1번가 일원에서 '의료관광, 문화와 미래가 만나는 길'을 슬로건으로 제13회 서면메디컬스트리트(SMS) 축제를 개최한다. 지난해 성료한 SMS 축제. 부산진구청 제공 서미화 의원실 제공 지난해 외국인 환자와 동반자가 한국을 방문해 진료 뿐만 아니라 쇼핑, 숙박, 여행 등 의료관광을 하며 지출한 금액이 총 7조 5039억 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서미화 의원이 24일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4년 외국인 의료관광 지출액은 중국 2조 4442억 원, 일본 1조 4179억 원, 미국 7964억 원, 대만 5790억 원, 몽골 3055억 원 순으로 집계됐다. 외국인 환자 수와 의료관광 지출액을 토대로 국가별 평균 지출액을 분석한 결과, 중국인이 1인당 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