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 “추심명령·압류된 채권도 채무자가 제3채무자 소송 가능”… 25년 만에 판례 변경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압류·추심명령에 따라 세무서 등으로부터 압류된 채권에 대해서도 채무자가 제3채무자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는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단이 23일 나왔다. 지금까지 대법원은 압류·추심명령이 있는 경우 채무자가 채권에 대해 소송을 제기할 수 없다는 판례를 유지해왔다. 하지만 이날 소송 당사자 적격을 상실하지 않고 소송을 진행할 수 있다는 내용으로 25년 만에 종전 판례를 변경했다. 이번 판례 변경은 채권 추심이나 강제집행 실무에 상당한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대법원 전원합의체(재판장 조희대 대법원장·주심 이흥구 대법관)는 23일 건설회사인 A사가 B씨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소송에서 대법관 12인의 다수 의견으로 “채권에 관해 추심명령이나 체납 처분 압류가 있더라도 채무자가 제3채무자를 상대로 피압류 채권에 관한 소송을 제기할 당사자적격을 잃지 않는다”며 B씨 측의 상고를 기각했다. 국세징수법상 체납처분 압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라고 판단했다. 조희대 대법원장과 대법관들이 23일 서...
기사 본문
전원합의체 판례 변경…"분쟁 일회적 해결·소송경제 도모하고 추심채권자 의사에도 부합" "채권 이행소송 제기는 채무자의 권리…추심채권자도 소송 참가할 수 있어 부당하지 않아" "당사자적격 상실하면 새 추심명령시 절차 반복"…당사자 입장 고려한 추심 실무방향 제시 대법원 전원합의체 (서울=연합뉴스) 신준희 기자 = 조희대 대법원장과 대법관들이 23일 서울 서초구 대법원에서 열린 전원합의체에서 시작을 기다리고 있다. 2025.10.23 hama@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미령 기자 = 채권에 대한 추심명령이나 압류가 있더라도 채무자가 제3채무자(채무자에게 채무가 있는 제3자)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는 대법원 판단이 나왔다. 추심명령이나 압류가 있으면 채무자는 해당 채권에 관한 이행을 구하는 소송을 제기할 당사자로서 적법한 자격(적격)을 잃는다는 기존 판례를 뒤집은 것이다. 민법 용어인 '이행'이란 채무자의 행위로, 채무 내용을 실현하는 것을 뜻한다. 그동안에는 이런 경...
기사 본문
채권에 대한 추심명령이나 압류가 있더라도 채무자가 제3채무자(채무자에게 채무가 있는 제3자)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는 대법원 판단이 나왔습니다. 25년 만에 대법원 판례가 변경되면서, 추심명령이나 압류가 있으면 채무자가 해당 채권에 관한 이행을 구하는 소송을 제기할 당사자로서 적법한 자격(적격)을 갖게 된 겁니다. 대법원 전원합의체(주심 이흥구 대법관)는 오늘(23일) 건설회사인 A사가 B 씨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 소송 상고심에서 “채무자가 피압류채권에 대해 소송을 제기하는 것은 추심명령에 위반되지 않고, 추심명령이 있다는 이유만으로 이행의 소송을 제기할 당사자 적격을 상실한다고 볼 법적 근거가 없다”며 상고를 기각하고 원심판결을 확정했습니다. 앞서 A 사는 공사대금 등을 달라며 B 씨를 상대로 낸 소송에서 원심은 “피고는 원고에게 3,911만 원과 지연손해금을 지급하라”며 원고 일부승소로 판결했습니다. 문제는 이 돈에 대해 A사의 채권자인 C사가 추심 명령을 받아내고...
기사 본문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례 변경 “채권 이행소송은 채무자 권리” 3자간 관계에서 효율적 해결 도모 대법원 전원합의체. <사진=대법원> 채권에 대한 추심명령이나 압류가 있더라도, 채무자가 제3채무자(채무자에게 채무가 있는 제3자)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는 대법원 판단이 나왔다. 기존 대법원은 추심명령이나 압류가 발생하면 채무자는 제3채권자에게 소송을 걸 당자자로서의 자격(적격)을 잃는다고 판단해왔는데, 이 판례를 뒤집은 것이다. 23일 대법원 전원합의체(주심 이흥구 대법관)는 건설회사인 A사가 B씨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 소송의 재상고심에서 이같이 판례를 변경했다. A사가 공사대금 등을 달라며 B씨를 상대로 낸 소송에서 원심은 “피고는 원고에게 3911만원과 지연손해금을 지급하라”며 원고 일부승소로 판결했다. 문제는 이 돈에 대해 A사의 채권자인 C사가 추심명령을 받아내고, 과세당국도 체납액 징수를 위해 압류하면서 발생했다. 종래 대법원 판례에 따르면 A사는 B에게 소송을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