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구군 가을철 산불방지 대책 본격 추진

2025년 10월 24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7개
수집 시간: 2025-10-24 01:22:41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강원일보 2025-10-23 23:04:13 oid: 087, aid: 0001150088
기사 본문

산불 감시·진화인력 65명 배치 상시 감시체계 및 유관기관 공조 강화 【양구】양구군은 오는 12월15일까지 가을철 산불조심 기간 동안 산불 방지대책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양구군은 산불방지대책본부를 운영하고,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8시, 주말과 휴일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8시까지 본청 및 5개 읍·면에 근무 인력을 배치한다. 산불진화 인력 투입과 장비 확보를 통한 초동진화 대응력 강화, 유관기관 협력 체계 구축, 대민 홍보활동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동시에 영농부산물의 불법 소각으로 인한 산불을 예방하기 위해 인화물질제거반을 집중 투입해, 산림 인접지역(산림으로부터 100m 이내)에 방치된 영농부산물을 수거·파쇄하는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현재 5개 읍·면사무소에서 신청을 받고 있다. 김순희 생태산림과장은 “가을철 산불은 봄철보다 적지만 한 건의 산불도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과 교육, 홍보에 만전을 기하고, 최선을 다해 군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겠다”고 말했다.


한국일보 2025-10-23 17:18:07 oid: 469, aid: 0000893537
기사 본문

이달부터 12월까지 산불조심기간 운영 경북도, 'AI 드론' 추적 기술로 산불 감시 대구 북구청, '공무원 산불 진화대' 조직 경남, '다기능 담수보' 설치, 내년 착공 지난 4월 경북 영양군 석보면 포산리 곳곳이 산불에 타 폐허로 변해 있다. 영양=하상윤 기자 올해만 10만 헥타르(ha)에 이르는 산불 피해를 입은 전국의 각 지방자치단체는 등산객이 늘어나는 가을철을 맞아 초긴장 상태다. 인공지능(AI) 드론 추적 산불 감시에서부터 다목적 담수보 설치까지, 비상 대응체계 수위를 종전보다 끌어올린 곳이 많다. 23일 산림청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이날까지 전국에 발생한 산불은 총 397건, 피해 면적은 10만5,011㏊로 집계됐다.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발생한 산불은 5,455건, 피해 면적은 4만32㏊인데, 올 한 해 발생 규모가 지난 10년보다 많은 셈이다. 대구 함지산 산불 당시 산불 진화 헬기가 지난 5월 북구 금호강 일대에서 급수 후 현장에 투입되고 있다. 대구=김재현 기...

전체 기사 읽기

동아일보 2025-10-23 11:19:08 oid: 020, aid: 0003669236
기사 본문

22일 충남 공주시 공산성 일대에서 열린 산불 진화 통합훈련에서 공중진화대원이 김민석 국무총리와 관계 당국 관계자에게 고성능 산불 진화 차량을 설명하고 있다. 산림청 제공 앞으로 피해 면적 10ha(헥타르)의 소규모 산불이라도 대형산불로 번질 것으로 우려되면 산림청장이 초기부터 개입해 현장을 지휘한다. 또 산불 현장에서 민가 방어 위주 활동을 하던 소방업무도 적극 산불 진압으로 확대된다. 산림청은 행정안전부, 국방부, 소방청, 경찰청, 기상청 등 관계 부처와 합동으로 기후 위기로 대형화되는 산불 재난 대응을 위한 산불 종합대책을 세웠다고 23일 밝혔다. 산불 예방, 산불 대응, 산림 관리 등 3대 분야로 나뉘어 추진되는 대책은 가용 자원 총동원과 압도적인 초동 진화에 중점을 뒀다. 산불 예방을 위해 현행 30%인 입산통제구역을 50%까지 끌어 올리고 산불 위기 경보 4단계 가운데 가장 높은 ‘심각’ 발령 시 100%까지 상향한다. 산불 원인자 처벌은 강화했다. 실수로 불을 내면 기존...

전체 기사 읽기

세계일보 2025-10-23 18:24:09 oid: 022, aid: 0004077230
기사 본문

갈수록 대형화·연중화하는 산불 대응을 위해 산불 규모와 상관없이 산림청장이 초기부터 직접 지휘한다. 산불 진화헬기를 현재 50대에서 2035년까지 70대로 확충하고, 날개가 고정된 군 대형 수송기에 물탱크를 장착해 2027년부터 산불진화용으로 시범 운영한다. 산림청은 행정안전부와 국방부, 소방청, 경찰청 등 관계부처와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산불 재난 대응 강화 종합대책’을 23일 내놨다. 우선 현재 3단계로 구분한 산불 대응 단계를 2단계로 단순화하고 신고 접수부터 물 투하까지 50분 걸렸던 것을 30분으로 대폭 단축하는 데 주력한다. 작은 산불이라도 재난성으로 확대가 예상되는 경우 산불 규모와 무관하게 산림청이 즉시 현장 지휘권을 행사할 수 있다. 김인호 산림청장은 “지난해까지 산림청은 1000㏊ 이상 혹은 두 개 시도 이상 걸친 규모의 산불로 확산해야 산림청장이 지휘권을 가질 수 있었으나 재난성 대형 산불이 우려되는 시기에는 산림청장이 10~100㏊ 규모의 소규모 산불이라도...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