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점수 591점, 보유 주택 4채 이상’ 이런 임대인 피해라…서울시, AI로 전세사기 예방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서울시가 임차인의 전세사기 피해 예방을 위해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위험 분석 서비스’를 시작한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면 임차인이 집주인과 주택의 위험 요인을 사전에 파악할 수 있다. 서울시는 23일 이 같은 내용의 ‘전세사기 위험 분석 보고서’ 서비스를 오는 24일부터 개시한다고 밝혔다. 앞서 서울시는 AI를 활용해 기존에 전세사기에 가담했던 임대인 약 1500명의 빅데이터를 분석했다. 여기서 일반 임대인과 뚜렷하게 구별되는 11가지 위험 신호를 도출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전세사기 가담 임대인의 전세 계약 시점 평균 신용 점수는 591점으로 일반 임대인(908점)보다 300점 이상 낮았다. 신용 불량자 비율도 4명 중 1명(약 27%)에 달했다. 보유 주택 수에서도 차이가 명확했다. 사기 임대인의 25%가 4채 이상을 보유한 다주택자였다. 일반 임대인은 4채 이상 보유 사례가 거의 없었다. 이 밖에 세금 체납 등 ‘공공정보 보유율’ 역시 사기 임대인이 26%로 일반 임대인...
기사 본문
서울시가 인공지능으로 전세사기에 가담한 임대인 1,500명 데이터를 분석해 부동산 계약 전 위험 요인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전세사기 위험분석 보고서' 서비스를 개시합니다. 서울시는 데이터 분석 결과, 전세사기에 가담한 임대인의 평균 신용점수는 591점으로, 일반 임대인보다 300점 이상 낮았고, 신용불량자 비율도 4명 가운데 1명꼴로 금융 신뢰도가 현저히 떨어졌다고 밝혔습니다. 또, 사기 임대인의 25%가 집을 4채 이상 보유한 다주택자이고, 최근 3년 안에 휴대전화 번호와 주소를 바꾼 빈도가 일반 임대인보다 2배 이상 높았다고 확인했습니다. 분석 보고서는 서울 지역 임대차계약 예정자 1천 명을 대상으로 무료 제공되고, 서울주거포털이나 청년몽땅정보통의 전세사기 위험 분석 배너를 통해 접속하면 됩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기사 본문
서울시가 민간 리스크 분석 플랫폼 ‘내집스캔’에서 발급하는 전세사기 보고서 무료이용권. [사진 서울시] 임차인의 전세사기 피해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하는 상황에서, 서울시가 인공지능(AI)·빅데이터 등 최신 기술을 활용해 전세사기를 뿌리 뽑는 방안을 내놨다. 서울시는 “24일부터 임차인이 계약 전 주택과 집주인의 위험 요인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전세사기 위험분석보고서’ 서비스를 개시한다”고 23일 발표했다. 서울시, ‘전세사기 위험분석 보고서’ 서울시는 인공지능(AI)·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해 전세 사기의 11가지 위험 신호를 도출했다. [사진 서울시] 서울시는 AI를 활용해 기존에 전세사기에 가담했던 임대인 약 1500명의 빅데이터를 분석했다. 여기서 일반 임대인과 뚜렷하게 구별되는 공통점을 발견해 11가지 위험 신호를 도출했다. 가장 눈에 띄는 차이는 신용도 지표다. 전세사기 가담 임대인의 전세 계약 시점 평균 신용 점수는 591점으로 일반 임대인(908점)보다 300점 이상 ...
기사 본문
'전세사기 위험분석 보고서' 주택·집주인 정보 24종 제공 서울시는 오는 24일부터 임차인이 계약 전 주택과 집주인의 위험 요인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전세사기 위험분석 보고서' 서비스를 개시한다고 23일 밝혔다./서울시 서울시는 오는 24일부터 임차인이 계약 전 주택과 집주인의 위험 요인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전세사기 위험분석 보고서' 서비스를 개시한다고 23일 밝혔다. 시는 인공지능(AI)으로 전세사기 가담 임대인 약 1500명의 데이터를 분석 후, 일반 임대인과 뚜렷하게 구별되는 공통점을 발견해 11가지 위험신호를 도출했다. 가장 눈에 띄는 차이는 '신용도'다. 전세사기 가담 임대인의 전세 계약 시점 평균 신용점수는 591점으로, 일반 임대인(908점)보다 300점 이상 낮았다. 신용불량자 비율도 4명 중 1명(약 27%)에 달해 금융 신뢰도가 현저히 떨어졌다. '보유 주택 수'에서도 차이가 명확했다. 사기 임대인의 25%가 4채 이상을 보유한 다주택자인 반면, 일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