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규모' 경기도서관 25일 개관…1227억 원 투입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연면적 2만 7795㎡, 장서 34만 4216권 경기도서관 전경.(경기도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수원=뉴스1) 최대호 기자 = '세상에 없던 도서관' '도서관들의 도서관' '국내 최대 규모 공공도서관' '기후 도서관'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도민들의 기대를 받았던 '경기도서관'이 9년여 간의 준비를 마치고 25일 문을 연다. 경기도서관은 기존 책을 읽는 도서관을 넘어, 도민이 함께 배우고, 만들고, 체험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공공도서관과 분명 다른 모습의 도서관이다. 세상에 없던 도서관은 김동연 지사의 도서관 운영 철학이 반영된 개념이다. 김 지사는 2022년 10월 경기도서관 착공식에서 "단순히 와서 책 읽는 장소가 아니라 책도 읽고, 다양한 경험을 하면서 자신의 미래와 우리 사회의 미래를 연결하는 역할을 경기도서관이 해냈으면 한다"고 도서관에 대한 바람을 밝힌 바 있다. 경기책길.(경기도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총사업비 1227억 원 ...
기사 본문
미리 알아보는 똑똑한 경기도서관 활용법 경기도서관 전경 사진=경기도 제공 세상에 없던 도서관, 도서관들의 도서관, 국내 최대 규모 공공도서관, 기후 도서관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도민들의 기대를 받았던 ‘경기도서관’이 9년여 간의 준비를 마치고 25일 문을 연다. 기존 책을 읽는 도서관을 넘어, 도민이 함께 배우고, 만들고, 체험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공공도서관과 분명 다른 모습의 도서관이다. 세상에 없던 도서관은 김동연 지사의 도서관 운영 철학이 반영된 개념이다. 김 지사는 2022년 10월 경기도서관 착공식에서 “단순히 와서 책 읽는 장소가 아니라 책도 읽고, 다양한 경험을 하면서 자신의 미래와 우리 사회의 미래를 연결하는 역할을 경기도서관이 해냈으면 한다”고 도서관에 대한 바람을 밝힌 바 있다. 총사업비 1227억 원 투입됐으며, 연 면적 2만7795㎡(지상 5층·지하 4층)로 전국 공공도서관 가운데 최대 규모다. 지하 2~4층은 주차장이며, 방...
기사 본문
맞춤형 독서프로그램 운영·자료 확충·협력사업 등 인정 [대전=뉴시스] 조명휘 기자 = 박희조 대전 동구청장과 직원들이 23일 용운도서관이 2025년 도서관 운영 유공 부문에서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을 받은 것을 기념해 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 동구청 제공) 2025.10.23.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뉴시스] 조명휘 기자 = 대전 동구는 용운도서관이 ‘2025년 도서관 운영 유공’ 부문에서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을 받았다고 23일 밝혔다. 용운도서관은 생애주기별 맞춤형 독서프로그램 운영에 힘쓰고 지역 수요 기반 자료 확충, 이용자 편의를 고려한 환경 개선 등 구민의 독서 문화 향유 기회를 적극 확대한 공로가 인정됐다. 앞서 동구는 지난해 가오도서관이 ‘한국도서관상’을 수상한 바 있어 2년 연속 도서관 분야에서 수상하게 됐다. 이번 평가는 전국 2만 2천여 개 도서관을 대상으로 소관 부처, 지자체, 교육청, 관련 단체의 추천을 받아 진행됐다. 박희...
기사 본문
의왕시(시장 김성제, 사진)가 문화체육관광부의 ‘2025년 전국 공공도서관 운영 평가’에서 우수기관으로 선정, ‘도서관 운영 유공’ 부문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을 받았다.(의왕시 제공) 경기 의왕시 중앙도서관이 문화체육관광부의 ‘2025년 전국 공공도서관 운영 평가’에서 우수기관으로 선정, ‘도서관 운영 유공’ 부문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을 받았다. 전국 1,271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진행된 평가에서 의왕시 중앙도서관은 지역사회 독서문화 진흥과 이용자 중심 서비스 혁신 등 공공도서관 본연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한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의왕 중앙도서관은 ‘책과 삶을 잇는 의왕, 도서관 속에서 행복해지는 시민’을 비전으로 삼아 지난해 4월 시민 의견을 수렴하는 ‘대토론회’를 열고, ‘의왕시 도서관 중장기 발전계획(2024~2028)’을 수립해 공공도서관과 작은도서관의 통합 운영체계를 마련했다. 이후 거점도서관으로서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 ‘사람과 마을을 잇는 아카이빙 사업’을 통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