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교육청, 지역연계 초등돌봄 운영 토론회 개최

2025년 10월 23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28개
수집 시간: 2025-10-23 14:32:01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머니투데이 2025-10-23 13:42:48 oid: 008, aid: 0005267163
기사 본문

/사진제공=서울시교육청 서울특별시교육청은 지역과 협력하는 초등돌봄 운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지역연계 초등돌봄 운영을 위한 과제' 토론회를 오는 24일 오후 2시 코리아나호텔에서 개최한다. 새 정부 국정과제인 '온동네 초등돌봄 도입'과 서울형 지역연계 초등돌봄 방안을 함께 모색하기 위한 자리다. 돌봄 정책 관련 연구자, 서울시교육청 및 서울시청 돌봄사업 실무자 등이 참석해 돌봄사업의 현황과 고민과 과제를 공유하고 교육청-지자체가 협력하는 방안을 논의한다. 번 토론회에는 교원, 돌봄전담사, 지역 돌봄기관 종사자 등 돌봄에 관심 있는 140여 명이 참여할 예정이며, 지역과 협력하는 학생 중심의 서울형 초등돌봄 모델 마련을 위한 논의의 첫걸음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근식 교육감은 "학생이 중심이 되는 초등돌봄을 위해 힘쓰겠다"며 "서울시교육청은 아이 한 명 한 명의 성장을 돕는 안전하고 촘촘한 돌봄을 위해 지자체, 지역사회와 함께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프레시안 2025-10-23 07:56:13 oid: 002, aid: 0002411129
기사 본문

['서울시사회서비스원 공공돌봄 사례 수기' 수상작 연속기고 ④] 노동자 부문 우수상 <코로나 일상, 우리의 이야기 : 코로나19-긴급돌봄지원을 다녀와서> 오는 10월 24일, 서울시사회서비스원 해산 이후 서울시 공공돌봄에 대한 시민공청회가 열린다. 서울시가 서사원을 해산한 지 1년 5개월 만이다. 서사원은 민간기관이 기피하는 돌봄대상자 등을 주로 맡아 온 서울시의 공공 돌봄 기관이었다. 이에 서울 시민 6000여 명이 서사원을 일방 폐지한 서울시의 책임을 묻고 공공 돌봄의 필요성을 공론화하기 위해 서명을 모아 공청회를 요구했다. 행사를 앞두고, 공공운수노조 서울시사회서비스원지부가 네 편의 글을 보내왔다. 지난해 말 열린 '서사원 공공돌봄 사례 수기' 공모전의 수상작들이다. 공공 돌봄 이용자와 노동자의 수기를 통해, 돌봄 서비스 공공성의 의미를 되돌아본다. 코로나19 재난 시대에 장애인들은 코로나 확진보다 더 무서운 말이 ‘자가격리’라고 한다. 혼자서는 일상생활이 불가능한 장애인들에게...

전체 기사 읽기

뉴스1 2025-10-23 12:00:00 oid: 421, aid: 0008557559
기사 본문

(서울시교육청 제공) (서울=뉴스1) 김재현 기자 = 서울시교육청은 오는 24일 서울 중구 코리아나호텔에서 '지역연계 초등돌봄 운영을 위한 과제' 토론회를 개최한다고 23일 밝혔다. 증가하는 초등돌봄 수요와 안전한 돌봄 체계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고 새 정부 국정과제인 '온 동네 초등돌봄 도입'을 수행하기 위한 '서울형 지역연계 초등돌봄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다. 교원, 돌봄전담사, 지역 돌봄기관 종사자 등 돌봄에 관심 있는 140여 명이 참여할 예정이다. 토론회는 기조강연과 3개의 주제발표 및 종합토론으로 구성된다. 돌봄 정책 관련 연구자, 서울시교육청 및 서울시청 돌봄사업 실무자 등이 돌봄사업의 현황과 고민, 과제 등을 공유하고 교육청-지방정부가 협력하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정근식 서울시교육감은 "학생이 중심이 되는 초등돌봄을 위해 힘쓰겠다"며 "서울시교육청은 아이 한 명 한 명의 성장을 돕는 안전하고 촘촘한 돌봄을 위해 지자체, 지역사회와 함께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코메디닷컴 2025-10-23 11:14:13 oid: 296, aid: 0000094038
기사 본문

부산시가 23일 '부산형 돌봄통합추진단'을 공식 출범한다. "시민이 살던 곳에서 존엄한 삶을 누리는" 돌봄과 요양, 의료 통합 모델을 만들어가겠다는 것이다. 특히 초고령사회 진입, 1인 가구 증가 등 사회 변화에 대응해 돌봄이 필요한 시민을 대상으로 의료·요양·주거·건강관리 전반을 통합 지원하는 모델도 만들 예정이다. 단장을 맡은 이준승 행정부시장은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통합돌봄서비스의 출발점"이라며, "의료와 돌봄 간의 연결고리를 더욱 강화해 통합돌봄 정책의 선도 도시로 가겠다"고 했다. 내년(2026년) 3월 27일 '의료·요양 등 지역 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돌봄통합지원법) 시행에 대비한 것이기도 하다. 부산은 이를 위해 구, 군까지 이어진 전체 행정체계에 돌봄·의료·요양·주거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연계하는 기반을 마련한다. 부산시 안에도 사회복지국을 중심으로 총 6개 반, 21개 팀을 꾸린다. 부산시는 23일 오후 부산사회서비스원에서 '시(市)-구·군-장기요양재택의료...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