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틈탄 쥐떼의 역습…IoT 신기술로 대응한다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서울시, 쥐 출몰 지점에 IoT 센서 달린 '스마트 방제 시스템' 도입 AI 이미지 생성 'Deevid' 캡처 최근 서울 지하철 환기구, 화단, 시장 등에서 쥐 목격 신고가 잇따르고 있다. 기후변화와 관련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전문가들은 온난화로 인해 쥐의 번식 기간과 겨울철 생존율이 늘어나 개체 수가 늘어난 때문으로 본다. 이상기후로 인한 잦은 폭우와 홍수로 하수관이나 하수구 등 쥐의 서식처가 침수되면서 주거지역으로 이동한 것도 배경으로 꼽힌다. 이 밖에 도심 재개발 공사로 노후 건물 등 기존 서식처 파괴된 것 역시 이유로 보인다. 때아닌 쥐 떼의 출몰로 서울시도 신기술을 활용해 쥐 떼 소탕에 나섰다. 기존 약제 살포·쥐덫 중심의 방식 대신 IoT(사물인터넷) 기술을 활용해 '스마트한' 쥐잡기에 나선 것. 서울시는 22일 "자치구별 쥐 출몰 중점관리지역에 IoT 센서가 장착된 장비를 설치해 24시간 감시체계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쥐가 장비 안으로 들어가면 셔터가 자동으로 닫히고...
기사 본문
“앗, 쥐다!” 서울 시내 곳곳에서 쥐 출몰이 잇따르고 있다. 강남역과 광화문, 홍대입구 등 유동인구가 많은 중심 상업지역을 중심으로 “쥐를 봤다”는 신고가 잇따르고 있다. 서울 한강공원 등지에서 간헐적으로 목격되던 쥐가 이제는 도심 전역으로 퍼지고 있는 것이다. 영등포구청역 승강장 앞에 나타난 쥐. 연합뉴스 이에 서울시는 인공지능(AI) 센서·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스마트 방제 시스템을 도입한다. 23일 시에 따르면 올해 들어 7월까지 지하철 환기구, 화단, 시장 등에서 쥐를 목격했단 신고는 1555건이 접수됐다. 지난해 전체 신고 건수(2181건)의 약 71%에 달한다. 시는 자치구와의 협력을 통해 현장 중심의 방역체계 강화에 주력해 왔으며, 7월까지 2551건의 현장 방제 작업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나아가 자치구별 쥐 출몰 중점관리지역에 사물인터넷(IoT) 센서가 장착된 장비를 설치해 24시간 감시체계를 운영한다. 약제로 유인한 쥐가 장비 안에 들어가면 자동으로 셔터가 닫히고, ...
기사 본문
한 아파트 단지에 쥐덫이 설치돼 있다. /조선비즈DB 서울시는 최근 시내 쥐를 봤다는 민원이 늘어남에 따라 스마트 방제 시스템을 도입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에 도입하는 스마트 방제 시스템은 IoT(사물인터넷) 센서를 장착한 장비다. 약제로 유인된 쥐가 장비 안에 들어가면 자동으로 셔터가 닫히고, 경보가 전송된다. 경보를 받은 담당자는 포획된 쥐를 수거한다. 그동안 서울시와 자치구는 주로 쥐약이나 쥐덫을 놓는 식으로 쥐 출몰에 대응해 왔다. 이렇게 서울시가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은 최근 들어 쥐를 목격했다는 민원이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지난 2021년 1000여건이던 서울 시내 쥐 출몰 민원은 2022년(1336건), 2023년(1886건), 작년에는 2000건을 넘었다. 올해도 7월까지 1555건이 접수됐다. 서울시는 쥐가 자주 목격됐다는 민원이 접수된 지역을 중심으로 스마트 방제 시스템을 설치할 계획이다. 또 이번 시스템 운영 결과를 GIS(지리정보시스템) 기반으로 시...
기사 본문
설치류 대처 요령 [연합뉴스/서울시 제공] 서울 도심에서 쥐를 목격했다는 민원이 급증하자, 서울시가 인공지능AI 센서·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스마트 방제 시스템을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서울시는 올해 7월까지 지하철·환기구·화단·시장 등에서 쥐를 목격했다는 신고 1천 5백여 건을 접수했으며, 자치구와 협력해 2천 5백여 건의 현장 방제작업을 마쳤습니다. 나아가 서울시는 자치구별 쥐 출몰 중점관리지역에 사물인터넷, IoT 센서가 장착된 설비를 설치해 24시간 감시체계를 운영하는 '스마트 방제'에 들어갑니다. 약제로 유인된 쥐가 장비 안에 들어가면 자동으로 셔터가 닫히고, 경보가 전송돼 포획된 개체를 수거할 수 있습니다. 또, 스마트 쥐잡이 장비 설치, 방제약품 구입 등 지역 여건에 맞는 스마트 방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특별조정교부금 5억 8천만 원을 배정해 자치구에 예산을 지원합니다. 쥐를 매개로 한 감염병 감시 체계도 강화해 설치류 매개 감염병 환자가 발생하면 발생지 반경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