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 봤다"… 신고 급증에 서울시 '스마트 방제' 추진

2025년 10월 23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7개
수집 시간: 2025-10-23 08:10:57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8개

아시아경제 2025-10-23 07:20:00 oid: 277, aid: 0005668323
기사 본문

7월까지 1555건 신고… IoT 센서 설치 쥐 들어가면 셔터 닫히고 경보·포획·수거 도심에서 쥐를 목격했다는 민원이 급증함에 따라 서울시가 인공지능(AI) 센서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 방제에 나선다. 서울시에 따르면 올해 들어 7월까지 지하철 환기구, 화단, 시장 등에서 쥐를 목격했다는 신고는 1555건이 접수됐다. 지난해 전체 신고 건수(2181건)의 71%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시는 자치구와 협력해 현장 중심의 방역체계 강화에 주력, 7월까지 2551건의 현장 방제 작업을 완료했다. 서울시내 한 지하철 역사에 나타난 쥐. 앞으로는 자치구별 쥐 출몰 중점관리지역에 사물인터넷(IoT) 센서가 장착된 장비를 설치해 24시간 감시체계를 운영한다. 약제로 유인한 쥐가 장비 안에 들어가면 자동으로 셔터가 닫히고 경보가 전송돼 포획된 개체를 수거하는 방식이다. 특히 서울시는 스마트 방제 시스템 운영 결과를 지리정보시스템(GIS) 기반으로 시각화해 쥐 포획률, 신고 감소율 등을 실시간 분석·관...

전체 기사 읽기

SBS 2025-10-23 07:01:11 oid: 055, aid: 0001301949
기사 본문

서울시는 도심에서 쥐를 목격했다는 민원이 급증함에 따라 인공지능(AI) 센서·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스마트 방제 시스템을 도입한다고 오늘(23일) 밝혔습니다. 시에 따르면 올해 들어 7월까지 지하철 환기구, 화단, 시장 등에서 쥐를 목격했단 신고는 1천555건이 접수됐습니다. 지난해 전체 신고 건수(2천181건)의 약 71%에 달합니다. 시는 자치구와의 협력을 통해 현장 중심의 방역체계 강화에 주력해 왔으며, 7월까지 2천551건의 현장 방제 작업을 완료했다고 밝혔습니다. 나아가 자치구별 쥐 출몰 중점관리지역에 사물인터넷(IoT) 센서가 장착된 장비를 설치해 24시간 감시체계를 운영합니다. 약제로 유인한 쥐가 장비 안에 들어가면 자동으로 셔터가 닫히고, 경보가 전송돼 포획된 개체를 수거합니다. 시는 스마트 방제 시스템 운영 결과를 지리정보시스템(GIS) 기반으로 시각화해 쥐 포획률, 신고 감소율 등을 실시간 분석·관리할 예정입니다. 운영 성과에 따라 설치 구역을 탄력적으로 조정해 효율...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0-23 06:00:00 oid: 001, aid: 0015695364
기사 본문

7월까지 1천555건 신고…출몰지점 IoT 센서 장비 설치 쥐 들어가면 셔터 닫히고 경보 전송·포획된 개체 수거 설치류 대처 요령 [서울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기훈 기자 = 서울시는 도심에서 쥐를 목격했다는 민원이 급증함에 따라 인공지능(AI) 센서·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스마트 방제 시스템을 도입한다고 23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올해 들어 7월까지 지하철 환기구, 화단, 시장 등에서 쥐를 목격했단 신고는 1천555건이 접수됐다. 지난해 전체 신고 건수(2천181건)의 약 71%에 달한다. 시는 자치구와의 협력을 통해 현장 중심의 방역체계 강화에 주력해 왔으며, 7월까지 2천551건의 현장 방제 작업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나아가 자치구별 쥐 출몰 중점관리지역에 사물인터넷(IoT) 센서가 장착된 장비를 설치해 24시간 감시체계를 운영한다. 약제로 유인한 쥐가 장비 안에 들어가면 자동으로 셔터가 닫히고, 경보가 전송돼 포획된 개체를 수거한다. 시는 스마트 ...

전체 기사 읽기

뉴스1 2025-10-23 06:00:00 oid: 421, aid: 0008556670
기사 본문

서울시청 전경. 2022.9.1/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서울=뉴스1) 한지명 기자 = 서울시는 자치구와 협력해 올해 7월까지 2551건의 현장 방제 작업을 완료했다. 서울시는 지하철 환기구, 전통시장, 화단 등 도심 곳곳에서 쥐가 목격되는 사례가 이어지자 기존의 약제 살포·쥐덫 설치 방식 대신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을 결합한 '스마트 방제 시스템'을 도입한다고 23일 밝혔다. 시는 자치구별 쥐 출몰 중점관리지역에 IoT 센서가 장착된 장비를 설치해 24시간 감시체계를 운영하는 스마트 방제에 들어간다. 약제로 유인된 쥐가 장비 안에 들어가면 자동으로 셔터가 닫히고 경보가 전송되어 포획된 개체를 수거한다. 시는 이번 스마트 방제 시스템 운영 결과를 방제지리정보시스템(GIS) 기반으로 시각화해 쥐 포획률·신고감소율 등을 실시간 분석, 관리할 예정이다. 운영 성과에 따라 설치 구역을 탄력적으로 조정해 효율성을 극대화한다는 계획이다. 쥐가 주로 시장, 음식점, 공원...

전체 기사 읽기

이데일리 2025-10-23 08:22:12 oid: 018, aid: 0006144541
기사 본문

최근 지하철·시장 등 쥐 목격 신고 급증 IoT 기반 24시간 감시체계 구축 착수 [이데일리 이영민 기자] 서울시가 최근 잇따른 쥐 목격신고에 대응하기 위해 인공지능(AI) 센서와 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스마트 방제 시스템을 도입한다. 설치류 대처요령 포스터(사진=서울시청) 서울시는 23일 쥐 방제 작업을 해왔음에도 최근 지하철 환기구와 화단, 시장 등에서 쥐를 목격했다는 신고가 접수돼 스마트 방제 시스템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올해 7월 말 기준 서울시에 접수된 쥐 목격신고는 1555건이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같은 기간까지 현장 방제작업을 2551회 실시했다. 스마트방제는 자치구별 쥐 출몰 중점관리지역에 IoT 센서가 장착된 장비를 설치해 24시간 감시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약제로 유인된 쥐가 장비 안에 들어가면 자동으로 셔터가 닫히고, 경보가 전송돼 포획된 개체를 수거할 수 있다. 시는 이 방제 시스템의 운영 결과를 GIS 기반으로 시각화해서 쥐 포획률과 신고감소율을 실시간으로 ...

전체 기사 읽기

경향신문 2025-10-23 08:48:01 oid: 032, aid: 0003403879
기사 본문

가상 이미|NEWS IMAGE 서울시가 도심에 빈번하게 출몰하기 시작한 쥐를 잡기 위해 IoT센서가 달린 ‘스마트 방제 시스템’을 도입한다. 23일 서울시에 따르면 최근 지하철 환기구나 주택가 화단, 시장 등에서 쥐를 목격했다는 신고가 7월말 기준 올해 1555건이나 접수됐다. 시는 그동안 쥐덫 설치, 약제살포 등 상시적으로 쥐 방제작업을 해왔지만 목격신고는 계속 늘고 있는 것이다. 서울시는 보다 효과적인 쥐잡이를 위해 자치구별 쥐 출몰 중점관리지역에 IoT 센서가 장착된 장비를 설치, 24시간 감시체계를 가동하는 ‘스마트 방제’에 들어간다. 약제로 유인된 쥐가 장비 안으로 들어가면 자동으로 문이 닫히고, 경보가 전송돼 포획된 쥐 채체를 수거하는 방식이다. 특히 이 스마트 방제 시스템은 길거리에 뿌려놓는 쥐약·쥐덫과 달리 약제가 상자 형태의 장비 안에 들어있어 반려동물이 먹을 우려가 거의 없다. 또 쥐약을 먹고 죽은 쥐 사체 등이 노출될 우려도 적다. 시는 이번 ‘스마트 방제 시스템...

전체 기사 읽기

MBN 2025-10-23 08:44:09 oid: 057, aid: 0001914667
기사 본문

【 앵커멘트 】 요즘 들어 부쩍 서울에서 쥐를 봤다는 사람들이 늘었습니다. 그냥 말로만 그런 게 아니라 실제로 서울에서 쥐가 나타났다는 민원 수도 크게 늘었는데, 이게 대체 왜 이런 건지 안유정 기자가 쥐를 잡으러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 기자 】 벽 틈에 집게를 넣어 확인해보니 죽은 쥐 한 마리가 끈끈이에 붙어 있습니다. 배수구 근처에서도 물살에 갇힌 쥐가 모습을 드러냅니다. 최근 서울 주택가와 상가 등에서 발견된 쥐들입니다. ▶ 스탠딩 : 안유정 / 기자 - "제가 지금 서 있는 곳은 서울 강남구의 주거 단지입니다. 이곳에서도 쥐가 나타났다는 신고 전화가 들어왔습니다. 방역 업체와 함께 쥐덫을 살펴보겠습니다." 덫 안에 놔둔 쥐약이 든 미끼가 홀연히 사라졌습니다. 쥐가 가지고 간 겁니다. (현장음) "(쥐들은) 하수구 쪽으로 나와서 이동합니다. 서식지 쪽으로 돌아가서 (알약을) 다른 쥐들과 나눠 먹습니다." ▶ 인터뷰 : 강용진 / 방제업체 관계자 - "작년보다는 지금 훨씬 더 ...

전체 기사 읽기

헤럴드경제 2025-10-23 08:08:16 oid: 016, aid: 0002545935
기사 본문

쥐 들어가면 자동으로 셔터 닫히고 경보 전송 서울 도심에서 발견된 쥐.[X(구 트위터) 갈무리] [헤럴드경제=손인규 기자] 서울시가 최근 지하철 환기구, 화단, 시장 등에서 쥐를 목격했다는 신고가 접수됨에 따라 AI 센서, 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스마트 방제 시스템을 도입한다. 쥐 목격 신고는 지난 7월 말 기준 1555건에 달한다. 그간 서울시는 자치구와 협력을 통해 올해 7월까지 2551건의 현장 방제 작업을 완료했다. 이에 더해 서울시는 자치구별 쥐 출몰 중점 관리지역에 IoT 센서가 장착된 장비를 설치해 24시간 감시체계를 운영하는 ‘스마트 방제’에 들어간다. 약제로 유인된 쥐가 장비 안에 들어가면 자동으로 셔터가 닫히고, 경보가 전송되어 포획된 개체를 수거한다. 스마트 방제 시스템은 노상에 노출되는 쥐약, 쥐덫과 달리 약제가 상자 형태의 장비 안에 들어 있어 반려동물 음독 또는 환경오염 우려, 쥐 사체 노출 등의 우려가 적다. 시는 이번 ‘스마트 방제 시스템’ 운영 결과를 G...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