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 자원 화재 '불법 하도급' 정황...복구율 60%대

2025년 10월 23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32개
수집 시간: 2025-10-23 06:01:22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YTN 2025-10-22 19:03:15 oid: 052, aid: 0002263034
기사 본문

낙찰 업체 아닌 제3의 다른 업체가 공사 진행 "국과수 결과 등 확인…화재 원인 시간 더 걸릴 것" 소방청 업무포털 등 일부 행정정보시스템 정상화 [앵커] 정부 전산망 마비 사태를 불러온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를 수사 중인 경찰이 배터리 이전 작업 과정에서 불법 하도급 정황을 포착했습니다. 이전 설치 경험이 없었던 업체가 작업을 맡았고, 절연 장비를 사용하지 않는 등 주의 의무도 지키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김기수 기자입니다. [기자]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원인으로 지목된 배터리 이전 작업 과정에서 불법 하도급이 이뤄진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전기공사업법에 따르면 전기공사 수주업체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다른 업체에 하도급을 줄 수 없습니다. 하지만 경찰 조사 결과 배터리 이전 작업을 낙찰받은 업체가 아닌 제3의 다른 업체가 공사를 진행한 정황이 확인됐습니다. 처음 배터리 이전 작업을 수주를 받았던 업체 두 곳이 다른 한 업체에 하도급을 줬고, 이 하도급을 받은 업체가...

전체 기사 읽기

중앙일보 2025-10-22 12:36:16 oid: 025, aid: 0003477032
기사 본문

국가전산망 마비 사태를 불러온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사고 당시 불법 하도급업체가 공사를 진행한 데다 배터리 이설 경험이 없는 작업자들이 투입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10일 이재명 대통령이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을 찾아 복구 작업이 진행 중인 장비들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대전경찰청 전담수사팀(팀장 조대현 형사기동대장)은 22일 중간 브리핑을 갖고 국정자원 화재 사고와 관련해 국정자원 직원(담당자) 1명과 감리업체 관계자 1명, 공사업체 직원 3명을 5명을 업무상 실화 혐의로 입건해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조사한 관계자는 29명으로 이 가운데는 국정자원 국장급 간부도 포함됐다. ━ 화재 관련 29명 조사…전원 차단 않고 작업 전담수사팀은 관련자 진술을 통해 작업자들이 매뉴얼(안전가이드)을 지키지 않은 데다 부속 전원(랙 차단기)을 차단하지 않고 작업을 진행한 사실을 확인했다. 작업 과정에서 절연제품(부품)을 사용해야 한다는 규정도 지...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0-22 11:43:12 oid: 001, aid: 0015693580
기사 본문

공사 업체 대부분 배터리 이전설치 작업 경험 없는 것으로 확인 업무상 실화 혐의 입건자 5명…화재원인 규명은 시일 더 걸릴 듯 경찰, 국정자원 압수수색 (대전=연합뉴스) 이주형 기자 =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를 수사하는 대전경찰청 전담수사팀이 2일 오전 국정자원 압수수색에 돌입했다. 지난달 26일 정부 전산시스템이 있는 국정자원에서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가 발생해 정부 전산 서비스가 대규모로 마비된 바 있다. 2025.10.2 coolee@yna.co.kr (대전=연합뉴스) 강수환 기자 = 정부 전산망 마비를 불러온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사건을 수사 중인 경찰이 배터리 이전작업 과정에서 불법 하도급이 이뤄진 정황을 확인한 것으로 드러났다. 대전경찰청 형사기동대는 22일 브리핑에서 업무상 실화 혐의 외에 불법 하도급 혐의로 공사 관련 업체 5곳을 수사 중이라고 밝혔다. 전기공사업법상 전기공사 수주업체가 하도급을 주는 행위는 원칙적으로 금지돼 있다...

전체 기사 읽기

조선일보 2025-10-22 12:38:15 oid: 023, aid: 0003936110
기사 본문

작업자 대부분 배터리 이전 설치 경험 없어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원인을 수사 중인 경찰이 지난 2일 오전 9시부터 대전 국정자원과 대전지역 3개 업체 등 4개소를 압수수색했다. 사진은 정보자원관리원을 압수수색한 수사관들이 압수물을 들고 이동하고 있는 모습. /뉴스1 정부 전산망 마비 사태를 부른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사건을 수사 중인 경찰이 배터리 이전작업 과정에서 불법 하도급 업체가 공사를 진행한 것을 확인했다. 또 현장에 배터리 이설 경험이 없는 작업자들이 투입된 것으로 드러났다. 대전경찰청 형사기동대는 22일 브리핑에서 “업무상 실화 혐의 외에 불법 하도급 혐의로 공사 관련 업체 5곳을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전기공사업법상 전기공사 수주업체가 하도급을 주는 행위는 원칙적으로 금지돼 있다. 그런데도 이번 배터리 이설 작업은 공사 수주업체가 아닌 제3의 업체가 진행한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에 따르면, 정보자원관리원은 일반 경쟁입찰을 통해 배터리 이설 업체로 전기공사 관련...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