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첫 기후·환경도서관…‘경기도서관’ 들어가 보니 [오상도의 경기유랑]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9년 공들여 1230억 투입…“넉넉한 실험공간” “개인-사회의 미래를 잇는 역할”…25일 개관 ‘도서관의 도서관’, ‘세상에 없는 도서관’ 별칭 연면적 2만7000㎡·장서 34만권…나선형 구조 “17개 시·도에서 11번째로 문을 여는 ‘늦둥이’입니다. 최초·최고를 떠나 소외계층을 아우르고 탐험적 독서를 제공하는 실험공간으로 넉넉하게 봐주셨으면 합니다.” (윤명희 초대 관장) 전국 첫 기후·환경도서관을 표방하는 ‘경기도서관’은 웅장한 외관과 달리 내부에는 따스함을 담았다. 22일 윤 관장의 안내에 따라 입구에 들어서자 5층까지 이어진 나선형 중정이 눈에 띄었다. 이곳에 안착한 초록색 ‘스칸디아모스’(천연 이끼)는 마치 숲 속 도서관에 와 있는 듯한 분위기를 자아냈다. 부챗살 모양의 기둥은 태양의 위치에 따라 빛을 분산시켜 조도를 맞추는 역할을 했다. 스칸디아모스가 식재된 중앙 나선형 계단. 경기도서관 제공 손바닥에 올린 스칸디아모스. 오상도 기자 25일 개관하는 경기도서관은 국내 공공...
기사 본문
경기도서관 전경. [사진=경기도] 세상에 없던 국내 최대 규모 공공도서관으로, 기후 도서관 불린 '경기도서관이 오는 25일 문을 연다. 경기도서관은 기존 책을 읽는 도서관을 넘어, 도민이 함께 배우고, 만들고, 체험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공공도서관과 분명 다른 모습의 도서관이다. 세상에 없던 도서관은 김동연 지사의 도서관 운영 철학이 반영된 개념이다. 김 지사는 2022년 10월 경기도서관 착공식에서 "단순히 와서 책 읽는 장소가 아니라 책도 읽고, 다양한 경험을 하면서 자신의 미래와 우리 사회의 미래를 연결하는 역할을 경기도서관이 해냈으면 한다"고 도서관에 대한 바람을 밝힌 바 있다. 총사업비 1,227억 원 투입됐으며, 연 면적 2만7,795㎡(지상 5층·지하 4층)로 전국 공공도서관 가운데 최대 규모다. 지하 2~4층은 주차장이며, 방문 시 2시간 무료 주차를 지원한다. 지하 1층부터 지상 1~5층은 도서 열람과 체험, 전시, 창작공간으로 구성됐다....
기사 본문
국내 최대 규모 공공도서관 장서 총 34만4216권 보유 25일 오후 3시 개관식 개최 [수원=뉴시스] 경기도서관 전경(사진=경기도 제공) 2025.10.22.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수원=뉴시스] 이병희 기자 = 경기도 대표도서관이자 국내 최대 규모 공공도서관, 기후환경도서관인 '경기도서관'이 25일 개관한다. 윤명희 경기도서관 관장은 도서관 개관을 앞두고 22일 진행된 팸투어에서 "단순히 책을 읽는 도서관을 넘어 도민이 함께 배우고, 만들고, 체험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을 추구한다"고 소개했다. 경기도청 맞은편(수원시 영통구 도청로40)에 위치한 경기도서관은 연면적 2만7795㎡(지하 4층~지상 5층)로, 전국 공공도서관 가운데 최대 규모다. 지하 2~4층은 주차장이며, 지하 1층부터 지상 1~5층은 도서 열람, 체험, 전시, 창작공간이다. 장서는 모두 34만4216권으로, 도서 14만8181권, 전자책 19만6035권이다. 도는 앞으로 5년 안에...
기사 본문
국내 최대 규모 공공도서관 에너지절감·탄소 저감 실현 AI·기후·창작이 만나는 지식 플랫폼 경기도서관 내부 전경. 경기도 제공 기후위기 대응에 앞장서는 기후 1번지 경기도가 에너지절감과 탄소 저감을 실현하는 기후도서관을 연다. 도는 오는 25일 국내 최대 규모의 공공도서관인 ‘경기도서관’을 공식 개관한다고 22일 밝혔다. 단순히 책을 읽는 공간을 넘어, 도민이 배우고 만들고 체험하며 미래를 함께 그려나가는 열린 지식 플랫폼으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경기도서관은 총사업비 1천227억원, 연면적 2만7천795㎡(지상 5층·지하 4층) 규모로 전국 공공도서관 가운데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지하 2~4층은 주차장으로, 방문객에게 2시간 무료 주차가 제공된다. 지하 1층부터 지상 5층까지는 도서 열람뿐 아니라 전시, 체험, 창작이 가능한 복합문화공간으로 구성됐다. 현재 장서는 종이도서 14만8천181권, 전자책 19만6천35권 등 총 34만4천216권이다. 도는 5년 내 55만권까지 확대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