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AI로 만든 셀카 보내며 "믿어줘"…'가짜 이정재'에 5억 뜯겼다

2025년 10월 22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28개
수집 시간: 2025-10-22 21:10:42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JTBC 2025-10-21 19:38:22 oid: 437, aid: 0000461277
기사 본문

[앵커] 배우 이정재 씨를 사칭한 로맨스 스캠 일당이 50대 여성에게 약 5억원을 뜯어가는 사건도 벌어졌습니다. AI로 만든 가짜 이정재 씨 사진과 가짜 운전면허증을 보내 피해자를 속였습니다. 송혜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시작은 '틱톡' 메시지였습니다. 누군가 자신이 배우 이정재라고 소개하면서 "팬들과 소통하기 위해 연락했다"며 지난 4월 경남 밀양에 사는 50대 여성 A씨에게 접근했습니다. 그는 '오징어 게임3'를 촬영하고 있다는 얘기를 나누며 A씨와 친분을 쌓고 '카카오톡'으로 대화를 유도했습니다. [A씨 : TV를 켜보고 할 그런 시간조차도 없는 사람인데 지속적으로 본인이 맞으니까 믿어 달라고…] 실제 이정재인 척, AI로 만든 '공항 셀카'를 보내거나 생년월일도 엉망인 가짜 신분증을 당당히 보여줬습니다. 신뢰를 쌓은 뒤엔 '경영진'이라는 사람을 소개해줬고,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범행이 시작됐습니다. 경영진은 A씨에게 이정재 씨를 직접 만나게 해 준다며 600만원을 요구...

전체 기사 읽기

JTBC 2025-10-21 18:00:19 oid: 437, aid: 0000461250
기사 본문

배우 이정재 씨를 사칭한 '로맨스 스캠' 일당에 한 50대 여성이 무려 5억원을 뜯긴 사건이 있었습니다. "오징어게임 3를 촬영하고 있다"며 대화를 시도한 일당은 AI로 만든 가짜 '공항 셀카'에 가짜 신분증까지 보내 피해자를 속였습니다. 피해자는 "한국에 오면 갚아준다는 가짜 이정재의 말을 믿었다"며 가슴을 쳤습니다. 경남경찰청은 캄보디아 조직과의 연관성을 포함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로맨스 스캠 일당을 추적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만 연간 수백억대 피해가 발생한다는 로맨스캠 실태를 오늘 저녁 6시30분 뉴스룸에서 전해드립니다.


머니투데이 2025-10-22 19:39:32 oid: 008, aid: 0005266833
기사 본문

배우 이정재씨를 사칭한 로맨스스캠 일당에 50대 여성이 5억원을 뜯긴 사건이 발생했다. 이씨 측은 "아티스트 및 팬 여러분의 안전을 위해 강력하게 대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사진=JTBC 뉴스 캡처 배우 이정재씨를 사칭한 로맨스스캠 일당에 50대 여성이 5억원을 뜯긴 사건이 발생했다. 이씨 측은 "아티스트 및 팬 여러분의 안전을 위해 강력하게 대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21일 이씨의 소속사 아티스트컴퍼니 등에 따르면 경남 밀양시에 거주하는 50대 여성 A씨는 지난 4월 틱톡을 통해 '이정재'라는 이름의 이용자로부터 메시지 한통을 받았다. 사칭범은 "팬들과 소통하고 싶어 연락했다"며 A씨에게 접근했다. 드라마 '오징어게임'을 주제로 대화를 나누며 친밀감을 형성했고, 인공지능(AI)으로 만든 사진과 함께 생년월일이 엉터리인 가짜 신분증을 보내며 신뢰를 쌓았다. 사칭범은 카카오톡으로 대화를 유도한 뒤 '경영진'이라는 인물을 소개해줬다. 경영진은 A씨에게 이정재와 만나게 해주겠다며 6...

전체 기사 읽기

서울신문 2025-10-22 11:01:13 oid: 081, aid: 0003584249
기사 본문

“ 믿어달라”…AI 셀카·가짜 신분증까지 지난해엔 ‘가짜 머스크’ 로맨스스캠 피해 JTBC 방송화면 캡처 배우 이정재를 사칭한 로맨스스캠 일당에게 50대 여성이 5억원을 뜯긴 사건이 발생했다. 범행에는 인공지능(AI)으로 제작한 가짜 셀카와 위조 신분증이 동원됐다. 지난해 일론 머스크 사칭 사기에 이어 또다시 유명인을 사칭한 로맨스스캠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21일 JTBC 단독 보도에 따르면 사건은 지난 4월 경남 밀양에 거주하는 50대 여성 A씨가 틱톡 메시지를 받으면서 시작됐다. 발신자는 자신을 배우 이정재라고 소개하며 “팬들과 소통하고 싶어 연락했다”고 접근했다. 사칭범은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 게임3’ 촬영 이야기를 나누며 친밀감을 형성한 뒤 카카오톡으로 대화를 전환했다. A씨는 “TV 볼 시간조차 없는 사람인데도 지속적으로 본인이 맞다고 믿어 달라고 했다”고 전했다. 사칭범은 AI로 만든 공항 셀카 사진과 생년월일이 엉터리인 위조 신분증까지 보내는 대범함을 보였다. 신뢰...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