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우주 산업 띄우는 대전시… 미래 국가주력산업 최적지 '굳히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5개년 국방산업 육성 계획 수립 착수에 우주청 산하기관 설립·유치 돌입 최근 국감서 '우주항공산업진흥원 대전 신설' 언급… 경남 등 지자체 유치전 변수 대전 안산 첨단국방융합클러스터 위치도. 대전도시공사 제공 대전시가 국방·우주산업 전략적 거점지를 목표로 지역 생태계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5개년 육성계획 수립에 착수해 중장기 밑그림을 그리는 한편, 우주항공청 산하기관을 대전에 설립하기 위한 유치 구상에 본격 돌입하면서다. 국방·우주 R&D(연구개발) 인프라와 수백 개에 이르는 관련 기업 등 경쟁력을 토대로 대전을 미래 국가주력산업의 최적지로 굳히겠다는 계획이다. 21일 시와 대전과학산업진흥원(DISTEP·디스텝)에 따르면 최근 디스텝은 국방산업 육성계획(2026-2030) 수립을 추진, 지역 국방산업 확장을 위한 중점과제 도출 작업에 나섰다. 관련 지역 기업의 지원 강화와 발굴·육성 등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전략 설정에 착수한 것이다. 현재 대전에는 드론 등 무인기...
기사 본문
최성아 대전시 정무경제과학부시장 대전시는 최성아 정무경제과학부시장이 22일 경남 사천 우주항공청을 방문해 우주항공산업진흥원 대전 설립과 우주기술혁신 인재양성센터 인력양성사업 국비 지원 등을 건의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날 최 부시장은 노경원 우주항공청 차장을 만나 우주산업진흥원 대전 설립이 조기 실현될 경우 부처·기관 간 협력 및 산업육성 효과 극대화가 가능함을 강조했다. 우주항공산업진흥원은 정책개발, 기술이전 및 사업화, 창업 및 해외 진출 지원 등 국가 우주항공산업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전담기관으로, 우주항공청이 지난달 공청회를 통해 설립 추진을 공식화한 바 있다. 대전은 대한민국 과학수도로 46개 연구기관과 2800여개 첨단기업이 위치해 있으며, 우주기술 전 분야 기업과 핵심 부품 제조기업이 고르게 분포한 우주산업 최적지다. 대전시는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탑립·전민, 안산, 나노반도체 산업단지 조성, 우주기술혁신 인재양성센터 구축, 규제자유특구 운영 등 우주산업 생태계 기반을 한...
기사 본문
최성아 대전시 정무경제과학부시장 우주항공청 차장 면담…우주기술혁신 인재양성을 위한 국비 지원도 요청 최성아 대전시 정무경제과학부시장./사진제공=뉴시스 "우주항공산업진흥원 설립 최적지는 대전입니다." 최성아 대전시 정무경제과학부시장이 22일 경남 사천시에 위치한 우주항공청에서 노경원 차장을 만나 우주항공산업진흥원 대전 설립과 우주기술혁신 인재양성센터 인력양성사업 국비 지원 등을 건의했다. 이번 면담에서 우주산업 삼각 클러스터가 조화롭게 발전할 수 있도록 우주항공청의 적극적인 역할을 요청하고 우주산업진흥원의 대전 설립이 조기 실현될 경우 부처·기관 간 협력 및 산업육성 효과 극대화가 가능한 점을 강조했다. 우주항공산업진흥원은 정책개발, 기술이전 및 사업화, 창업 및 해외 진출 지원 등 국가 우주항공산업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전담기관이다. 우주항공청이 지난달 공청회를 통해 설립 추진을 공식화했다. 최 부시장은 면담에서 "대전은 대한민국 과학수도로서 46개 연구기관과 2800여개 첨단기업이 ...
기사 본문
[이데일리 원다연 기자] NH-Amundi자산운용은 ‘글로벌 우주항공 펀드(UH/H)’의 순자산총액이 4500억원을 돌파했다고 22일 밝혔다. 신한펀드파트너스에 따르면 지난 17일 기준 글로벌 우주항공 펀드의 순자산은 4531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7월 말 3000억원을 넘어선 이후 3개월여 만에 1500억원 넘게 증가하며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글로벌 우주항공 펀드는 2022년 5월 국내 최초로 출시된 전 세계 우주항공 산업 투자 펀드다. 금융데이터 분석업체 FactSet의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우주항공 산업과 높은 연관도를 보이는 글로벌 우량 기업을 선별해 투자한다. 주요 편입 종목은 롤스로이스, 제너럴 일렉트릭, 하우멧 에어로스페이스, 크라토스 디펜스, 레이시온 테크놀로지스, 라인메탈 등이다. 우수한 성과에 투자자 자금이 지속적으로 유입되고 있다. 지난 17일 기준 펀드 수익률은 6개월 38.25%, 1년 65.37%, 3년 184.82%를 기록하고 있다. 이같은 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