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선유도서관·제주 표선중학교 도서관, 대통령 표창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22일 제62회 전국도서관 대회 전국 48개 도서관 포상 문화체육관광부는 도서관 운영과 서비스 발전에 기여한 우수도서관으로 서울특별시 선유도서관(공공도서관 부문)과 제주특별자치도 표선중학교(학교도서관 부문)를 선정하고, 대통령 표창을 수여했다. 문체부는 22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제62회 전국도서관대회' 개회식을 열고 총 48개 도서관을 포상했다. 선유도서관 내부 전경. 문화체육관광부 제공 문체부는 매년 우수도서관을 선정·포상하고 우수사례를 발굴·확산해 국민이 양질의 도서관 환경을 누릴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올해는 16개 시도(교육청 포함), 교육부, 국방부, 법무부, 한국전문도서관협의회 등으로부터 후보기관을 추천받았다. 전문가심사위원회와 공적심사위원회 심의를 거쳐 ▲대통령 표창 2개관 ▲국무총리 표창 6개관 ▲문체부 장관 표창 33개관 ▲교육부 장관 표창 7개관 등 총 48개관을 선정했다. 수상기관에는 표창장과 상금, 우수도서관 현판을 수여했다. 표선중학교에서 진행한 디지털 ...
기사 본문
경기도서관 전경. [사진=경기도] 세상에 없던 국내 최대 규모 공공도서관으로, 기후 도서관 불린 '경기도서관이 오는 25일 문을 연다. 경기도서관은 기존 책을 읽는 도서관을 넘어, 도민이 함께 배우고, 만들고, 체험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공공도서관과 분명 다른 모습의 도서관이다. 세상에 없던 도서관은 김동연 지사의 도서관 운영 철학이 반영된 개념이다. 김 지사는 2022년 10월 경기도서관 착공식에서 "단순히 와서 책 읽는 장소가 아니라 책도 읽고, 다양한 경험을 하면서 자신의 미래와 우리 사회의 미래를 연결하는 역할을 경기도서관이 해냈으면 한다"고 도서관에 대한 바람을 밝힌 바 있다. 총사업비 1,227억 원 투입됐으며, 연 면적 2만7,795㎡(지상 5층·지하 4층)로 전국 공공도서관 가운데 최대 규모다. 지하 2~4층은 주차장이며, 방문 시 2시간 무료 주차를 지원한다. 지하 1층부터 지상 1~5층은 도서 열람과 체험, 전시, 창작공간으로 구성됐다....
기사 본문
대전시교육청·대전관평초 관계자들이 22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62회 전국도서관대회에서 '국무총리표창'을 수상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대전교육청 제공 대전관평초가 문화체육관광부가 주관하는 '2025년 도서관 운영 유공 포상'에서 우수도서관으로 선정됐다. 대전관평초는 22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62회 전국도서관대회에서 '국무총리표창'을 수상했다. 도서관 경영, 인적·정보자원, 시설환경, 교육활성화 등 5개 영역을 종합 평가한 결과 관평초는 모든 부문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 학교도서관 부문 전국 2위인 국무총리 표창의 영예를 안았다. 조성만 대전시교육청 초등교육과장은 "이번 성과는 학교도서관이 중심이 돼 활발한 도서관 활용 수업, 우리반 온 책 읽기, 독서동아리 등 다양한 독서문화 체험 기회를 제공한 결과"라며 "앞으로도 학교도서관이 교수·학습 활동을 능동적으로 지원하고 학생의 배움과 성장을 촉진하는 핵심 공간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 본문
경기도서관 내부 전경. 경기도 제공 기후위기 대응에 앞장서는 기후 1번지 경기도가 에너지절감과 탄소 저감을 실현하는 기후도서관을 연다. 도는 오는 25일 국내 최대 규모의 공공도서관인 ‘경기도서관’을 공식 개관한다고 22일 밝혔다. 단순히 책을 읽는 공간을 넘어, 도민이 배우고 만들고 체험하며 미래를 함께 그려나가는 열린 지식 플랫폼으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경기도서관은 총사업비 1천227억원, 연면적 2만7천795㎡(지상 5층·지하 4층) 규모로 전국 공공도서관 가운데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지하 2~4층은 주차장으로, 방문객에게 2시간 무료 주차가 제공된다. 지하 1층부터 지상 5층까지는 도서 열람뿐 아니라 전시, 체험, 창작이 가능한 복합문화공간으로 구성됐다. 현재 장서는 종이도서 14만8천181권, 전자책 19만6천35권 등 총 34만4천216권이다. 도는 5년 내 55만권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경기도서관은 ‘창의–연결–포용–지혜–지속가능–성장’의 여섯 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