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 첫 산불진화 통합훈련 진행[뉴스1 PICK]

2025년 10월 22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34개
수집 시간: 2025-10-22 17:54:16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뉴스1 2025-10-22 15:52:57 oid: 421, aid: 0008555647
기사 본문

金총리, 산불진화 통합훈련 참관 22일 오전 충남 공주시 금강변에서 열린 2025 산불진화 통합훈련에서 산불진화 헬기들이 공중 진화를 전개하고 있다. 이날 훈련은 충남, 공주, 산림청, 소방, 군, 경찰, 기상청 등 7개 기관 총 650여 명이 참여했다. 2025.10.22/뉴스1 ⓒ News1 김기남 기자 22일 오전 충남 공주시 금강변에서 열린 2025 산불진화 통합훈련에서 산불진화 헬기들이 공중 진화를 전개하고 있다. 이날 훈련은 충남, 공주, 산림청, 소방, 군, 경찰, 기상청 등 7개 기관 총 650여 명이 참여했다. 2025.10.22/뉴스1 ⓒ News1 김기남 기자 22일 충남 공주 금강변에서 열린 2025 산불진화 통합훈련에서 산불진화 헬기들이 공중 진화를 전개하고 있다. 이날 훈련은 충남, 공주, 산림청, 소방, 군, 경찰, 기상청 등 7개 기관 총 650여 명이 참여 했으며 김민석 국무총리가 훈련을 참관했다. 2025.10.22/뉴스1 ⓒ News1 김기태 기자 ...

전체 기사 읽기

머니투데이 2025-10-22 17:35:28 oid: 008, aid: 0005266793
기사 본문

산림청, 범정부 차원 '산불종합대책' 발표… 22일 공주에선 '2025년 산불진화 통합훈련' 실시 22일 충남 공주시 공산성 일원에서 열린 산불진화 통합훈련에서 공중진화대원이 김민석 국무총리에게 고성능 산불진화차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사진제공=산림청 대형·장기화되고 있는 산불재난에 대응하기 위한 범정부차원의 '산불 종합대책'이 추진된다. 산불대응 단계를 줄이고 가용자원을 총동원해 조기 진화 및 피해를 최소화하는 등의 내용이 담겼다. 산불 규모와 상관없이 재난이 우려될 땐 산림청장이 신속 지휘할 수 있는 권한도 부여된다. 산림청은 22일 행정안전부, 국방부, 농림축산식품부, 기후에너지환경부, 소방청, 경찰청, 기상청 등 관계부처와 함께 이같은 내용이 담긴 '산불종합대책'을 발표했다. 먼저 산불발생 위험지역 등은 산림과 건축물(민가, 국가유산, 주요시설 등) 사이에 이격거리를 확보하고 민가 주변의 수목 관리 기준을 개선한다. 농번기에 집중된 영농부산물 파쇄 지원을 가을철 수확기 이후...

전체 기사 읽기

한국일보 2025-10-22 17:38:10 oid: 469, aid: 0000893332
기사 본문

범정부 산불대책 발표…"골든타임 30분 목표" 소방기본법 개정 추진...내년 봄 '산속 소방관' 작은 산불도 확산 우려 시 산림청장이 초기지휘 산림정책 '우리강산 푸르게' → '산불에 강하게' 22일 충남 공주시 금강변에서 진행된 '2025 산불진화 통합훈련' 중 헬기들이 공중 진화를 하고 있다. 충남, 공주, 산림청, 소방, 군, 경찰, 기상청 등 7개 기관에서 650여 명이 이날 훈련에 참여했다. 공주=뉴스1 대형화하는 산불에 대응하기 위해 앞으로 소방관도 산불 진압에 나선다. 산불 진화는 산림청이 주로 맡고, 민가·시설 보호 및 인명 피해 예방으로 한정됐된 소방청의 역할이 확대되는 것이다. 소방관 투입으로 산불 초동 진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22일 관계 부처 합동으로 이 같은 내용의 산불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지난 3월 영남 산불처럼 대형화·장기화하는 산불 재난에 대한 범정부적 대응 필요성이 높아지자 내놓은 대책이다. 행정안전부와 국방부, 농림축산식품부, 기후에...

전체 기사 읽기

전자신문 2025-10-22 16:53:10 oid: 030, aid: 0003361716
기사 본문

산림청이 기후위기로 대형·장기화되는 산불재난에 대비하기 위한 범부처 '산불 종합대책'을 내놨다. 인공지능(AI), 첨단장비 활용으로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드론, 농림위성, CCTV 등으로 입체적 산불 감시 시스템을 구축한다. 먼저 산림 인접지 관리를 강화한다. 산불발생 위험지역 등은 산림과 건축물(민가, 국가유산, 주요시설 등) 사이에 이격거리를 확보하고 민가 주변 수목 관리 기준을 개선한다. 농번기 집중된 영농부산물 파쇄 지원을 가을철 수확기 이후로 확대해 실시한다. 산불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경각심도 높인다. 매년 3월 첫째 주를 산불조심 주간으로 지정해 산불예방 캠페인, 안전산행 챌린지, 산림 인접지 인화물질 제거 등을 실시한다. 산불 원인자에 대해 처벌을 강화하고 원인행위에 대한 과태료를 상향한다. 산불감시·전파체계 개선도 추진한다. 주민이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산불감시 체계를 구축하고 신고포상금을 기존 최대 300만원에서 500만원으로 높인다. 드론, 농림위성, CCTV(A...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