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오송 첨단의료단지, 공공성 높이고 클러스터 연계 강화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복지부, '제5차 첨단의료복합단지 5개년 종합계획' 추진 정부가 대구·오송 첨단의료복합단지를 국가대표 바이오헬스 클러스터로 키우기 위해 공공적 역할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개발(R&D)을 강화하고, 다른 지역 단지와의 연계·협력 등을 추진한다.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난 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차 첨단의료복합단지협의회'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는 22일 의료 R&D와 국내 바이오헬스산업 발전을 위한 '제5차 첨단의료복합단지 종합계획(2025~2029년)'을 발표했다. 첨단의료복합단지는 2010년부터 대구 신서지구와 충북 오송에 조성된 바이오헬스 집적단지다. 기업, 공공기관, 학교, 병원 등이 입주해 있고 개별 바이오헬스 기업이 막대한 비용을 중복으로 투자하지 않고도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신약개발지원센터, 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 비임상지원센터, 의약생산센터 등을 비롯한 다양한 인프라를 구축해 R&D, 비임상, 시제품 생산 등 기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기사 본문
제5차 첨복단지 종합계획 다른 지역 단지와 연계·협력 백신 등 민간 참여 부족 기술 연구 오송 첨단의료복합단지. 충북도 제공. 정부가 대구와 오송의 첨단의료복합단지(첨복단지)를 국가대표 바이오헬스 공공 클러스터로 전환한다. ‘수익성 중심’의 기존 운영 방식에서 벗어나, 민간 참여가 미흡한 공백 기술 지원과 공공 역할 강화를 핵심 방향으로 삼아 첨복단지를 국가 주도의 공공 연구·생산 거점으로 육성하겠다는 구상이다. 보건복지부는 22일 ‘제5차 첨단의료복합단지 종합계획(2025~2029)’을 발표하며 “향후 5년간 첨복단지가 국가 바이오헬스 산업의 공공 거점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공공성 강화와 혁신 생태계 조성을 병행하겠다”고 밝혔다. 그동안 첨복단지는 신약과 의료기기 연구개발, 기술사업화 지원 등에서 일정한 성과를 거뒀지만, 수익성 중심 운영으로 공공적 역할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이어져 왔다. 복지부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감염병, 재생의료, 의약품 공정기술 등 국가 공백기술을 지원하...
기사 본문
제5차 첨단의료복합단지 종합계획 개요(자료=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가 23일 제5차 첨단의료복합단지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맞춤형 성장 지원, 연구개발(R&D) 강화, 단지 간 연계·협력으로 첨복단지를 한국을 대표하는 바이오헬스 클러스터로 육성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첨복단지는 '첨단의료복합단지 육성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의료 연구개발의 활성화와 연구 성과 상품화를 촉진하고, 국내 바이오헬스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도입됐다. 정부는 2010년부터 대구 신서지구와 충북 오송에 바이오헬스 집적단지를 조성했다. 이다. 신약개발지원센터, 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 비(전)임상지원센터, 의약생산센터 등 인프라를 구축해 R&D, 비임상, 시제품 생산 등 전주기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제1차 첨단의료복합단지협의회가 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렸다.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사진 뒷 줄 왼쪽 네 번째)이 발언하고 있다.(사진=보건복지부) 복지부는 올해부터 2029년까지 시행하는 제5차 종합계획 수립을 위해...
기사 본문
[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차 첨단의료복합단지협의회가 개최됐다. (자료=보건복지부)] 정부가 바이오 산업 육성을 위해 통합 재단 출범, 기술서비스 확대 등 첨단의료복합단지 기능 강화에 나섭니다. 보건복지부는 첨단의료복합단지를 국가대표 바이오헬스 클러스터로 키우기 위한 '제5차 첨단의료복합단지 종합계획('25~'29)'을 오늘(23일) 발표했습니다. 첨단의료복합단지(첨복단지)는 '첨단의료복합단지 육성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의료 연구개발의 활성화와 연구 성과의 상품화 촉진, 국내 바이오헬스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2010년부터 대구 신서지구와 충북 오송에 조성한 바이오헬스 집적단지입니다. 신약개발지원센터, 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 비(전)임상지원센터, 의약생산센터 등 4개 핵심 인프라를 비롯한 다양한 인프라가 구축돼 연구개발, 비임상, 시제품 생산 등 전주기 지원을 위한 기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010년부터 2038년까지로 계획된 첨복단지 조성계획은 이제 반환점을 돌아 후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