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당근마켓, ‘15분도시’ 구현 민관협력 추진체계 구축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지역 커뮤니티 플랫폼 연계···따뜻한 공동체 기반 강화 부산 연제구에 위치한 부산시청 전경. 사진제공=부산시 [서울경제] 부산시가 생활권 기반의 ‘15분도시’ 정책을 확산하기 위해 대표 지역 플랫폼인 당근마켓과 손을 잡았다. 부산시는 22일 서울 서초구 당근마켓 본사에서 당근마켓과 ‘따뜻한 공동체 기반 15분도시 구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는 성희엽 시 미래혁신부시장과 황도연 당근마켓 대표가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15분도시 부산’이 지향하는 지역 공동체 회복과 생활밀착형 서비스 확대라는 목표와 ‘당신 근처(당근) 지역 생활·커뮤니티’를 내세운 당근마켓의 철학이 맞닿으면서 추진됐다. 협약에 따라 양측은 민관 협력 추진체계 구축, 15분도시 실현을 위한 공동 프로그램 운영, 동네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정보 교류 등 구체적인 협력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시는 지역 행정 및 공공 자원을 활용해 다양한 공동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당근마켓은 자사 플랫폼의 기능을...
기사 본문
당근은 부산광역시와 22일 서울 강남구 당근마켓 본사에서 '따뜻한 공동체 기반 15분도시 구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황도연 당근 대표(왼쪽)와 성희엽 부산광역시 미래혁신부시장이 협약서를 들어보이고 있다. 〈자료 당근마켓〉 당근이 부산광역시와 '따뜻한 공동체 기반 15분도시' 구현을 위한 업무협약서(MOU)를 교환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당신 근처의 따뜻한 공동체'를 함께 만들어간다는 공동 목표 아래 부산시가 추진 중인 '15분도시 부산' 실현을 위한 협력 일환으로 마련됐다. 15분도시 부산은 가까이 있는 이웃과 좋은 문화로 만나 관계 형성과 행복을 추구하고, 친환경적인 활동으로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도시를 의미한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으로 △따뜻한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민관 공동협력 체계 마련 △'15분도시 부산' 구현을 위한 공동 사업 추진 △부산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정보 교류 △기타 상호 발전을 위한 협력 사업 등 다양한 영역에서 긴밀하게 협력한다....
기사 본문
공동체 프로그램, 지역 주민 간 교류 촉진 등 제공 부산시청 전경 /부산시 부산시는 당근마켓과 '따뜻한 공동체 기반 15분도시 구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시는 이번 협약을 기반으로 당근마켓과 함께 민관협력을 위한 추진체계 구축, 15분도시 구현을 위한 공동 프로그램 운영, 동네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정보 교류 등 구체적 협력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시는 지역 행정 및 공공 자원을 활용해 공동체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하는 등 따뜻한 공동체 기반 15분도시를 구현해 나간다. 당근마켓은 커뮤니티 및 모임 기능을 중심으로 지역 주민 간 교류를 촉진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기획하고 제공할 예정이다. 성희엽 부산시 미래혁신부시장은 "당근마켓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동네 커뮤니티 단위의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확산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한편 부산시의 15분도시 정책은 2021년 도입한 후 올해 5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지역소멸 대응 정책 모범사례로 소개됐다....
기사 본문
부산시·당근마켓 업무협약 논의 [부산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부산=연합뉴스) 김선호 기자 = 시민이 걸어서 15분 이내에 일을 하거나 의료, 교육, 여가 등을 누릴 수 있는 '15분 도시' 정책을 추진 중인 부산시가 당근마켓과 손잡았다. 부산시는 22일 오후 서울 당근마켓 본사에서 당근마켓 측과 15분 도시 구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성희엽 부산시 미래혁신부시장과 황도연 당근마켓 대표가 직접 협약서에 사인했다. 이번 협약으로 시와 당근마켓은 민관협력 추진체계 구축, 15분도시 구현 공동 프로그램 운영, 동네 커뮤니티 활성화 정보 교류 등을 추진한다. 부산시는 당근마켓의 커뮤니티·모임 기능을 통해 지역 주민에게 다양한 공동체 프로그램을 알려 참여하게 하고 15분 도시 정책도 홍보할 예정이다. 당근마켓은 지역 주민 간 교류를 촉진하는 서비스를 기획하고 제공한다. 당근마켓은 이번 달 기준 누적 가입자 수가 4천300만명 이상이며 월간 활성화 이용자 수는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