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 크는 영영제’? 허위광고 무더기 적발…식약처, 온라인 219건 제재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키 성장 참고 이미지. 사진 ChatGPT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키 성장’, ‘키 크는 주사’ 등 문구로 식·의약품을 과장 광고하거나 불법 판매한 온라인 게시물 219건을 적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식약처는 최근 청소년과 학부모를 중심으로 키 성장 관련 제품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온라인 불법 광고 실태를 집중 점검했다. 점검 결과 키 성장 관련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광고·판매하는 게시물 153건에서 부당광고가 확인됐다. 세부 위반 유형은 ▶일반식품을 건강기능식품으로 오인·혼동시키는 광고 122건(79.7%) ▶‘키 성장’ 등 인정받지 않은 기능성을 내세운 거짓·과장 광고 16건(10.5%) ▶식품을 의약품으로 오인하게 하는 광고 8건(5.2%) ▶‘성조숙증’ 등 질병 예방ㆍ치료 효능을 표방한 광고 6건(3.9%) ▶체험담을 이용한 소비자 기만 광고 1건(0.7%)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장호르몬제 등 의약품을 온라인에서 불법 판매하거나 이를 알선·광고한 게시물 66건도 적발됐다....
기사 본문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공개한 '키 성장' 불법 식·의약품 주요 위반 사례 / 식품의약품안전처 제공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어린이 키 성장’을 앞세워 식·의약품을 불법 판매하거나 부당한 방식으로 광고한 온라인 게시물 219건을 적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앞서 식약처는 지나달 15일부터 닷새간 ‘키 성장’, ‘키 크는 주사’ 등의 표현으로 제품을 광고·판매하는 온라인 게시물을 집중 점검했다. 관할 기관이 해당 게시물의 접속을 차단하고, 행정 처분도 진행하기로 했다. 점검을 통해 적발한 키 성장 관련 식품·건강기능식품 판매 광고는 153건이었다. ‘키 성장 영양제’, ‘청소년 키 성장’ 등 일반 식품을 건강기능식품으로 오인·혼동하게 하는 광고가 122건(79.7%)으로 가장 많았고 ▲‘키 성장’ 등 공식 기관에서 인정하지 않은 기능성을 내세운 과장 광고 ▲‘키 약’으로 표기해 식품을 의약품으로 오인하게 하는 광고 ▲‘성 조숙증’ 등 질병 예방·치료를 표방하는 광고 등도 있었다. 식약처는 성장호르...
기사 본문
뉴시스 ‘어린이 키 성장’ ‘키 크는 주사’ 등 일반 식품을 건강기능식품으로 오인하게 하는 표현 등을 사용한 온라인 부당광고 및 불법판매 게시글 219건이 적발됐다. 22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달 15~19일 키 성장과 관련된 식품이나 건강기능식품, 성장호르몬제 등 의약품을 광고·판매하는 온라인 게시글 점검 결과를 공개했다. 식약처가 적발한 부당광고는 153건으로 온라인 판매사이트에서 86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67건 적발됐다. ‘키 성장 영양제’ ‘청소년 키 성장’ ‘중학생 어린이 키 크는 식품’ 등 일반 식품을 건강기능식품으로 오인하게 하거나 혼동시킨 광고가 122건(79.7%)로 가장 많았다. ‘키 성장’ 등 인정받지 않은 기능성을 내세운 거짓·과장 광고 16건(10.5%), ‘키 약’ 등 식품을 의약품으로 오인하게 하는 광고 8건(5.2%), ‘성조숙증’ 등 질병의 예방이나 치료를 표방한 광고 6건(3.9%) 순이었다. 성장호르몬제 등 의약품을 온라인에서 불법 ...
기사 본문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어린이 키 성장’을 내세운 식·의약품의 온라인 부당 광고 및 불법 판매 게시물 219건을 적발했다. 22일 식약처는 ‘키 성장’, ‘키크는 주사’ 등 표현으로 식·의약품을 광고·판매하는 온라인 게시물을 집중 점검한 결과, 부당 광고 153건과 불법 의약품 판매 66건이 확인돼 관련 기관에 접속 차단 및 행정 처분을 의뢰했다고 밝혔다. 부당 광고 중 79.7%(122건)는 일반 식품을 ‘키 성장 영양제’ 등으로 표현해 건강기능식품으로 오인하게 만든 사례였다. 또 ‘키 약’, ‘성조숙증 완화’ 등 의약품 또는 질병 치료 효능을 내세운 거짓·과장 광고도 다수 적발됐다. 플랫폼별로는 온라인 판매사이트 86건, SNS 67건에서 위반이 확인됐다. 성장호르몬제 등 의약품 불법 판매 게시물 66건은 중고거래 플랫폼(50건)과 일반쇼핑몰(10건), 오픈마켓(6건)에서 주로 발견됐다. 식약처는 “일반 식품을 건강기능식품으로 오인하게 만드는 광고가 많았다”며 “온라인에서 구매할 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