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오송 첨단의료복합단지, 공공성 키워 바이오헬스 산업 거점으로 키운다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복지부, 제5차 첨복단지 종합계획…지자체 중심 다른 클러스터와 차별화 공백 기술 R&D 지원·다른 지역 단지와 연계·협력 강화 등 추진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정부가 대구·오송 첨단의료복합단지를 국가 바이오헬스 산업의 거점으로 키우기 위한 종합 계획을 내놨다. 보건복지부는 22일 의료 연구개발과 국내 바이오헬스 산업 발전을 위한 ‘제5차 첨단의료복합단지 종합계획(2025∼2029년)’을 발표했다. 첨단의료복합단지는 2010년부터 대구 신서지구와 충북 오송에 조성된 바이오헬스 집적단지다. 기업, 공공기관, 학교, 병원 등이 입주해 있고 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이 신약 개발, 생산 등에 필요한 기술 서비스를 지원한다. 개별 기업이 막대한 비용을 인프라에 중복으로 투자하지 않고도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약물 독성·효능 평가 등 일부 과정을 위탁 수행해 준다. 정부는 지난해까지 15년간 1조5126억원의 재원이 투입된 대구·오송 첨단의료복합단지가 기업 전주기 지원을 위한 인프라 구축 등에서 일정...
기사 본문
복지부, '제5차 첨단의료복합단지 5개년 종합계획' 발표 단지 통합 관리해 CRDMO로 도약 올해로 첨복단지 조성계획 반환점 맞아 의료AI·제약·바이오헬스 강국 실현 가속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대구와 충북 오송에 각각 위치한 첨단의료복합단지를 재단에서 통합 관리하고 위탁연구개발생산(CRDMO)을 수행하는 국가대표 클러스터로 도약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김한숙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과장은 22일 '제5차 첨단의료복합단지 종합계획' 관련 설명회를 열고 "지역 단지에 머물지 않고 전국 대상 기술 서비스 중심 기능을 확대하기 위해 분산보다는 집적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보건복지부는 첨단의료복합단지를 국가대표 바이오헬스 클러스터로 육성해 국민주권정부 123대 국정과제 중 하나인 '의료AI·제약·바이오헬스 강국 실현'을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산업부 등 관계 부처 △대구시·충북도 양 지자체 △대구·오송 양 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과 함께 ...
기사 본문
[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차 첨단의료복합단지협의회가 개최됐다. (자료=보건복지부)] 정부가 바이오 산업 육성을 위해 통합 재단 출범, 기술서비스 확대 등 첨단의료복합단지 기능 강화에 나섭니다. 보건복지부는 첨단의료복합단지를 국가대표 바이오헬스 클러스터로 키우기 위한 '제5차 첨단의료복합단지 종합계획('25~'29)'을 오늘(23일) 발표했습니다. 첨단의료복합단지(첨복단지)는 '첨단의료복합단지 육성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의료 연구개발의 활성화와 연구 성과의 상품화 촉진, 국내 바이오헬스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2010년부터 대구 신서지구와 충북 오송에 조성한 바이오헬스 집적단지입니다. 신약개발지원센터, 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 비(전)임상지원센터, 의약생산센터 등 4개 핵심 인프라를 비롯한 다양한 인프라가 구축돼 연구개발, 비임상, 시제품 생산 등 전주기 지원을 위한 기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010년부터 2038년까지로 계획된 첨복단지 조성계획은 이제 반환점을 돌아 후반...
기사 본문
제5차 첨단의료복합단지 종합계획 '5대 전략' 제시 단지 내 기술서비스 '수요 맞춤형'으로 개편 감염병 대응·첨단재생의료 등 연구개발…공공성 강화 정은경 "정부 국정과제 '바이오헬스 강국' 달성 위해 최선" 보건복지부가 향후 5년간 첨단의료복합단지를 '국가대표 바이오헬스 클러스터'로 육성하기 위한 청사진을 제시했다. 복지부는 22일 '제5차 첨단의료복합단지 종합계획(2025~2029)'을 발표하고, 5대 전략과 13대 핵심과제를 중심으로 첨단의료복합단지(첨복단지)의 경쟁력 강화와 산업 생태계 고도화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첨복단지는 2010년부터 대구 신서지구와 충북 오송에 조성된 바이오헬스 집적단지로, 신약·의료기기 개발부터 비임상시험, 시제품 생산까지 전주기 기술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이번 종합계획은 지난 15년간의 성과와 한계를 분석하고, 첨복단지 조성계획(2010~2038)의 반환점을 맞아 후반기 전략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이번 계획의 비전은 '혁신과 연계로 국가대표 바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