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난제 ‘삼중음성유방암’, 면역항암 치료 결과 조기에 예측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분당서울대학교병원–KAIST 공동 연구팀, 면역항암 첫 주 혈액검사로 치료 결과 예측하는 지표 발견 효과 낮은 환자 조기 선별해 시간 낭비 줄이고 치료 전략 최적화 면역항암제, 치료 효과 개인차 커 문제... 효과 없는 환자는 수개월 시간 허비하기도 [이데일리 이순용 기자] 난치성 유방암으로 꼽히는 삼중음성유방암에서 면역항암치료 효과가 낮은 환자들을 조기에 선별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생체지표)가 발견됐다. 이를 통해 환자들이 자신과 맞지 않는 항암치료에 시간과 체력을 허비하지 않고, 더 적합한 치료 전략으로 빠르게 전환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분당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서경진·김지현 교수, 방사선종양학과 전승혁 교수 , KAIST 의과학대학원 신의철 교수 공동 연구팀은 진행성 삼중음성유방암 환자의 면역항암치료 초기에 혈액검사로 면역세포(조절 T세포)의 변화를 관찰하면 치료 반응이 떨어지는 환자를 조기에 찾을 수 있다고 밝혔다. 삼중음성유방암은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HER...
기사 본문
암·중증질환 다학제 진료 분당차병원, 올해 다학제 진료 6500례 달성… 국내 최단 기록 여러 진료과 협진해 치료 계획 수립, 최상의 치료법 도출 매년 1000건 이상 증가… 파킨슨·치매 등 중증질환에도 적용 치료 성공률 높여… "난치성, 전이성 암 환자들에게 희망" (왼쪽부터)분당차병원 외과 양석정, 종양내과 강버들, 핵의학과 장수진, 외과 정의혁, 영상의학과 안찬식, 외과 조성준, 방사선종양학과 임정호, 종양내과 김정선, 소화기내과 성민제, 소화기내과 권창일 교수가 췌담도암 다학제 진료를 하고 있다. /분당차병원 제공 '다학제 진료'가 국내 암 치료의 핵심 모델로 자리 잡고 있다. 다학제 진료는 한 명의 환자 진료를 위해 평균 5개 진료과, 7명의 교수가 동시에 협진하는 방식이다. 각 전문의의 지식과 경험을 통합해 환자 중심의 맞춤 치료를 구현한다는 점에서 대학병원들을 중심으로 활발히 도입되는 추세다. 다학제 진료의 중요성은 국제적으로도 인정받고 있다. 미국 암 치료 가이드라인인...
기사 본문
면역항암제 치료 개인차 커…수개월 허비하기도 '조절T세포' 변화 관찰, 효과 낮은 환자 선별가능 [서울=뉴시스] 서경진 분당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왼쪽), 전승혁 방사선종양학과 교수(오른쪽). (사진= 분당서울대병원 제공) [서울=뉴시스] 류난영 기자 = 난치성 유방암으로 꼽히는 삼중음성유방암에서 면역항암치료 효과가 낮은 환자들을 조기에 선별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생체지표)가 발견됐다. 이를 통해 환자들이 자신과 맞지 않는 항암치료에 시간과 체력을 허비하지 않고, 더 적합한 치료 전략으로 빠르게 전환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서경진·김지현 분당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 전승혁 방사선종양학과 교수, 신의철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 공동 연구팀은 진행성 삼중음성유방암 환자의 면역항암치료 초기에 혈액검사로 면역세포(조절 T세포)의 변화를 관찰하면 치료 반응이 떨어지는 환자를 조기에 찾을 수 있다는 내용의 연구결과를 22일 발표했다. 삼중음성유방암은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
기사 본문
생존율 낮은 삼중음성유방암, 면역항암제 기반 치료 주목받아 분당서울대병원 “혈액 속 면역세포 변화 관찰로 치료 결과 조기 확인” 난치성 유방암으로 꼽히는 ‘삼중음성유방암’에서 면역 치료 효과가 낮은 환자들을 조기에 선별할 수 있는 생체 지표가 발견됐다. 해당 유방암은 환자 간 반응이 달라 ‘골든 타임’을 놓칠 위험이 있는데 앞으로 치료 반응을 조기에 예측함으로써 환자들에게 맞는 전략으로 빠르게 전환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유방암 인식을 위한 상징인 핑크 리본. 게티이미지뱅크 분당서울대병원 혈약종양내과 서경진·김지현 교수, 방사선종양학과 전승혁 교수, KAIST 의과학대학원 신의철 교수 공동 연구팀은 진행성 삼중음성유방암 환자의 면역항암치료 초기에 혈액검사로 면역세포(조절 T세포)의 변화를 관찰하면 치료 반응이 떨어지는 환자를 조기에 찾을 수 있다고 22일 밝혔다. 삼중음성유방암은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HER2 단백질에 대한 수용체가 음성인(triple-negati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