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음모론·식민사관 옹호 도서, 공공도서관 79곳서 소장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대한교조 펴낸 논란 도서 '대한민국 사회 교과서' '5·18, 공산당 간첩·김대중 지지자 합작' 허위 유포 신군부 군사독재 옹호·위안부 강제연행설 부정도 박수현 의원 "국민 통합 해치는 도서, 유통 막아야" [서울=뉴시스] 김명원 기자 =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56차 함께차담회-공고육 정상화를 위한 교원노조와의 대화에 참석해 인교연(인성교육실천교원연합)·대한교조(대한민국교원조합)·K-EDU교원연합 등 교원3단체와 업무협약식을 하고 있다. 2024.11.26. kmx1105@newsis.com [광주=뉴시스]이영주 기자 = 5·18민주화운동 음모론을 담고 일제의 위안부 강제연행 역사를 부정해 논란을 일으킨 책이 전국 79곳 공공도서관에 비치돼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박수현 의원이 22일 국립중앙도서관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79곳 공공도서관은 대한민국교원조합(대한교조)이 펴낸 '대한...
기사 본문
[2025 국감] 박수현 의원, 식민사관 도서 전국에 광범위 비치 독재미화 ‘대한민국 사회 교과서’도 소장 국민통합 해치는 `역사왜곡` 결코 납득 안돼 “국립중앙도서관, 조치나 대응 전혀 없어” 지적 [이데일리 김미경 기자] 위안부의 강제 연행을 부정하고 5·18 정신을 훼손하는 부적절한 도서가 전국 79곳의 공공도서관에 광범위하게 비치되어 있음에도, 국립중앙도서관의 조치나 대응은 전혀 없었다는 지적이 나왔다. 22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박수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립중앙도서관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식민사관과 독재 미화를 노골적으로 드러내는 도서 ‘대한민국 사회 교과서’를 전국 79개 공공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자료=박수현 의원실 책에서는 위안부 문제에 대해 ‘대부분의 증언에 따르면 강제 연행은 존재하지 않았다고 한다’라고 기술하는 등 강제 연행 사실을 부정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사회적 합의가 완결된 5·18 민주화운동에 대해서도 ‘CIA 보고서...
기사 본문
[국감현장] 박수현 의원 "도서관법 시행령에 따라 즉시 폐기해야" 박수현 더불어민주당 의원. 2025.10.12/뉴스1 ⓒ News1 유승관 기자 (서울=뉴스1) 김정한 기자 = 역사를 왜곡하는 교과서가 전국 공립도서관에 배치돼 있음에도 국립중앙도서관이 이에 대한 조치나 대응이 전혀 없다는 지적이 나왔다. 22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수현 의원은 국정감사에서 역사를 왜곡하고 있는 '대한민국 사회 교과서'가 전국에 77곳의 국공립도서관 및 국회도서관과 국회도서관 분원을 포함하면 79군데에 있음에도, 국립중앙도서관이 아무런 조치도 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에 따르면, '대한민국 사회 교과서'는 위안부에 대해 강제 연행이 존재하지 않았다고 기술하거나 5·18 민주화운동에 대해서도 사회적 합의를 무시하고 공산당 간첩과 김대중 지지자들의 합작품이라고 기술하는 등 식민사관과 독재미화를 노골적으로 드러내며 편향된 시각으로 역사를 기록하고 있어 이미 지적을 받은 바...
기사 본문
5·18 음모론과 식민사관으로 가득한 '대한민국 사회 교과서' 책 펴낸 곳은 리박스쿨 교류 단체로 알려진' 대한민국 교원조합 ' 2024년에는 교육부와 MOU 체결하기도 박수현 의원, "국민 통합 해치는 역사왜곡, 결코 납득할 수 없어" 박수현 의원 국감 질의 모습. 박 의원실 제공 위안부의 강제연행을 부정하고 5·18 정신을 훼손하는 부적절한 도서가 전국 79곳의 공공도서관에 광범위하게 비치되어 있음에도, 국립중앙도서관의 조치나 대응은 전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박수현 의원(더불어민주당/충남 공주·부여·청양)이 22일 국립중앙도서관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식민사관과 독재 미화를 노골적으로 드러내는 도서 '대한민국 사회 교과서'를 전국 79개 공공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책에서는 위안부 문제에 대해'대부분의 증언에 따르면 강제연행은 존재하지 않았다고 한다'라고 기술하는 등, 강제연행 사실을 부정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사회적 합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