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어’ 백세희 작가, 5명에 새 생명 나누고 하늘로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책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어’를 집필한 백세희 작가. 한국장기조직기증원 제공 책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어’를 집필한 백세희 작가가 별세했다. 35세. 한국장기조직기증원은 백 작가가 지난 16일 뇌사 장기 기증으로 5명의 생명을 살리고 세상을 떠났다고 17일 밝혔다. 백 작가는 심장, 폐장, 간장, 신장(양측)을 기증했다. 백 작가는 기분부전장애(가벼운 우울감이 2년 이상 지속되는 상태)를 진단받고 담당의와 상담한 이야기를 담은 에세이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어’로 주목받았다. 이후에도 다른 작가들과 함께 ‘나만큼 널 사랑할 인간은 없을 것 같아’, ‘쓰고 싶다 쓰고 싶지 않다’ 등의 책을 펴냈다. 토크콘서트, 강연회 등을 통해 독자들과 소통해왔다. 경기 고양시에서 3녀 중 둘째로 태어난 백 작가는 어릴 적부터 책 읽기와 글쓰기를 좋아했다고 한다. 대학에서 문예창작과를 졸업한 그는 출판사에서 5년 동안 근무했고, 이 시기에 개인적인 상처와 아픔을 극복하고자 상...
기사 본문
16일 오후 별세, 5명에 장기기증... 유가족 "아픔 갖고 있었기에, 마지막 순간까지 타인 돕고자 했던 사람" ▲ 책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어'를 쓴 백세희 작가(35). ⓒ 한국장기조직기증원 "우주 행성의 실제 크기를 보여주는 영상을 자주 봐요. '나는 우주의 먼지'라고 실감나게 느끼는 거예요. 냉소는 아니고요. 눈에 보이지도 않을 만큼 작은 존재라는 걸 생각하면 그만큼 자유로워질 수 있어요. 어차피 다 죽을 건데 그때까지 나를 괴롭히며 살 필요는 없다고, 그렇게 매일 조용히 설득하는 중이에요." - 책 <바르셀로나의 유서>(위즈덤하우스) 중에서. 책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어>를 쓴 백세희 작가(35)가 16일 오후에 세상을 떠났다. 한국장기조직기증원은 백 작가가 "경기 고양시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에서 뇌사 장기 기증으로 심장, 폐장, 간장, 신장(양측)을 기증해 5명의 생명을 살리고 하늘의 별이 되어 떠났다"고 17일 밝혔다. 백 작가는 1990년 경기도 ...
기사 본문
[박선우 디지털팀 기자 psw92@sisajournal.com] 향년 35세…우울증 상담 경험 풀어낸 에세이로 큰 사랑받아 유가족 "아무도 미워하지 못하는 착한 사람"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어》의 작가 백세희씨가 10월16일 뇌사 장기기증으로 5명의 생명을 살리고 하늘의 별이 됐다고 17일 한국장기조직기증원이 밝혔다. ⓒ한국장기조직기증원 제공 국내를 넘어 전세계 독자들에게 깊은 울림을 준 에세이집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어》의 저자 백세희 작가가 향년 3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한국장기조직기증원은 17일 "전날 국민건강보험공단일산병원에서 백 작가가 뇌사 장기기증으로 5명의 생명을 살리고 하늘이 별이 되어 떠났다"고 밝혔다. 백 작가는 심장, 폐장, 간장, 신장(양측)을 기증했고, 그가 뇌사에 이르게 된 경위는 밝혀지지 않았다. 백 작가는 기분부전장애(경증의 우울증상이 지속되는 상태) 진단을 받은 뒤 담당 의사와 진행한 상담 이야기를 진솔하게 풀어낸 에세이집 《죽고 싶...
기사 본문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어' 저자 백세희 씨. 사진= 한국장기조직기증원 제공. 자신의 우울증 치료 과정을 솔직하게 담아낸 에세이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어'로 수많은 독자의 공감을 얻은 백세희 작가가 5명에게 새 생명을 선물하고 세상을 떠났다. 향년 35세. 한국장기조직기증원은 "백 작가가 지난 16일 뇌사 기증으로 심장, 폐, 간, 신장(양쪽)을 기증해 5명의 환자를 살렸다"고 17일 밝혔다. 책 표지 이미지. 사진=흔 출판사. 2018년 출간된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어'는 기분부전장애(가벼운 우울 증상이 지속되는 상태)를 겪던 작가가 정신과 전문의와 상담한 내용을 담은 책이다. 어설픈 위로 대신 자신의 어두운 면을 담담하게 드러낸 이 책은 나만 그런 게 아니었다는 깊은 울림을 주며 국내에서만 50만 부, 영국에서도 10만 부 이상 팔리는 등 큰 사랑을 받았다. 백 작가는 어려운 사람을 보면 먼저 다가가 이야기를 나누고, 도움을 전하는 따뜻한 사람이었다. 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