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탕 찌꺼기를 고부가가치 물질로'…GIST, 'D-만니톨' 생산 성공

2025년 10월 22일 수집된 기사: 3개 전체 기사: 6개
수집 시간: 2025-10-22 10:51:04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7개

아시아경제 2025-10-22 09:43:40 oid: 277, aid: 0005667878
기사 본문

(왼쪽부터) GIST 신소재공학과 박현선 통합과정 학생, 권인찬 교수.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신소재공학과 권인찬 교수 연구팀이 사탕수수 정제 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 '당밀(molasses)'을 효소 반응만으로 고부가가치 물질인 'D-만니톨(D-mannitol)'로 전환하는 친환경 바이오 전환 기술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D-만니톨은 천연 당알코올(sugar alcohol)의 일종으로, 식품·의약·화장품 등 다양한 산업에서 감미료·안정제·치료제 등으로 쓰이는 고부가가치 기능성 물질이다. 이번 연구 성과는 버려지는 농업 부산물을 새 자원으로 재활용(업사이클링)해 순환 경제 실현과 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설탕 산업은 매년 막대한 양의 부산물을 배출한다. 사탕수수나 사탕무를 가공할 때 생성되는 '당밀'은 설탕 외에도 포도당, 과당, 무기물 등이 섞인 점성 높은 부산물이다. 그러나 대부분 가축 사료나 저가의 에탄올 원료로만 이용돼 고부가가치 활용은 이...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0-22 10:01:43 oid: 003, aid: 0013549719
기사 본문

GIST, 효소반응으로 95% 고효율 전환 성공 환경·경제성 모두 잡은 바이오 제조 플랫폼 설탕산업 부산물 식품·의약 산업 확장 기대 [광주=뉴시스] 설탕 정제 부산물인 당밀을 D-만니톨로 업사이클링 하기 위한 효소적 전환 과정. (사진=광주과학기술원 제공) 2025.10.22.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광주=뉴시스]이창우 기자 = 광주과학기술원(GIST) 연구진이 설탕 정제 과정에서 버려지는 부산물인 '당밀(molasses)'을 활용해 고부가가치 물질인 'D-만니톨(D-mannitol)'을 친환경적으로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D-만니톨은 천연 당알코올(sugar alcohol)의 일종으로 식품·의약·화장품 등 다양한 산업에서 감미료·안정제·치료제 등으로 쓰이는 고부가가치 기능성 물질이다. GIST는 신소재공학과 권인찬 교수 연구팀이 당밀 속 자당을 3단계 효소 반응만으로 D-만니톨로 전환하는 시스템을 구축해 최대 95%에 달하는 전환 효율을 입증했...

전체 기사 읽기

뉴스1 2025-10-22 09:24:49 oid: 421, aid: 0008554042
기사 본문

권인찬 교수 연구팀, 화학 처리 없는 효소 반응…친환경·경제성 동시 확보 권인찬 교수(오른 쪽)와 박현선 통합과정 학생(지스트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뉴스1 (광주=뉴스1) 조영석 기자 = 광주과학기술원(GIST철)은 신소재공학과 권인찬 교수 연구팀이 사탕수수 정제 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 '당밀(molasses)'을 고부가가치 물질인 'D-만니톨(D-mannitol)'로 전환하는 친환경 바이오 전환 기술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D-만니톨은 천연 당알코올(sugar alcohol)의 일종으로, 식품·의약·화장품 등 다양한 산업에서 감미료·안정제·치료제 등으로 쓰이는 고부가가치 기능성 물질이다. 이번 연구 성과는 버려지는 농업 부산물을 새 자원으로 재활용하여 순환경제 실현과 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탕수수나 사탕무를 가공할 때 생성되는 '당밀'은 설탕 외에도 포도당, 과당, 무기물 등이 섞인 점성 높은 부산물로 대부분 가축 사료나 저가의 에탄올 ...

전체 기사 읽기

문화일보 2025-10-22 08:20:20 oid: 021, aid: 0002744253
기사 본문

지스트 연구팀, 친환경 바이오 전환 기술 개발 설탕 정제 부산물인 당밀을 만니톨로 업사이클리닝 하기 위한 효소적 전환. 지스트 제공 광주=김대우 기자 광주과학기술원(지스트)은 신소재공학과 권인찬 교수 연구팀이 사탕수수 정제 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 ‘당밀(molasses)’을 효소 반응만으로 고부가가치 물질인 ‘D-만니톨(D-mannitol)’로 전환하는 친환경 바이오 전환 기술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D-만니톨은 천연 당알코올(sugar alcohol) 일종으로, 식품·의약·화장품 등 다양한 산업에서 감미료·안정제·치료제 등으로 쓰이는 고부가가치 기능성 물질이다. 기존에는 미생물 발효법으로 당밀에서 D-만니톨을 생산하는 연구가 진행돼 왔으나 전환율이 떨어지고 젖산·에탄올 등 불필요한 부산물이 함께 만들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화학 처리 없이 효소 반응만으로 당밀을 D-만니톨로 전환하는 ‘3단계 효소 반응 시스템’을 새롭게 설계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은 기존 미생...

전체 기사 읽기

조선비즈 2025-10-22 10:44:08 oid: 366, aid: 0001116446
기사 본문

GIST, 고부가가치 D-만니톨 친환경 생산 성공 (왼쪽부터) 광주과학기술원(GIST) 신소재공학과의 박현선 통합과정생, 권인찬 교수./GIST 권인찬 광주과학기술원(GIST)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진이 사탕수수 정제 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 ‘당밀(molasses)’을 효소 반응만으로 고부가가치 물질인 ‘D-만니톨(D-mannitol)’로 전환하는 친환경 바이오 전환 기술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연구진은 사탕수수나 사탕무를 가공할 때 생성되는 당밀에 주목했다. 당밀은 설탕 외에도 포도당, 과당, 무기물 등이 섞인 점성 높은 부산물이다. 대부분 가축 사료나 저가의 에탄올 원료로만 이용돼 고부가가치 활용은 이뤄지지 못했다. 연구진은 화학 처리 없이 효소 반응만으로 당밀을 D-만니톨로 전환하는 3단계 효소 반응 시스템을 새롭게 설계했다. D-만니톨은 천연 당알코올의 일종으로, 식품과 의약, 화장품 등 다양한 산업에서 감미료나 안정제, 치료제 등으로 쓰이는 고부가가치 물질이다. 개발한...

전체 기사 읽기

전자신문 2025-10-22 09:18:15 oid: 030, aid: 0003361324
기사 본문

설탕 정제 부산물인 당밀을 만니톨로 업사이클리닝 하기 위한 효소적 전환. 광주과학기술원(GIST·총장 임기철)은 권인찬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이 사탕수수 정제 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 '당밀(molasses)'을 효소 반응만으로 고부가가치 물질인 'D-만니톨(D-mannitol)'로 전환하는 친환경 바이오 전환 기술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D-만니톨은 천연 당알코올의 일종으로, 식품·의약·화장품 등 다양한 산업에서 감미료·안정제·치료제 등으로 쓰이는 고부가가치 기능성 물질이다. 설탕 산업은 매년 막대한 양의 부산물을 배출한다. 사탕수수나 사탕무를 가공할 때 생성되는 당밀은 설탕 외에도 포도당, 과당, 무기물 등이 섞인 점성 높은 부산물이다. 하지만 대부분 가축 사료나 저가의 에탄올 원료로만 이용되어, 고부가가치 활용은 이뤄지지 못했다. 이러한 부산물을 새로운 자원으로 전환하는 기술은 환경 문제 해결과 산업 경쟁력 강화를 동시에 달성할 핵심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당밀은 당 함...

전체 기사 읽기

헤럴드경제 2025-10-22 10:39:11 oid: 016, aid: 0002545463
기사 본문

- 신소재공학과 권인찬 교수팀, 친환경 바이오 전환기술 개발 박현선(왼쪽부터) GIST 신소재공학과 통합과정, 권인찬 교수.[GIST 제공]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신소재공학과 권인찬 교수 연구팀이 사탕수수 정제 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 ‘당밀(molasses)’을 효소 반응만으로 고부가가치 물질인 ‘D-만니톨(D-mannitol)’로 전환하는 친환경 바이오 전환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D-만니톨은 천연 당알코올(sugar alcohol)의 일종으로, 식품·의약·화장품 등 다양한 산업에서 감미료·안정제·치료제 등으로 쓰이는 고부가가치 기능성 물질이다. 설탕 산업은 매년 막대한 양의 부산물을 배출한다. 사탕수수나 사탕무를 가공할 때 생성되는 ‘당밀’은 설탕 외에도 포도당, 과당, 무기물 등이 섞인 점성 높은 부산물이다. 그러나 대부분 가축 사료나 저가의 에탄올 원료로만 이용되어, 고부가가치 활용은 이뤄지지 못했다. 이런 부산물을 새로운 자원으로 전환하는...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