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년 만에 열리는 세종문화회관 옥상…22일 옥상정원 설계공모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광화문·경복궁 조망하는 '닫힌 공간' 전망·휴게·식음 갖춘 열린 정원으로 [이데일리 이영민 기자] 서울특별시가 1978년 개관 후 47년간 폐쇄됐던 세종문화회관 옥상을 시민에게 개방하는 ‘옥상정원 조성 사업’의 설계 공모에 나선다. 세종문화회관 전경(사진=서울시청) 서울시는 22일부터 내달 24일까지 옥상정원 조성을 위한 설계 공모를 진행해 그동안 접근이 제한된 세종문화회관 옥상을 시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 바꾸겠다고 밝혔다. 세종문화회관은 그동안 공연과 전시, 다양한 문화예술 행사를 통해 서울시의 상징적인 공간으로 자리매김해 왔다. 하지만 광화문광장과 경복궁, 세종대로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옥상은 현재까지 닫혀 있다. 1725㎡ 규모의 옥상에는 도심부를 조망할 수 있는 전망 공간과 휴게시설, 조경과 식음시설이 조성될 예정이다. 시는 지상부터 옥상까지 직통으로 연결되는 엘리베이터를 설치해 접근성을 높일 계획이다. 서울시는 이번 공모에서 서울 도심을 조망할 수 있는 뛰...
기사 본문
/사진제공=서울시 서울시가 세종문화회관 개관 이후 47년 간 일반에 개방되지 않았던 옥상을 시민에게 돌려준다. 시는 22일, 세종문화회관 옥상정원 조성 사업의 설계 공모를 이날부터 24일까지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공모를 통해 세종문화회관의 옥상은 닫힌 공간에서 열린 시민 여가 공간으로 새롭게 태어난다. 세종문화회관은 1978년 개관해 그동안 공연과 전시, 다양한 문화예술 행사를 통해 서울시의 상징적인 공간으로 자리매김해 왔다. 많은 시민이 찾는 곳이지만 세종문화회관의 옥상은 닫혀 있어 접근할 수 없었다. 옥상은 광화문광장과 경복궁, 세종대로를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는 탁월한 조망을 품었는데, 이 공간이 주·야간 모두 시민에게 개방될 예정이다. 설계 공모를 통해 재탄생되는 옥상 공간은 시민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열린 공간으로 탈바꿈한다. '열린 접근'과 '도심 조망'을 핵심으로 도심부를 조망할 수 있는 전망 공간과 휴게시설, 조경과 식음시설이 조성된다. 지상부터 옥상까...
기사 본문
서울시는 세종문화회관 옥상을 시민들에게 개방하는 ‘세종문화회관 옥상 정원 조성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22일 밝혔다. 세종문화회관 전경. /서울시 1978년 개관 이후 세종문화회관은 서울을 대표하는 공연·전시 공간으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세종문화회관 옥상은 지금까지 굳게 닫혀 있어 시민들이 접근할 수 없었다. 이에 서울시는 세종문화회관 옥상에 정원을 조성해 시민들에게 개방한다는 방침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시민들이 광화문광장과 경복궁을 내려다볼 수 있는 공간이 생기는 것”이라고 했다. 1725㎡ 규모 옥상에는 전망대를 비롯해 휴게 시설, 카페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누구나 쉽게 옥상을 찾을 수 있도록 1층에서 옥상을 잇는 직통 엘리베이터도 설치한다. 서울시는 구체적인 옥상 정원 조성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다음 달 24일까지 설계 공모를 진행한다. 12월 중 당선작을 선정, 내년 상반기 착공해 내년 하반기 개장한다는 게 서울시 목표다. 임창수 서울시 미래공간기획관은 “세종문화회관 ...
기사 본문
세종문화회관 하늘정원 조성 내년 상반기 착공, 하반기 개장 목표 서울시는 '세종문화회관 옥상정원 조성 사업'의 설계 공모를 내달 24일까지 진행한다고 22일 밝혔다. 사진은 세종문화회관 전경./서울시 서울시는 '세종문화회관 옥상정원 조성 사업'의 설계 공모를 내달 24일까지 진행한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공모를 통해 세종문화회관의 옥상은 닫힌 공간에서 열린 시민 여가 공간으로 탈바꿈한다. 1978년에 개관한 세종문화회관은 공연, 전시 등이 개최되는 서울시 대표 문화예술기관이다. 많은 시민이 찾지만, 세종문화회관 옥상은 닫혀 있어 접근할 수 없다. 시는 폐쇄된 옥상을 시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열린 여가 공간으로 조성한다. 도심 전망을 즐길 수 있는 전망 공간과 쉼터형 휴게시설, 문화와 연계된 식음(F&B) 시설, 옥상정원이 적절한 규모로 배치된다. 지상과 옥상을 연결하는 직통 엘리베이터를 설치해 접근성을 높이고, 보행 약자, 유모차 이용 시민, 고령층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