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3만명 내일 1000만원씩 목돈 받는다”…이 돈 어디에 쓸까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게티이미지뱅크] [헤럴드경제=김성훈 기자] 2022년 도입된 정부의 청년 자산 형성 지원사업인 ‘청년내일저축계좌’의 3년 만기 가입자들이 22일 본인 저축금과 만기 지원금을 받게 된다. 보건복지부와 한국자활복지개발원은 22일부터 청년내일저축계좌의 첫 3년 만기자 약 3만3000명에게 만기 지원금을 지급한다고 21일 밝혔다.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일하는 저소득 청년의 꾸준한 저축과 안정적인 자산 기반 형성을 돕는 사업이다. 근로·사업 소득이 있는 청년(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이 매월 10만∼50만원을 저축하면 정부가 가입자의 소득 수준에 따라 한 달에 10만원 혹은 30만원을 지원해준다. 가령 차상위 계층 이하(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청년은 매달 10만원씩 저축할 경우, 3년간 본인 납입금 360만원과 정부 지원금 1080만원, 그리고 이자(최대 연 5%)까지 1548만 원의 목돈을 쥐게 된다. 또 차상위 초과 청년은 매달 10만원씩 저축할 경우, 본인 납입금과 정부 지원금(...
기사 본문
복지부, 22일부터 첫 만기지원금 지급 온라인 복지로·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 [서울=뉴시스] 이영환 기자 = 2025 기후에너지 일자리 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채용공고를 살펴보고 있다. 2025.10.16. 20hwan@newsis.com [세종=뉴시스] 박영주 기자 = 정부가 청년내일저축계좌 만기자 3만3000명을 대상으로 최대 1080원의 정부지원금을 지급한다. 보건복지부와 한국자활복지개발원은 22일부터 청년내일저축계좌 첫 3년 만기자 약 3만3000명에게 만기지원금을 지급한다고 21일 밝혔다. 13일부터 온라인 복지로 포털과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를 통해 만기해지 신청을 받고 있으며 가입자는 본인 저축금과 적금이자 정부지원금을 받게 된다. 최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해 수기 확인 방식 보완 등 만기해지 절차가 일부 변경됐으나 지난 19일 자활정보시스템 복구가 완료돼 22일부터 만기지원금이 지급될 예정이다. 신청 방법 및 필요 서류는 한국자활복지개발원 홈페이지와 복지로 포털에서 ...
기사 본문
3년 첫 만기…본인 저축금·이자·정부지원금 수령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근로·사업소득 있는 청년 대상 해지자 기초 자산관리 교육·일대일 상담 서비스 지원 [이데일리 이지은 기자] 일하는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는 청년내일저축계좌가 오늘 첫 만기를 맞이한다. 지난 3년간 돈을 부어왔던 3만 3000명은 정부지원금을 최대 1080만원을 받게 된다. 서울 시내 한 대학교 취업 게시판 앞을 학생이 지나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22일 보건복지부와 한국자활복지개발원에 따르면 청년내일저축계좌 3년 만기를 맞이한 약 3만 3000명에게 정부의 만기지원금이 지급된다. 2022년 도입된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정부의 대표적인 청년 자산형성 지원사업으로, 일하는 저소득 청년의 꾸준한 저축과 안정적인 자산기반 형성을 돕는다는 취지에서 출발했다.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의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청년이 매월 10만~50만 원을 저축하면 정부가 월 최대 30만 원을 추가 지원한다. 3년 후 만기 ...
기사 본문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근로·사업소득 있는 청년 3년 만기자 3.3만명…정부 월 최대 30만원 추가 지원 '가입자 채무건전성·고용안전성 개선' 연구 결과도 [이데일리 이지은 기자]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는 청년내일저축계좌가 올해 첫 만기를 맞이한다. 2022년 제도 도입 당시 가입했던 만기해지자들은 최대 1080만원의 정부 지원금을 수령하게 된다. 보건복지부와 한국자활복지개발원은 22일부터 청년내일저축계좌 첫 3년 만기자 약 3만 3000명에게 만기지원금을 지급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달 13일부터 온라인 복지로포털과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를 통해 만기해지 신청을 받고 있으며 가입자는 본인 저축금과 적금이자, 정부지원금을 수령하게 된다. 최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해 수기 확인 방식 보완 등 만기해지 절차가 일부 변경됐으나 19일 자활정보시스템 복구가 완료돼 22일부터 통상 절차대로 만기지원금이 지급될 예정이다. 신청 방법 및 필요서류는 한국자활복지개발원 홈페이지와 복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