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 이식 대기자 5만명…앞으로 심정지 환자도 장기 기증한다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 앵커멘트 】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수많은 환자가 장기 이식을 기다리다 세상을 떠나고 있죠. 정부가 '뇌사'뿐만 아니라 '심정지 사망'도 장기를 기증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강세현 기자입니다. 【 기자 】 우리나라에서 장기 이식을 기다리는 사람은 5만 4천여 명입니다. 고령화 영향으로 장기 이식이 필요한 환자는 꾸준히 늘고 있지만, 기증자는 턱없이 부족합니다. 2020년 478명이던 뇌사 기증자는 지난해 397명으로 줄었고, 매년 3천 명 이상이 이식을 기다리다가 숨집니다. 이에 정부가 '뇌사'와 함께 '심정지 사망'도 장기 기증을 할 수 있게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인터뷰 : 이형훈 / 보건복지부 제2차관 - "연명 의료 중단 후 심장사한 기증 희망자도 장기 기증할 수 있도록 법제화하여 장기 기증을 확대하는…." 연명 의료 중단과 장기 기증을 모두 희망한 대상자가 심장이 멎어 사망 판정을 받으면 장기 이식 절차를 밟게 됩니다. 이미 해외는 '심정지 장기 기증'이 보편화...
기사 본문
장기이식 대기자 늘었지만 뇌사자 기증은 감소 복지부, 수급불균형 해결 위한 첫 종합계획 마련 'DCD 도입' 장기이식법·연명의료결정법 개정 추진 기증자 예우 강화…기증희망 등록 접수처 2배 확대 의료기관 지원 확대…뇌사기증 관리 수가 현실화 장기기증희망등록률 2030년 6.0% 달성 목표로 추진 [서울=뉴시스] 연도별 장기이식 대기자 및 뇌사기증자 현황 (자료=복지부 제공) 2025. 10. 16.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정유선 김상윤 수습 기자 = 정부가 뇌사자뿐 아니라 연명의료 중단 후 심장사한 사람도 장기기증이 가능하도록 법제화에 나선다. 장기기증 희망등록 접수처 수를 2배 이상 늘리고, 기증자와 가족에 대한 사회적 예우를 강화한다. 보건복지부는 16일 이러한 내용이 담긴 '제1차 장기 등 기증 및 이식에 관한 종합계획(2026~2030)'을 확정해 발표했다. 고령화와 의료기술 발달에 따라 장기이식을 기다리는 대기자는 해마다 늘고 있다. 전체 장기이식 대기자는 ...
기사 본문
복지부, '장기 기증·기증 종합계획안' 발표 "법 개정 통과 위해서는 국민 공감대 중요" "암·감염병 질환자 제외…최대 200명 추가" [서울=뉴시스] 추상철 기자 = 이형훈 보건복지부 제2차관이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차 장기 등 기증 및 이식 종합계획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5.10.16. scchoo@newsis.com [세종=뉴시스] 박영주 김상윤 수습 기자 = 이삼열 한국장기조직기증원 원장은 16일 "DCD(순환 정지 후 장기기증 제도) 법이 통과되면 많은 이식 대기자와 실제 기증의 갭(격차)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원장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된 '제1차 장기 등 기증 및 이식에 관한 종합계획안' 브리핑에서 "연명의료법과 장기이식법 개정이 빨리 통과되기 위해서는 국민 공감대가 중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복지부에 따르면 장기 이식 대기자는 지난해 12월 기준 5만4789명으로 2020년 4만3182명보다 1만1607명(26.9...
기사 본문
(상보) 보건복지부 '장기등 기증 및 이식에 관한 종합계획' 장기 기증·이식의 간극을 좁히기 위해 포괄적 대책 마련 [서울=뉴시스] 추상철 기자 = 이형훈 보건복지부 제2차관이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차 장기 등 기증 및 이식 종합계획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5.10.16. scchoo@newsis.com /사진=추상철 정부가 뇌사자뿐 아니라 연명의료 중단 후 심장사한 사람도 장기기증이 가능하도록 법제화에 나선다. 장기기증 희망등록기관을 두 배 이상 늘리고 기증자와 가족에 대한 사회적 예우를 강화한다. 보건복지부는 16일 서울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제1차 장기등 기증 및 이식에 관한 종합계획'(2026~2030년)을 발표했다. 2023년 '장기등 이식에 관한 법률' 개정으로 근거를 마련한 후 장기 기증·이식의 간극을 좁히기 위해 정부가 내놓은 첫 번째 대책이다. 고령화와 의료기술의 발달로 장기 이식을 기다리는 대기자는 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