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 장애시스템, 709개 중 424개 정상화…복구율 59.8%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2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관련 중대본 13차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장애를 겪고 있는 정부 행정정보시스템이 60% 가까이 복구됐다. 21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6시 기준 화재로 마비됐던 행정정보시스템 709개 중 424개가 정상화됐다. 시스템 복구율은 59.8%로 나타났다. 국민 이용도가 높은 법제처의 국가법령정보시스템(1등급)이 새롭게 복구된 시스템에 포함됐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홈페이지, 보건복지부 e하늘장사정보시스템, 진료정보교류시스템, 국가데이터처 근로자인사관리시스템, 문화체육관광부 정책메일서비스 등도 복구가 완료됐다. 시스템 중요도에 따른 등급별 복구 현황은 1등급은 40개 중 32개가 정상화돼 80.0%의 복구율을 기록했다. 이 밖에도 2등급 68개 중 48개(70.6%), 3등급 261개 중 168개(64.4%), 4등급은 3...
기사 본문
이재명 대통령이 10일 화재 피해 복구작업이 진행 중인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을 찾아 화재 발생 현장을 살펴보고 있다. 2025.10.10 / 사진=연합뉴스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중단된 정부 전산시스템 복구율이 60%에 근접했습니다. 오늘(21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오후 6시 기준 화재로 마비됐던 행정정보 시스템 709개 중 424개가 정상화됐습니다. 시스템 복구율은 59.8%입니다. 시스템 중요도에 따른 등급별 복구 현황으로는 1등급은 40개 중 32개가 정상화돼 80.0%의 복구율을 보였습니다. 이어 2등급 48개(70.6%), 3등급 168개(64.4%), 4등급 176개(51.8%)가 정상화됐습니다. 새롭게 복구된 시스템 중에는 국민 이용도가 높은 법제처의 국가법령정보시스템(1등급)이 포함됐습니다. 그밖에는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홈페이지 △보건복지부 e하늘장사정보시스템·진료정보교류시스템 △국가데이터처 근로자인사관리시스...
기사 본문
전체 709개 중 424개 재가동·복구율 59.8%…1등급 80% 서비스 이재명 대통령, 국정자원 현장방문 (서울=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10일 화재 피해 복구작업이 진행 중인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을 찾아 화재 발생 현장을 살펴보고 있다. 2025.10.10 [대통령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양정우 기자 =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하 국정자원) 화재로 장애를 보여온 정부 행정정보시스템이 60% 가까이 복구됐다. 21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6시 기준 화재로 마비됐던 행정정보시스템 709개 중 424개가 정상화됐다. 시스템 복구율은 59.8%로, 조만간 60%를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새롭게 복구된 시스템 중에는 국민 이용도가 높은 법제처의 국가법령정보시스템(1등급)이 포함돼 그간 국민이 겪어온 불편을 덜게 됐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홈페이지,보건복지부 e하늘장사정보시스템과 진료정보교류시스템,...
기사 본문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를 수사하는 대전경찰청 전담수사팀. [연합뉴스]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중단된 전산망을 복구하고 있는 정부가 핵심 시스템인 1등급 시스템 중 하나를 추가로 복구했다. 1등급 시스템 복구율도 끌어 올렸다.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21일 오후 1시 30분 기준 총 709개 정부 온라인 시스템 가운데 412개를 복구했다고 밝혔다. 전날 오후 9시 대비 10개 시스템을 추가로 복구했다. 전체 복구율은 58.1%다. 709개 정부 전산망 중 412개 정상화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2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황실 서울상황센터에서 열린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관련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 이번에 복구한 10개 시스템 중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는 1등급 시스템이다. 국가 행정정보시스템은 이용자수·파급효과 등에 따라 1~4등급으로 분류하는데, 이 중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