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예술 공존하는 세계적 랜드마크로…'노들 예술섬' 첫삽(종합)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노들 글로벌 예술섬 조성사업 착공식…2028년 완공 목표 오세훈 "노들섬, 한강 르네상스 큰 그림 완성 마지막 퍼즐" 노들 글로벌 예술섬 조감도 [서울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기훈 기자 = 서울의 '노을 맛집' 노들섬을 전시와 공연, 휴식이 어우러진 글로벌 랜드마크로 조성하는 사업이 첫 삽을 떴다. 서울시는 21일 오전 10시 노들섬 잔디마당에서 '노들 글로벌 예술섬' 착공식을 열고 본격적인 사업의 시작을 알렸다. 착공식에는 오세훈 서울시장과 세계적 건축가 토머스 헤더윅을 비롯한 시민 약 300명이 참석했다. 노들 글로벌 예술섬 조성사업은 서울시가 '한강르네상스 2.0: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의 하나로 추진하는 사업이다. 노들섬은 1917년 일제강점기 시절 만들어진 인공섬으로 1970년대 유원지로 개발하려다 무산된 뒤 방치돼 있었다. 이후 몇 차례 사업계획이 틀어진 후 2019년 '음악섬'으로 개선해 운영해왔는데, 서쪽 공연장과 편의시설 일부만 활용되고...
기사 본문
공중정원·공중보행교 조성 착공 21일 '노들 글로벌 예술섬' 착공식 참가를 위해 한강버스를 타고 이동한 오세훈 서울시장(가운데)과 토머스 헤더윅(오른쪽),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이 노들섬에 내리고 있다. 서울시 제공 서쪽 일부만을 시민에게 개방해온 '노들섬'이 55여년 만에 섬 전체를 '글로벌 예술섬'으로 단장한다. 동쪽 숲과 수변공간을 새롭게 조성하고 기존 서쪽 개방공간과 '공중보행로'를 통해 연결한다. 오는 2028년 완공을 목표로 이달 첫 삽을 뜨게 될 예정이다. 서울시는 21일 노들섬 잔디마당에서 '노들 글로벌 예술섬'의 착공식을 개최하고 사업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린다고 밝혔다. '노들 글로벌 예술섬 조성사업'은 서울시가 2023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한강르네상스 2.0: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1917년 일제강점기 시절 만들어진 인공섬 '노들섬'은 1970년대 유원지 개발, 2005년 오페라하우스 건립 등 개발 계획이 여러 차례 무산됐다. 이후 2019년 '음악...
기사 본문
Zoom In 노들예술섬 설계한 英 건축가 토머스 헤더윅 자연·예술 품은 공중정원 구상 21일 착공식, 5년 뒤 준공 "시민을 위한 공적 공간 늘려야 노들섬, 공공선 실현의 최적 공간 분리와 고립 극복할 상징될 것" 영국 건축가 토머스 헤더윅은 “강은 낭만적인 자연의 한 조각이고, 시민들은 강에 가까이 갈 수 있어야 한다. 그런 점에서 노들섬은 아주 귀한 장소”라고 말했다. /문경덕 기자 “모두가 분리되고 고립되는 시대에 (한강에) 사람이 모여드는 공간을 만들어 볼 생각입니다.” 노들예술섬 조감도. ‘영국의 레오나르도 다빈치’로 불리는 건축 디자이너 토머스 헤더윅은 21일 자신이 설계한 노들예술섬 착공식에서 한국경제신문과 만나 “도시를 가로지르는 어마어마한 규모의 강이 있고, 그 한가운데 섬이 있는 풍경은 세계 어디서도 찾아보기 어렵다”며 이같이 말했다. 노들예술섬은 2028년 준공을 목표로 기존 건축물인 ‘노들섬 복합문화시설’을 유지하면서 산책로, 공중 정원 등을 조성해 자연과 문...
기사 본문
서울시, '노들 글로벌 예술섬' 사업 착공... 시민단체 "예산 낭비·생태 파괴" 지적하며 사업 중단 요구 ▲ 너머서울, 시시한연구소, 문화연대, 서울환경연합 등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이 21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서울시의 노들 글로법 예술섬 사업에 대해 "시민의 의견을 무시하고 막대한 예산 낭비와 생태 파괴 우려가 큰 사업을 일방적으로 강행하는 불통 행정의 극치이다"며 전면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 ⓒ 유성호 서울시가 착공한 '노들 글로벌 예술섬' 사업을 두고 "막대한 예산 낭비와 생태 파괴"를 지적하며 "즉각 사업을 중단하라"는 요구가 나왔다. 오세훈 서울시장을 향해 "문화의 이름을 빌렸지만 정작 문화는 없고 개발만 남은 전시 행정의 전형"이라는 비판도 쏟아졌다. '노들 글로벌 예술섬 사업 중단을 위한 시민사회 공동행동'은 21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서울시가 3700억 원 이상의 혈세를 쏟아부어 대규모 재개발을 강행하려 한다"라며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