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 여수 진남관, 원래 모습 되찾아

2025년 10월 21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7개
수집 시간: 2025-10-21 17:52:12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매일경제 2025-10-21 17:14:22 oid: 009, aid: 0005576531
기사 본문

10년 수리 마치고 공개 국보인 여수 진남관이 최근 10년간의 해체·수리 작업을 마치고 옛 모습을 되찾았다. 국가유산청은 여수시와 함께 21일 여수 진남관의 준공식을 공동 개최했다고 밝혔다. 여수 진남관은 1718년(숙종 44년) 전라좌수사 이제면이 전라좌수영 객사로 중건한 건축유산이다. 우리나라 지방관아 건물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크며, 2001년 국보로 지정됐다. 여수 진남관은 기존 기둥 68개를 일제 강점기 훼손 이전이었던 70개로 원형 복원했다. 지붕 기와 5만4000장도 전통 방식으로 제작하며 재정비했다. 복원 작업에는 사업비 약 200억원이 투입됐다. [정유정 기자]


뉴스1 2025-10-21 17:19:37 oid: 421, aid: 0008552954
기사 본문

허민 국가유산청장이 21일 10년간의 해체수리를 마치고 공개된 '여수 진남관' 준공식에서 주요 참석자들과 함께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국가유산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10.21/뉴스1 (무안=뉴스1) 전원 기자 = 국보 제304호인 여수 진남관 해체수리 완공 기념식이 21일 열렸다. 기념식에는 김영록 전남도지사, 허민 국가유산청장, 정기명 여수시장, 주철현·조계원 국회의원, 도민 200여 명이 참석했다. 기념식은 진남관이 해체수리 13년 만에 순조롭게 완공돼 국난의 시기 선조들의 구국 정신과 시간의 역사를 온전히 회복시킨 의미를 도민과 함께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김영록 지사는 인사말을 통해 "진남관은 나라를 향한 굳은 의지와 남도를 지키려는 백성의 마음이 깃든 곳으로, 해체수리 시작 13년 동안 수많은 손길과 정성으로 우리 앞에 다시 웅장하게 섰다"며 "'약무호남 시무국가'로 대표되는 전남인의 정신이 느껴지는 것 같아 가슴이 뭉클하다"고 말했다. 진남관은 전...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0-21 11:06:16 oid: 003, aid: 0013547408
기사 본문

10년간 195억 들여 해체·발굴 조사·정비로 '원형 복원' 구조적 뒤틀림 등 문제 해결…일제 훼손전으로 되돌려 여수 진남관 전경(사진=국가유산청 제공) 2025.10.21.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김상윤 수습 기자 = 국보 제304호 '여수 진남관'이 10년 간의 대규모 공사를 마치고 21일 원형 복원된 모습으로 공개된다. 국가유산청은 여수 진남관 준공식을 이날 오후 3시에 진행된다고 밝혔다. 유산청은 전남 여수시와 2015년부터 올해까지 10년간 총 194억7400만원을 들여 건물 해체, 발굴조사, 복원, 보수 정비 등 공사를 마무리했다. 여수 진남관은 숙종 44년인 1718년 전라좌수사 이제면이 전라좌수영 객사로 중건한 건축 유산이다. 임진왜란이 끝난 다음해에 세운 단측 목조 건물로 조선 수군의 구국의 상징이자, 현존하는 지방 관아 건물 중에서 최대 규모의 국가문화유산이다. 이런 역사적 의의와 건축유산으로...

전체 기사 읽기

매일경제 2025-10-21 15:54:23 oid: 009, aid: 0005576446
기사 본문

전통건축 장인 참여해 원형 복원 여수 진남관 <국가유산청> 국보인 여수 진남관이 최근 10년간의 해체·수리 작업을 마치고 옛 모습을 되찾았다. 국가유산청은 여수시와 함께 21일 여수 진남관의 준공식을 공동 개최했다고 밝혔다. 여수 진남관은 1718년(숙종 44년) 전라좌수사 이제면이 전라좌수영 객사로 중건한 건축유산이다. 우리나라 지방관아 건물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크며, 2001년 국보로 지정됐다. 국가유산청과 여수시는 2015년부터 10년 동안 여수 진남관의 구조적 뒤틀림과 지반침하, 주요 목부재의 부식 등의 문제를 해결했다. 일제 강점기 이전의 원형을 회복하는 데 중점을 두며 해체 수리를 진행했다. 이번 공사를 통해 여수 진남관은 기존 기둥 68개를 일제 강점기 훼손 이전이었던 70개로 원형 복원했다. 지붕 기와 5만4000장도 전통방식으로 제작하며 재정비했다. 복원 작업에는 사업비 약 200억원이 투입됐다. 특히 복원 과정에서 문화유산위원과 수리기술위원 등 각계 전문가가 참여했...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