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환율 급등 종합지원책 시행…지역기업에 1000억원 지원

2025년 11월 28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20개
수집 시간: 2025-11-28 00:13:32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조선비즈 2025-11-27 09:19:10 oid: 366, aid: 0001126214
기사 본문

업체당 최대 8억원…3년간 2% 이차보전 수출 보험료·신용 보증료 지원금액 상향 부산항에서 수출입 물량을 선적하고 있는 모습. /조선DB 부산시는 최근 환율 급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지역 기업의 경영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종합지원책을 시행한다고 27일 밝혔다. 이날부터 시행되는 지원책은 긴급 유동성 공급, 업종별 맞춤형 지원, 수출 기업화 지원 등 3대 분야로 구성된다. 우선 부산시는 고환율 피해가 확인되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총 1000억원 규모의 ‘환율케어 특별자금’을 신규 편성한다. 업체당 최대 8억원(명문향토기업은 10억원)을 지원하며, 3년간 2%의 이차보전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환율 변동으로 발생한 단기 유동성 부담을 덜어줄 계획이다. 신청은 부산경제진흥원에서 추천서를 발급받아 14개 시중은행에 제출하면 된다. 수출 기업의 금융 부담 완화를 위해 무역금융 지원도 확대한다. 내년부터 수출 보험료 지원을 7억원으로 확대하고, 신용 보증료 지원을 3억원으로 올린다. 또 수출 바...

전체 기사 읽기

헤럴드경제 2025-11-27 13:00:08 oid: 016, aid: 0002563961
기사 본문

철강·금속, 신발·고무, 수산물 가공·유통 업종 비상 박형준 시장, 고환율 피해 기업 찾아 애로사항 청취 1000억원 규모 ‘환율케어 특별자금’ 신규편성 지원 박형준 부산시장이 27일 오전 강서구 범방동 신발 재귀반사필름 제조기업 ㈜지비라이트를 찾아 고환율로 인한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부산시 제공] [헤럴드경제(부산)=이주현 기자] 원·달러 환율이 심리적 저지선인 1460원(27일 오전 9시 기준)을 넘어서는 등 환율 급등세가 이어지면서 부산 지역 주력 산업인 철강·금속, 신발·고무, 수산물 가공·유통 업종에 비상이 걸렸다. 미 대선 이후 강화되고 있는 미국의 자국 우선주의와 금리차 확대 영향으로 고환율 장기화가 우려되면서 지역 기업들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특히 철강·금속 분야는 원자재 수입 비용이 15~20% 증가해 제조원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납품단가 반영이 어려운 상황이다. 신발·고무 업종 역시 영세 부품기업 비중이 높아 고환율 대응이 어렵고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채산성...

전체 기사 읽기

머니S 2025-11-27 08:17:43 oid: 417, aid: 0001115655
기사 본문

'고환율 종합지원책' 긴급 가동… 유동성 공급·맞춤형 지원·수출 촉진 '3트랙' 추진 부산시청 전경/사진=부산시 원·달러 환율이 1500원에 육박하자 부산광역시가 경영난을 겪고 있는 지역 기업들을 위해 1000억원 규모의 긴급 자금 수혈에 나섰다. 부산시는 27일 환율 급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지역 철강, 금속, 신발, 수산 등 주요 업종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고환율 대응 종합지원책'을 긴급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대책은 긴급 유동성 공급, 업종별 맞춤형 핀셋 지원, 수출 기업화 촉진 등 3대 핵심 분야를 중심으로 구성됐다. 가장 눈에 띄는 대책은 고환율 피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신규 편성된 1000억원 규모의 '환율케어 특별자금'이다. 시는 업체당 최대 8억원(명문장수기업 등은 10억원)까지 융자를 지원하며 3년간 2%의 이자차액보전을 제공해 급격한 환율 변동으로 인한 단기 유동성 위기를 막겠다는 방침이다. 지원을 희망하는 기업은 부산경제진흥원에서 추천서를 발급받아 시중은행에 ...

전체 기사 읽기

서울신문 2025-11-27 14:43:11 oid: 081, aid: 0003596025
기사 본문

부산시는 최근 환율 급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철강·금속·신발·수산 분야 지역기업의 경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종합 지원책을 오늘(27일)부터 긴급 시행한다고 밝혔다. 시는 먼저 고환율 피해를 보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1천억원 규모의 ‘환율케어 특별자금’을 신규 편성한다. 업체당 최대 8억원(명문 향토기업은 10억원)까지 지원하며, 3년간 2%의 이차보전을 제공해 급격한 환율 변동으로 발생한 단기 유동성 위기를 완화할 수 있게 돕는다. 특별자금을 지원받으려면 부산경제진흥원(☎051-728-8046)에서 추천서를 발급받아 14개 시중은행에 제출하면 된다. 시는 또 수출 기업의 금융 부담 완화를 위해 무역금융 지원도 확대한다. 내년부터 수출 보험료 지원을 7억원으로 늘리고 신용 보증료 지원을 3억원으로 상향한다. 수출 바우처 내 무역보험·보증 지원 분야도 기존 8개에서 9개로 늘린다. 환율상승 영향을 크게 받는 분야를 중심으로 한 맞춤형 핀셋 지원도 강화한다. 신발 제조 중소기업에는 수출 ...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