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KBS 춘천] [앵커] 행정복합타운 사업의 현주소를 짚어보는 연속보도. 오늘은 사업 향배를 전망해봅니다. 강원도는 어제(15) 사업 신청서 제출을 전격 보류했는데요. 입장 급선회 배경을 두고 해석이 분분합니다. 이 가운데 핵심 이유로 사업비 문제가 꼽힙니다. 행복타운 사업비 조달 계획에 큰 구멍이 날 형편이기 때문입니다. 어떤 내용인지 박상용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KBS가 입수한 춘천 우두동 도시개발사업 타당성 보고섭니다. 타당성은 '미흡', 비용편익지수는 '0.69' 입니다. 경제성이 있는지 판단 기준인 '1'에 못 미칩니다 공기업평가원은 이 계획으로 도시재생이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사업 타당성 미흡'이라는 일곱 글자가 행정복합타운 사업 전반에 불러온 나비효과는 생각보다 큽니다. 사업에 포함된 옛 농업기술원 용지 등 21만㎡가 행정복합타운의 종자돈이 되기 때문입니다. 두 땅의 감정평가액은 810억 원. 이걸 토대로 최대 2,400억 원을 ...
기사 본문
"도청 신청사 이전 지원…행정복합타운은 보완사항 완료 시 검토" 강원도 "지금 단계에선 무의미…신청사 교통영향평간 신속 심의" (춘천=연합뉴스) 이재현 이상학 기자 = 강원도와 춘천시가 도청 신청사 및 고은리 행정복합타운 도시개발사업과 관련해 갈등을 빚는 가운데 춘천시가 강원도와 강원개발공사에 '3자 실무 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이원찬 스마트도시국장 기자회견 [촬영 이상학] 이원찬 춘천시 스마트도시국장은 16일 오후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소모적인 논쟁을 중단하고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해야만 실질적인 진전을 이룰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도가 전날 "도청 신청사는 반대하지 않으니 교통영향평가 신청을 하겠지만, 행정복합타운은 춘천시가 반려한 뒤 입장 변화가 없으므로 이번에는 신청하지 않겠다"고 밝힌 데 대한 입장이다. 이 국장은 "고은리 행정복합타운을 둘러싼 논쟁의 근본 원인은 2022년 도와 시의 공동 담화에서 약속했던 상업·업무·미디어 ...
기사 본문
이원찬 춘천시 스마트도시국장이 16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고은이 행정복합타운과 관련해 입장을 밝히고 있다.2025.10.16 한귀섭 기자 (춘천=뉴스1) 한귀섭 기자 = 강원도청 신청사 및 고은리 행정복합타운 도시개발 사업과 관련해 도와 춘천시의 갈등이 이어지자 도의회가 추진 협의체 구성을 제안한 가운데 춘천시가 강원도, 강원개발공사 3개 기관이 참여하는 '3자 실무 협의체'를 역제안했다. 이원찬 춘천시 스마트도시국장은 16일 오후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강원도가 사업 추진에 의지가 있다면 사업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 실질적인 진전을 이뤄낼 수 있도록 춘천시, 강원도, 강원개발공사 3개 관련 기관의 실무 부서가 참여하는 '3자 실무 협의체' 구성을 공식적으로 제안한다"고 밝혔다. 이원찬 국장은 "춘천시는 앞으로도 시민의 교통안전과 편의, 도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강원도청 신청사 이전이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기사 본문
▲ 춘천시는 16일 오후 시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강원도와 강원개발공사에 의회를 미포함한 실무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정민엽 기자 춘천시가 도청 신청사와 행정복합타운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하기 위해 강원도와 강원개발공사에 도의회와 시의회를 제외한 실무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춘천시는 16일 오후 시청에서 이 같은 취지로 기자회견을 가졌다. 이원찬 스마트도시국장은 "도청사 이전과 행정복합타운 도시개발사업을 분리 추진하겠다는 도의 뜻은 그간의 불필요한 논란을 불식시키는 중요한 진전"이라고 했다. 이어 "강원도가 사업추진 의지가 있다면 사업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 실질적인 진전을 이루어 낼 수 있도록 춘천시·강원도·강원개발공사 3개 관련 기관의 실무 부서가 참여하는 3자 실무 협의체 구성을 공식적으로 제안한다"고 밝혔다. 이는 앞서 강원도의회가 제안한 협의체와는 구성 기관의 성격이 다르다. 지난달 도의회는 춘천시를 향해 강원도와 도의회, 춘천시, 시의회, 강원개발공사를 비롯해 이해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