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문화유산’ 스페인 파밀리아 성당에 한글 낙서…“국가적 망신”

2025년 10월 21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30개
수집 시간: 2025-10-21 12:52:06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디지털타임스 2025-10-21 09:48:07 oid: 029, aid: 0002988256
기사 본문

해외 문화재에 한글 낙서 잇달아 스페인 바르셀로나 사그라다 파밀리아 성당 기둥에 쓰여 있는 한글 낙서 [서경덕 교수 제공] 해외 주요 관광지에서 한글 낙서가 발견돼 국가 이미지를 실추시키고 있는 가운데 스페인 주요 관광지의 세계적인 걸작에서도 이같은 사례가 발견돼 논란이 일고 있다. 스페인을 대표하는 관광 명소이자 건축가 안토니 가우디의 미완성 걸작으로 유명한 바르셀로나 사그라다 파밀리아 성당에 한글로 쓰인 낙서가 발견된 것이다.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에는 성당의 내부 기둥 한쪽에 한글 ‘쀍’이라고 적힌 낙서를 찍은 사진이 공유되며 비판 여론이 들끓고 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21일 자신의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한 누리꾼의 제보에 따르면 해당 낙서는 성당 관람 구역에서 쉽게 눈에 띄는 위치에 적혀 있는데다, 다른 외국어 낙서보다 크기가 커 방문객의 시선을 사로잡았다”고 전했다. ‘쀍’이란 단어는 온라인 네티즌들 사이에서 불쾌감 또는 짜증을 표현하는 쓰는 속어다. ...

전체 기사 읽기

조선일보 2025-10-21 11:04:09 oid: 023, aid: 0003935828
기사 본문

스페인 바르셀로나 사그라다 파밀리아 성당 기둥에 쓰여 있는 한글 낙서./서경덕 교수 인스타그램 세계적 관광 명소인 바르셀로나 사그라다 파밀리아 성당에서 한글 낙서가 발견돼 논란이 일고 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21일 자신의 인스타그램을 통해 “몇몇 네티즌이 직접 사진을 찍어서 보내줬다”며 “성당 기둥에 한글로 크게 ‘쀍’을 써 놨다”고 밝혔다. ‘쀍’은 기분이 좋지 않을 때 내뱉는 소리로, 주로 온라인상에서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단어다. 서 교수는 “다른 나라의 글자로도 낙서가 되어 있긴 하지만, 가장 크게 낙서를 해놓은 상황이라 한눈에 알아볼 수 있어 문제”라고 지적했다. 아라시야마 대나무숲의 대나무에 적힌 한국어 낙서./페이스북 최근 일본 교토의 유명 관광지 아라시야마 대나무 숲길에 방문한 관광객들이 대나무에 낙서를 해 논란이 됐다. 이 중 일부 한글 낙서가 발견되기도 했다. 교토시는 훼손된 대나무를 아예 베어내는 방안까지 검토 중이다. 2024년에는 미국 애리조나주에 ...

전체 기사 읽기

전자신문 2025-10-21 11:33:09 oid: 030, aid: 0003361008
기사 본문

스페인 가우디 성당에 새겨진 한글 낙서. 사진=서경덕 교수 제공 스페인의 대표적 관광 명소이자 건축가 안토니 가우디의 미완성 걸작인 사그라다 파밀리아 성당에서 한글 낙서가 발견돼 논란이 일고 있다.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성당 내부 기둥에 한글로 '쀍'이라고 적힌 낙서 사진이 확산됐다. 사진에는 '쀍' 외에도 'KIN'이라는 글귀가 함께 적혀 있어 한국인 관광객의 낙서로 추정되고 있다. 21일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자신의 SNS를 통해 “누리꾼 제보에 따르면 해당 낙서는 성당 기둥에 크게 쓰여 있었으며 다른 외국어 낙서도 있었지만 한글 낙서의 크기가 커 방문객의 눈에 쉽게 띄었다”고 전했다. '쀍'은 온라인상에서 불쾌감이나 짜증을 표현할 때 쓰이는 속어로 알려져 있다. 이를 본 누리꾼들은 “부끄럽다” “할 말을 잃었다” “세계 문화유산에 낙서를 하는 것은 용납될 수 없는 행동”이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스페인 형법에 따르면 문화재나 유적을 훼손할 ...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TV 2025-10-21 09:26:18 oid: 422, aid: 0000793060
기사 본문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 페이스북 캡처 '쀍!' 스페인 대표적 관광 명소이자 건축가 안토니 가우디의 미완성 걸작으로 알려진 바르셀로나 사그라다 파밀리아 성당에서 한글 낙서가 발견돼 논란입니다.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에는 성당 내부 기둥에 한글 '쀍'이라고 적힌 낙서를 찍은 사진이 공유되며 비판 여론이 일었습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SNS에 "한 누리꾼의 제보에 따르면 해당 낙서는 성당 관람 구역에서 쉽게 눈에 띄는 위치에 적혀 있었으며, 다른 외국어 낙서보다 크기가 커 방문객의 시선을 사로잡았다"라고 전했습니다. '쀍'은 온라인에서 불쾌감이나 짜증을 표현할 때 쓰는 속어로 알려져 있습니다. 바로 옆에는 'KIN'이라는 글자도 보이는데, 온라인 상에서 '즐'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서 교수는 "세계 유적지에 낙서를 남기는 행위는 절대 용납할 수 없는 문화재 훼손"이라며 "K-콘텐츠 확산으로 한국의 국가 이미지가 높아진 지금, 이러한 행동은 한국의 브랜드 가치를 떨어뜨리는 부끄...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