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청, 이달 말까지 전국 데이터센터 178곳 특별소방검사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공공·민간 데이터센터 화재안전 수준 정밀 진단" [대전=뉴시스] 김금보 기자 = 지난 1일 오후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현장에 설치된 외부 냉각 침수조의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화학작용으로 인한 기포가 올라오고 있다. 2025.10.01. kgb@newsis.com [세종=뉴시스]성소의 기자 = 소방청이 21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재발을 막기 위해 이날부터 31일까지 전국 데이터센터 178곳을 대상으로 특별소방검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검사는 공공·민간 데이터센터의 화재안전 수준을 정밀 점검하고, 대형 재난으로 확산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추진됐다. 점검 대상은 지능정보화 기본법, 정보통신망법, 방송통신발전법에 따라 관리되고 있는 전산실 바닥면적 500㎡ 이상 또는 수전설비 용량 40㎿(메가와트) 이상 시설로, 중앙 12곳·지방 166곳 등이다. 소방청은 배터리 분야 전문가, 소방기술사, 전기안전공사 등 관계 기관이 참여하는 합동 특별소방검사반을 ...
기사 본문
불법 행위 적발 시 즉각 행정제재 방침 9월 29일 오전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에서 소방 관계자가 화재 정밀 감식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소방청은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본원 화재와 같은 재난을 예방하기 위해 전국 데이터센터 178곳을 대상으로 특별 소방 검사를 실시한다고 21일 밝혔다. 배터리, 전기 안전 등 데이터센터 관련 전문가가 참여한 정밀 진단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특별 검사는 이날부터 31일까지 공공과 민간 데이터센터의 화재 안전 수준을 정밀 점검하는 방식으로 시행한다. 점검 대상은 지능정보화기본법, 정보통신망법, 방송통신발전법 등에 따라 관리되는 전산실 중 바닥면적 500㎡ 이상 또는 수전설비 용량 40메가와트(㎿) 이상인 중앙 12개, 지방 166개 등 총 178개 시설이다. 소방청은 이번 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대형 재난으로 확산할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체계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번 검사는 데이터센터에 특화한 '합...
기사 본문
배터리·전기설비 중심 정밀 진단 27일 오전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현장에서 소방당국 관계자들이 소실된 리튬이온배터리에 대한 반출 작업을 하고 있다. 2025.9.27/뉴스1 ⓒ News1 김진환 기자 (서울=뉴스1) 구진욱 기자 = 소방청이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센터 화재 재발을 막기 위해 21일부터 전국 데이터센터 178곳을 대상으로 '특별소방검사'에 착수했다. 이번 점검은 공공·민간 데이터센터의 화재 취약 요인을 선제적으로 제거하고, 국가 핵심 기반시설의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다. 점검 대상은 '지능정보화 기본법'과 '정보통신망법' 등에 따라 관리되는 전산실로, 바닥면적 500㎡ 이상 또는 수전용량 40㎿ 이상인 시설이다. 중앙 12개소, 지방 166개소 등 총 178곳이 포함됐다. 소방청은 배터리 전문가, 전기안전공사, 소방기술사 등으로 구성된 '합동 특별소방검사반'을 꾸려 구조안전, 전기, 소방설비, 피난방화 등 4개 분야로 나눠 정밀 진단을 벌인다. 주요 ...
기사 본문
(서울=뉴스1) =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이 27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에서 대책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소방청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2025.9.27/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소방청이 지난달 발생한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와 같은 유사 사고를 예방을 위해 전국 데이터센터를 대상으로 소방 검사에 착수한다. 소방청은 오는 31일까지 전국 데이터센터 178개소를 대상으로 '특별소방검사'를 실시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특별검사는 공공 및 민간 데이터센터의 화재안전 수준을 정밀 점검하고 대형 재난으로의 확산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체계적 대응체계 마련이 목적이다. 소방청은 배터리 분야 전문가, 소방기술사, 전기안전공사 등 관계기관이 참여하는 '합동 특별소방검사반'을 중앙과 지방으로 나눠 운영한다. 구조안전·전기·소방설비·피난방화 등 분야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