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1GW 해상풍력 집적화단지 지정 신청서 기후부 제출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인천 공공주도 해상풍력 집적화단지 위치도 [인천시 제공] (인천=연합뉴스) 신민재 기자 = 인천시는 공공 주도 해상풍력 집적화단지 지정 신청서를 기후에너지환경부에 공식 제출했다고 21일 밝혔다. 시가 신청한 해상 풍력단지는 옹진군 백아도 남서쪽 22km 해상에 조성할 계획이며 기존 영흥화력 발전량의 10.7%를 대체할 수 있는 1GW 규모다. 신청서에는 사업 실시 능력, 전력 계통 확보 계획, 주민 수용성 및 환경성 확보 계획, 이익공유 및 산업 생태계 강화 방안 등이 포함됐다. 시는 주민설명회와 민관협의회 등을 통해 이 사업의 필요성에 대한 지역사회의 공감대를 확보했다. 집적화단지 지정 여부는 기후부 심의를 거쳐 내년 3월 이전 결정될 예정이다. 지정이 성사되면 시 주도로 사업자 선정 방안을 마련해 지역산업과 연계할 수 있고 집적화단지 추가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수익을 활용해 어업인과 주민을 위한 지역 상생 사업을 할 수 있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이번 해상풍력 집적화단지...
기사 본문
기후부에 공공주도 집적화 단지 지정 신청 내년 3월 해상풍력법 시행되면 폐지 돼 인천시·태안군 등 전국 9개 지자체 눈독 인천 공동주도 해상풍력 집적화 단지(IC1) 위치도. <인천시 제공> 인천시가 옹진군 해상에 1GW 규모의 해상풍력 집적화단지를 시 주도로 조성하기 위한 막바지 행정 절차에 나섰다. 21일 인천시는 기후에너지환경부에 ‘인천 공공주도 해상풍력 집적화단지(IC1)’지정 신청서를 공식 제출했다고 밝혔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내년 3월 해상풍력 보급 촉진 및 산업 육성에 관한 특별법(해상풍력특별법) 시행을 앞두고 이달 말까지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마지막 공공주도 해상풍력 집적화단지 지정 신청을 받고 있다. 해상풍력특별법이 시행되면 공공주도 해상풍력 집적화단지 제도는 폐지되고 정부 주도로 전환된다. 인천시가 기후에너지환경부에 신청한 해상 풍력단지는 옹진군 백아도 남서쪽 약 22km 해상에 위치하며 1GW 규모다. 한 가정이 월 400kwh의 전기를 쓴다고 가정할 때 60만...
기사 본문
수요지는 인천 내륙 주민들…2033년 착공, 2037년 완공 목표 한 해상풍력발전단지 전경 (인천시 제공.재판매 및 DB금지) (인천=뉴스1) 유준상 기자 = 인천 신항에서 남서쪽 약 90㎞ 부근에 1GW 규모 해상풍력 단지를 조성하는 계획이 추진된다. 2037년 완공 목표인 이 해상풍력 단지는 교류(AC) 기반 전력망을 통해 인천 내륙 시민들에게 전력을 공급할 예정이다. 인천시는 21일 기후에너지환경부에 '인천 공공주도 해상풍력 집적화단지(IC1)' 지정 신청서를 공식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신청한 해상 풍력단지는 총 1GW 규모로, 인천 옹진군 가덕도 인근에 조성된다. 인천 신항에서 직선거리 90㎞, 옹진군 백아도에서 22㎞ 거리에 위치한다. 인천시 에너지산업과 관계자는 "내년까지 사업시행자 선정 공모를 추진해 2033년에 착공, 2037년에 완공할 예정"이라며 "풍력단지는 해상의 교류(AC) 기반 전력망을 통해 인천 내륙 시민들에게 전력을 20년간 공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
기사 본문
인천시의 해상풍력 집적화단지 위치도. 인천시 제공 인천시가 옹진군 백아도 해상에 해상풍력 집적화단지를 지정해달라는 신청서를 정부에 제출했다. 인천시는 옹진군 백아도 남서쪽 22㎞ 해상에 공공주도 해상풍력 집적화단지를 지정해달라는 신청서를 기후에너지환경부에 제출했다고 21일 밝혔다. 발전량은 기존 영흥화력 발전량의 10.7%를 대체할 수 있는 1GW 규모다. 이를 통해 인천시는 해마다 201만t의 온실가스를 감축할 것으로 기대한다. 또 건설과 운영 단계에서 직·간접적으로 연간 약 1만8500명의 일자리 창출 효과도 있다. 인천시가 제출한 사업계획서에는 사업 시행 능력, 전력계통 확보계획, 주민수용성 및 환경성 확보계획, 이익공유 및 산업 생태계 강화방안 등이 포함됐다. 특히 인천시는 해상풍력 집적화단지 지정이 이뤄지면 주도적으로 사업자 선정방안을 마련해 지역 산업과의 연계, 상생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 집접화단지의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 수익을 활용해 어업인과 주민 등 이해관계자가 ...